한국, 남자

최태섭 · Social Science
280p
Where to buy
Rating Graph
Avg3.4(269)
Rate
3.4
Average Rating
(269)
전작 <잉여 사회>를 통해 주목받았던 젊은 사회학자 최태섭이 30대, 남성, 사회학자의 시선으로 지금 페미니즘의 물결에 억울함을 호소하고 있는 한국 남성성을 고찰하고 그 한국 남성성을 만들어온 한국 남자의 사회사를 꾸렸다. 전 세계적으로 일어나고 있는 남성들의 몰락을 소개하고 그 양상이 한국에서는 어떤 방식으로 나타나는지를 소개한 뒤, 한국 남성성의 특징을 만들어온 한국 남성의 역사를 되짚는다. 동서고금에서 '남성적'이라 칭한 무(武)를 천시하고 생활 감각 없이 글이나 읊던 조선의 선비들이 식민지 시기와 6.25, 박정희와 전두환의 군사 독재 정권, 90년대의 짤막한 방종, 그리고 IMF를 거치면서 어떤 모습을 띠게 되었는지 역사적 흐름에 따라 짚어나간다. 마지막으로 동시대의 하위문화에 조예가 깊은 저자의 특징을 살려 21세기 현재 그 한국 남성성은 어떻게 표현되고 있는지, 페미니즘의 렌즈로 보기에 문제적인 상황에서 한국 남성들은 어떤 포지션을 취하고 있는지 보여준다.

인터파크 MIX & MAX

올 여름 휴가, 인터파크가 쏜다!

인터파크 · AD

Rating Graph
Avg3.4(269)

인터파크 MIX & MAX

올 여름 휴가, 인터파크가 쏜다!

인터파크 · AD

Author/Translator

Comment

50+

Table of Contents

서문 지금, 한국의 남자들 성재기와 남성 “연대” | 의리 없는 전쟁 | 버튼 눌린 남자들 | 한(국) 남(자)의 기원과 현재 1 문제적 남자: ‘귀남이’들이 불러온 위기 대를 잇는 아들 | 호주제와 여성의 재식민화 | ‘귀남이’들 | 삭제된 여아들 | 인구 조정 계획 | 몰락하는 남자들 | 남자의 종말 in 한국 | 쌓여가는 남자들 2 진짜 남자™를 찾아서: ‘헤게모니적 남성성’의 기원 진짜 남자™ | 남자다움의 신체적 기원 | 남자 대 야생 | 만들어진 남자 | 헤게모니적 남성성 | 지배의 비용 3 한국 남자의 우울한 기원 조선의 잘나가는 무능력자들 | 수입된 남자: 식민지 남자의 불우한 탄생 | 반공 전사 만들기 | 한국전쟁: 남성성의 무덤 | 상이군인과 병역기피자, 그리고 여자들 | 군화를 신은 새아버지: 징병제와 산업 역군 | “잘살아 보세”: 단란한 중산층을 향하여 | 남성성의 극한: 80년 광주의 공수부대 | 광주의 아들들: 부정한 아버지에 맞서 4 변화와 몰락: 1990년대와 한국, 남자 X같은 새 시대의 남자들 | 고개 숙인 남자: IMF 외환 위기와 ‘남성성의 위기’ 4.5 핑크색 옷을 입은 남자들: 메트로섹슈얼과 새로운 남성성? 5 억울한 남자들 군무새의 노래와 억울한 남자들의 탄생 | 여성 혐오의 연대기 1: 된장녀의 탄생 | 여성 혐오의 연대기 2: 김치녀부터 메갈까지 | 출구 없는 순환: 놀이 문화와 여성 혐오 | 조작된 혐오 | ‘대안 현실’로서의 여자 결문 한국 남자에게 미래는 있는가? 감사의 말

Description

창발하는 여성들의 분노와 저항에 살아남기 위한 ‘한국 남성’의 통렬한 자기 성찰과 생존 전략 “그러니 이제 결정해야 한다. 어디로 갈 것인가 형제여?” 지금.여기 젠더 문제를 논하기 위해서는 한국의 남성성을 정확하게 이해할 필요가 있다 《잉여 사회》 사회학자 최태섭의 전복적 젠더 고찰 이 시대 가장 중요한 문제 중 하나로 떠오른 젠더 문제에서 지금까지 초점은 여성의 문제에 맞춰져 있었다. 그 나머지 반절, 성별 질서의 헤게모니를 쥐고 있는 남성성을 중심으로 젠더 문제를 고찰한 문제적 저작, 《한국, 남자》가 출간되었다. 전작 《잉여 사회》를 통해 주목받았던 사회학자 최태섭이 30대, 남성, 사회학 연구자의 시선으로 지금 페미니즘의 물결에서 억울함을 호소하고 있는 한국 남자들에 주목한다. 전 세계적으로 일어나고 있는 남성들의 몰락 현상과 남성성에 대한 연구들을 소개한 뒤, 지금의 한국 남성성이 형성되어온 역사를 되짚는다. 이를 위해 저자는 조선 후기로부터 6·25, 군부 독재 등, 한국 남성성의 결정적 국면들을 시대순으로 엮어 한국 남자의 사회사를 꾸렸다. 더불어 온라인 공간에서 발현된 한국 남성성이 페미니즘의 부흥기에 어떤 대응을 보이고 있는지 소개하며 그 문제를 분석한다. 다양한 선행 연구들과 한국의 현실을 보여주는 통계 자료들을 폭 넓게 활용함으로써 ‘팩트’를 통한 신뢰도를 높였다. 이 책에 대해 “남자로서의 자기 인식인 동시에 사회적 객관을 위한 고민의 산물”이라 말하는 저자는 “누군가를 억압하지 않으면서도 한 사람의 주체로, 또 타인과 연대하고 돌보는 자로 살아갈 수 있을 것인가?”라는 문제의식을 담았다고 말한다. 가부장제 질서 아래서 성별의 꼬리표가 규정짓는 바를 이해하지 않는 이상 성별 질서의 타파는 어렵다. 여성에 관한 논의는 이미 많으니, 이제 남성성에 대해 돌아보자는 것이다. 젠더 문제가 그 어느 때보다도 뜨거운 이때, 여성들이 겪고 있는 문제에 기여했거나 이를 모르쇠하고 있는 남성들은 어떤 태도를 취해야 할 것인가? 말도 함부로 못하겠다느니 내가 더 힘들다느니 억울함을 호소하고 젠더 감수성은 모른 체하며 백래시(Backlash)만 시전하면 괜찮은 것일까? 헤게모니적 남성성의 역사와 몰락을 해부하다 근현대사와 ‘팩트’를 토대로 분석한 한국 남자들의 기원과 현주소 페미니즘이 제기하는 다양한 문제에는 늘 남성들의 문제가 짝패처럼 붙어 다닌다. 출산의 고통에는 군 복무의 의무가, 성별 임금 차별에는 사무실 물통 들기가, 전업 주부의 육아 스트레스에는 회사를 등질 수 없는 가장의 무게가 등가로 논의되듯이. 지금까지 우리 사회에서 페미니즘이 여성의 문제에 주목하고 있었다면, 이제는 그 반례로 남성 문제에 대해 고찰해볼 때다. 페미니즘은 ‘맨박스(man-box)’나 가부장제하에서의 심리적 부담 등의 사례를 들며 남자에게도 부담을 지우는 성별 질서를 혁파하자고 주장하지만, 제기하는 문제가 여성의 피해에 관련된 경우가 압도적으로 많은 만큼 페미니즘은 곧잘 여성만을 위한 이론으로 오인받곤 한다. 최근 터져나온 여성들의 목소리를 남성들이 일축하며 남자가 더 힘들다고 주장하는 이유다. 《한국, 남자》는 억울해하는 남성들의 목소리에 주목하여, 지금의 젠더 문제를 구성하고 있는 남성성을 해부한다. 1장 〈문제적 남자〉에서는 먼저 전 지구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남자 문제’를 살핀다. 인류는 예로부터 장자상속을 통해 남성에게 더 큰 권위를 실어왔으나, 최근 전통적으로 남성성을 요구하던 직업들이 쇠퇴하고 학습에서도 뒤처지는 등 남성들의 부진 현상이 두드러진다. 가부장제는 몰락 국면에 접어들어 미국에서는 새로운 가모장제가 출현하기도 했다. 그럼에도 남아 선호로 인한 성 감별 임신중절은 부진한 남성들을 한가득 쌓아놓았다. 지역마다 문화권마다 양상은 다를지언정 과잉된 남성들은 자신들의 부진에 불만을 품으며, 이는 한국에서 역시 다르지 않다. 그렇다면 이전까지 그들에게 성별 우위를 점해준 남성성이란 무엇일까? 2장 〈진짜 남자™를 찾아서〉는 보편적 인간(man)으로서의 남성이 아닌 개별적인 성별로서의 남성성에 대해 의구심을 제기한다. 신체적, 생리학적으로 연구된 남성성의 특질은 사실 어떠한 남성성에 대한 희망이 반영되어 잘못 도출된 것이었으며, 문화적으로 특정되었던 남성성 역시 대중이 믿고자 하는 남성의 상을 재현했던 것일 뿐이다. 고정관념적인 남성의 상은 그리 오래된 것이 아니다. 근대 이후 신분제가 해체되면서 새로이 지위를 다져야만 했던 남성들에게 남성성은 강인하고 매끈한 신체로 각인되었다. 하지만 이상적인 외형을 지닌 남자는 드물었기에 결국 남성성은 남성이 아닌 자들에 대한 젠더적 우위, 즉 헤게모니적 남성성으로 귀결된다. 실제로 이 헤게모니로 인해 일부 권력자가 아닌 일반의 남자들이 누릴 수 있는 이득은, 권력 체계 아래 노동자 또는 군인으로서 복무한 대가로 가정에서 군림할 수 있는 다소의 권위였다. 하지만 21세기의 신자유주의는 그마저도 앗아가고 있다. 근대 이후 제안된 남성성과 그에 준하지 못하는 현실의 간극에서 성별 헤게모니조차 흔들리고 있는 것이다. 몰락하는 조선, 식민지 시기, 6·25 전쟁, 군부 독재, IMF…… 강인한 남성상과 생계를 책임지는 아버지는 그 어느 때에도 유효하지 않았다 3장 〈한국 남자의 우울한 기원〉과 4장〈변화와 몰락〉은 조선 후기부터 20세기까지의 한국 남성성의 역사로서, 이를 통해 한국인들이 어떠한 남성성을 창출하고자 했고 또 실제로 어떤 남성성이 도출되었는지 살펴볼 수 있다. 동서고금에서 ‘남성적’이라 칭한 무(武)를 천시하고 생활 감각 없이 글이나 읊던 조선의 백면서생들은 쇠락하는 국운을 바라보며 급히 서구 문물에서 학습한 남성성을 짜내려 했지만, 나라 잃은 이등 시민에게는 달성하기 힘든 과업일 수밖에 없었다. 해방 이후에 맞닥뜨린 분단국가의 현실은 남성성을 공산주의에 맞서 싸우는 전방의 반공 전사들로 호출했으나, 6·25 전후로 국민을 지키지도, 상이군인을 보상해주지도 않은 채 징집만 강제하는 국가 앞에서 이 남성성은 온전히 형성될 수 없었다. 박정희와 전두환의 군사 독재 정권에서 남성성은 경제 발전을 도모할 산업 역군의 이미지로서 외화를 벌어들이고 체제를 유지할 군인들로 호출되었으며, 이를 관리하기 위한 군사주의가 깊게 뿌리내렸다. 20세기의 서술에서 1990년대를 떼어낸 4장에서는 민주화 이후 군사주의도, 혁명적 대의도 거둬진 자리에 나타난 다양한 남성성의 모습을 소개한다. 나름의 변곡점이었던 1990년대는, 결국 IMF로 인해 생계 부양자 지위를 위협받는 가장들의 자기 연민으로 마무리된다. 하지만 저자는 이 모든 과정에서 고정관념상 남성의 대표적인 역할이자 억울함의 근원인 ‘생계 부양자로서의 가장’이 기실 한국 역사를 통틀어 한 번도 제대로 실현되지 못했음을 지적한다. 또한 그간 여성은 후방에서 지원하고 보호받는 자이자, 의무를 함께 지지 않는 무임승차자이자, 노동자로서 그나마 처지가 낫다는 안도감을 선사해주는 비교대상이자, 스트레스 해소를 위한 성적 욕망의 대상으로 폄하되었다. 그런 물결에서 21세기 신자유주의를 맞이한 전 세계 남성들이 여성성과 젠더 감수성을 경쟁력으로 차용하는 가운데, 한국 남자들은 여성적인 꾸밈만을 소비할 뿐 호모포비아이자 여성 혐오자로 남는 모습을 4.5장 〈핑크색 옷을 입은 남자들〉에 담았다. 해결되지 않는 청년 문제의 좌절감이 여성 혐오로 전환되었다 탓하고, 비하하고, 성욕을 해소하며, 자신의 존재를 여성에게 기대는 남자들 5장 〈억울한 남자들〉은 2000년대 이후 벌어지고 있는 ‘젠더 전쟁’의 양상들을 살핀다. 신자유주의 경제질서 아래 삶이 팍팍해지면서, 남성들은 ‘군대에 가지 않는’ ‘의무는 지지 않고 권리만 누리려 하는’ 여성들에게 총부리를 겨눴다. 군 가산점 논쟁을 통해 떠오른 ‘군무새(앵무새처럼 군대만 찾는다는 말)’들이 ‘꼴페미’들을 비난하는

Collections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