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키, 하야오를 만나러 가다

가와이 하야오 and other
176p
Where to buy
Rating Graph
Avg3.3(75)
Rate
3.3
Average Rating
(75)
가와이 하야오는 일본 융 학파의 선구자이자 세계적인 학자이다. 신화.문학.종교.과학.심리학을 넘나드는 방대한 지식을 수백 권의 저서로 풀어냈으며, '일본 지성계의 살아 있는 권위'로 추앙받고 있다. 무라카미 하루키는 1979년 <바람의 노래를 들어라>로 데뷔한 이래 숱한 베스트셀러를 펴낸, 설명이 필요 없는 소설가이다. 두 사람이 처음 만난 것은 각자 미국에서 생활하던 시절이었다. 하야오는 주위 사람 권유로 하루키의 소설들을 차례차례 읽어가면서, 그 안에 나타난 현대인의 심리적 문제에 깊이 공감한다. 하야오는 1994년 봄 미국의 프린스턴대학에 가게 되는데, 이때 보스턴에 있던 하루키가 찾아와 두 사람은 처음 만나게 된다. 하루키는 "외국에 살다 보면 일본에 있을 때는 좀처럼 만나기 힘든 분을 만날 기회가 찾아오기도 한다"고 가와이 하야오를 만났을 때의 기쁨을 표현했다. 머릿속에 뒤엉켜 있던 실타래가 풀리는 듯한, 숨통이 트이는 듯한 '치유'의 느낌을 받았다고 한다. 일본에 돌아온 후 하루키는 이틀 일정으로 교토에 사는 하야오를 만나러 가는데, 그때 두 사람이 나눈 대화를 담은 것이 바로 이 책이다. 격식을 갖춘 '대담' 형식이 아니라, 느긋하고 자유롭게 대화를 나누면서 머릿속에 떠오른 것을 솔직하게 풀어낸다. 두 지성이 만나 개성과 보편성, 개인적 삶과 사회 참여, 소설의 본질, 일본 사회 속의 폭력성, 결혼 생활 등, 현대사회를 살아가면서 겪는 여러 문제와 내면에 잠재한 고뇌를 허심탄회하게 털어놓은 책이다.

<울트라 코리아> 10주년 기념 이벤트

파라다이스시티 인천에서 만나보는 전세계 최정상 라인업

울트라 뮤직 페스티벌 · AD

Rating Graph
Avg3.3(75)

<울트라 코리아> 10주년 기념 이벤트

파라다이스시티 인천에서 만나보는 전세계 최정상 라인업

울트라 뮤직 페스티벌 · AD

Author/Translator

Comment

4

Table of Contents

머리말 가와이 하야오 씨와 나눈 기적 같은 대화?6 첫째 날 밤 ‘이야기’를 만들고 ‘이야기’ 속에 사는 것?11 1. 사회로부터 초연할 수 있는가??13 2. 한신 대지진과 마음의 상처?22 3. 언어적 표현과 이미지로서의 투영?27 4. 〈인생 상담〉란에 비친 미묘한 해답의 차이?33 5. 소설가가 되고 나서 깜짝 놀란 것?36 6. 개인과 개성, 그리고 개인주의?44 7. 한국과 중국의 독자들이 원하는 단절된 삶?48 8. 걸프전에 대한 일본의 교활성과 애매성?55 9. 《상실의 시대》와 전환점이 된 《태엽 감는 새》?63 10. 소설이 자기 자신보다 앞서 가고 있다는 감각?70 11. 결혼과 ‘우물 파기’?74 12. 결혼은 고통을 자초하는 건가??81 둘째 날 밤 우리는 이제 어디로 가야 하는가??89 1. 신체와 정신의 상관관계?91 2. 작품과 작가의 관계?101 3. 이야기 속에 담긴 결합하는 힘?107 4. 인과 법칙을 넘어서?111 5. 치유하는 것과 살아가는 것?119 6. 개성과 보편성의 차이?126 7. 종교와 심리치료?132 8. 노몬한에서 있었던 일?136 9. 폭력성과 작품 속의 표현 문제?144 10. 일본 사회 속 폭력의 심각성?149 11. 고통과 자연?155 12. 우리는 이제 어디로 가야 하는가??159

Description

세계적 작가 하루키, 마음 전문가 하야오 시대를 대표하는 두 실천가의 성찰과 고백 “우리는 이제 어디로 가야 하는가?” 현대 사회를 살아가는 우리들이 겪어야 하는 ‘시대의 고뇌’란 무엇인가? ‘시대의 병’을 치유하는 두 실천가의 진솔한 치유책을 들어본다. 가와이 하야오는 일본 융 학파의 선구자이자 세계적인 학자이다. 신화·문학·종교·과학·심리학을 넘나드는 방대한 지식을 수백 권의 저서로 풀어냈으며, '일본 지성계의 살아 있는 권위'로 추앙받고 있다. 무라카미 하루키는 1979년 <바람의 노래를 들어라>로 데뷔한 이래 숱한 베스트셀러를 펴낸, 설명이 필요 없는 소설가이다. 두 사람이 처음 만난 것은 각자 미국에서 생활하던 시절이었다. 하야오는 주위 사람 권유로 하루키의 소설들을 차례차례 읽어가면서, 그 안에 나타난 현대인의 심리적 문제에 깊이 공감한다. 하야오는 1994년 봄 미국의 프린스턴대학에 가게 되는데, 이때 보스턴에 있던 하루키가 찾아와 두 사람은 처음 만나게 된다. 하루키는 “외국에 살다 보면 일본에 있을 때는 좀처럼 만나기 힘든 분을 만날 기회가 찾아오기도 한다”고 가와이 하야오를 만났을 때의 기쁨을 표현했다. 머릿속에 뒤엉켜 있던 실타래가 풀리는 듯한, 숨통이 트이는 듯한 ‘치유’의 느낌을 받았다고 한다. 일본에 돌아온 후 하루키는 이틀 일정으로 교토에 사는 하야오를 만나러 가는데, 그때 두 사람이 나눈 대화를 담은 것이 바로 이 책이다. 격식을 갖춘 ‘대담’ 형식이 아니라, 느긋하고 자유롭게 대화를 나누면서 머릿속에 떠오른 것을 솔직하게 풀어낸다. 때가 옴진리교 사건과 한신 대지진이 발생한 1995년이라, 이와 관련된 화제가 자주 등장한다. 하루키가 이야기하는 미국 생활과 1960년대의 학생운동, 옴진리교 사건, 한신 대지진의 충격을 가와이 하야오는 깊이 경청한 후, 한 사람 한 사람이 독자적인 ‘이야기’를 가지고 살아가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 역설한다. 두 지성이 만나 개성과 보편성, 개인적 삶과 사회 참여, 소설의 본질, 일본 사회 속의 폭력성, 결혼 생활 등, 현대사회를 살아가면서 겪는 여러 문제와 내면에 잠재한 고뇌를 허심탄회하게 털어놓은 책이다. 가와이 하야오 씨와 나눈 기적 같은 대화 가와이 씨와 마주 앉아서 이야기를 나누다 보면 나는 늘 감탄하게 된다. 그는 결코 자신의 생각대로 상대를 움직이려 하지 않기 때문이다. 상대의 생각이 자발적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해하지 않으려고 세심한 주의를 기울이고, 상대의 움직임에 맞춰 자신의 위치를 조금씩 바꾼다. 예를 들면 내가 그때 소설을 쓰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되자 나를(혹은 내 작품을) 유도할 가능성이 있는 말은 아예 꺼내지 않고 작품과는 아무 관계도 없는 이야기를 주로 했다. 그러면서도 자연스러운 생각의 흐름이 몇 가지 있다는 것을 시사하여 결과적으로는 나 스스로 그것을 발견하게 했다. 적어도 나는 그렇게 느꼈다. 그럼으로써 은연중에 나를 많이 격려해 주었다고 생각한다. 나는 이론가라기보다는 실천가 타입의 사람이며 작가이다. 때문에 전문적인 ‘실천가’로서의 가와이 씨의 자세에 공감이 가는 점이 많았다. 특히 가와이 씨의 빠른 사고방식의 전환과 초점을 하나로 정했을 때의 예리한 의식의 집중력에 관해서는 이야기를 나누면서 줄곧 감탄했다. ―무라카미 하루키

Collections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