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ble of Contents
Table of Contents
들어가는 글 3·1 운동 전후 국내외 주요 사건 제1부 3·1 운동 그리고 세계 1장 선언: 현재가 된 미래 1919년 3월 1일 서울, 중앙학교생 채만식/ ‘독립’과 ‘만세’의 선후 관계/ 독립선언서 비교론/「기미독립선언서」의 비밀/ 전염되고 변형되고 증식되는 선언서/ 신문과 격문의 자발적 속전들/ 언어의 힘, 운동의 테크놀로지 2장 대표: 자발성의 기적 강화도 은세공업자, 전 육군 상등병, 34세 유봉진/ “대표로서 소요를 감행하려 하니 사진을 찍으라”/ ‘대표’의 즉흥성과 비체계성/ 우드로우 윌슨의 ‘대표’/ 선교사의 양자 김규식, 조선을 대표하다/ 대표와 인민 사이 ― 유토피아적 직접성의 논리/ 매개 없는 세계 혹은 또 다른 대표 3장 깃발: 군왕과 민족과 대중 경성직뉴주식회사 서기, 24세 이희승/ 3월 1일 서울, 깃발 대신 모자를 휘두르며/ 태극기, 대한제국의 기억/ 왕의 목을 베는 대신 왕을 위해 통곡하고/ ‘공화만세’와 국민주권론/ 독립만세기와 만세 태극기, 대한제국의 비판 혹은 보충/ 공론장으로서의 3·1 운동/ 3·1 만세와 6·10 만세 4장 만세: 새 나라를 향한 천 개의 꿈 천도교구실 소사, 36세 이영철/ 독립했다면 어떤 나라를/ 희망과 요구, 불쾌와 평화의 ‘만세’/ ‘새 나라’, 토지 분배와 생활 개선에의 소망/ “만세 안 부르면 백정촌이 된다”/ ‘조선독립만세’를 외친 일본인들/ 파리평화회의를 논하는 농민들/ 희생의 실체론― “11인 영혼이 씻사오니” 제2부 1910년대와 3·1 운동 1장 침묵: 망국 이후, 작은 개인들 1910년 8월, ‘이상할 만큼 조용한’ 서울/ 뜻밖에 견딜 만한 식민지/ 양민으로서의 생애, 작은 성공과 쾌락/ 운동회와 탐승회, 그리고 1915년 조선물산공진회/ ‘만세전’의 풍경 ― 증세, 토지조사사업, 공동묘지령/ 물가고, 동맹파업, 1918년의 쌀소동 2장 약육강식: 진화론의 갱생, 인류의 탄생 윤치호, “물 수 없다면 짖지도 마라”/ 약육강식이 보편법칙이라면 식민지는 왜/ 경쟁하는 우리, 이 구차한 현실을 넘어서/ 걸인과 낙오자를 바라볼 때/ 문명론에서 인류의식으로/ ‘인류적 양심’과 ‘도의의 시대’/ 일본의 보편주의와 조선의 보편주의/ “이 기회가 어찌하여 체코·폴란드만의 기회이겠습니까” 3장 제1차 세계대전: 파국과 유토피아 1915년 10월, 블라디보스톡에서 민스크까지/ 제1차 세계대전에 참전한 조선인들/ 일본의 시베리아 출병/ 전쟁의 위생학, 죽음이라는 대가/ 전쟁의 도덕화, ‘폐허 이후’의 기대 4장 혁명: 신생하는 세계 메이지대 학생 양주흡, “민중이 회집하여 혁명을”/ 1911년 신해혁명, 중화체제의 종말/ 동아시아 진보 연대/ 『학지광』의 ‘혁명’/ 러시아혁명이라는 새로운 의제/ 3·1 운동과 ‘혁명’ 제3부 3·1 운동의 얼굴들 1장 시위문화: 정치, 일상의 재조직 북 치고 나팔 불고 노래를 부르며/ 팔각정·가마니더미·고무신수레/ 산상시위와 봉화/ 물동이 준비한 시민들과 한복 입은 학생들/ 선언과 격문의 테크놀로지/ 유생 송준필, 서당 마룻장을 뜯어내 통고문을 인쇄하다/ 등사기 네트워크와 출판의 법리/ 독립의 비밀, 독립의 자금 2장 평화: 비폭력 봉기와 독립전쟁 마사이케 중위 피살 사건/ 식민자의 목숨과 피식민자의 목숨/ 그들은 왜 무기를 탈취하지 않았나/ “때리고 불 지른다고 해서 만세를 불렀다”/ 구타와 파괴, 때로는 축제 같은/ 3·1 운동 이후의 무장투쟁, 잔혹한 반격 그리고 3장 노동자: 도시의 또 다른 주체 서울 봉래동, 3월 22일 노동자대회/ 밤의 노동자, 대안적 봉기 주체/ 3월 말 서울, 투석과 횃불의 게릴라성 시위/ ‘노동의 레짐’의 변화와 8시간 노동제/ “삼베로 머리띠를 두른” 자들, 광산·농업 노동자/ 3·1 운동의 주체와 한국 사회주의 4장 여성: 민족과 자아 아산보통학교 교사, 15세 박경순/ 서울 대정권번 기생, 21세 정금죽/ 개성 북부교회 전도사, 39세 어윤희/ ‘미친 누이’, 칼 휘두른 백정 아낙들/ 여성이 정치와 조우할 때 / 3·1 운동기 여학생의 소설적 재현/ 이광수와 심훈의 여성 주인공/ ‘팔 잘린 소녀’, 여성과 희생제의 제4부 3·1 운동과 문화 1장 난민/코스모폴리탄: 국경을 넘는 사람들 3·1 운동과 망명 문학, 강용흘과 이미륵/ 『초당』과 『압록강은 흐른다』, 이주자의 행로/ 헤이그 밀사 이위종과 몽골의 어의 이태준/ 민족주의 너머의 방랑/ 신분 증명과 여행 증명/ 민족국가와 치안의 경계―국민과 난민 2장 이중어: 제국의 언어와 민족의 언어 조선어를 잡아먹는 일본어/ 식민권력의 유학 정책과 한문 정책/ ‘허약한 제국주의’와 매체의 지형/ 신문관과 최남선, 『매일신보』와 이광수/ 한글운동과 문학운동, 그리고 동인지 세대/ 식민지의 이중 언어/ ‘국어를 상용하는’ 조선인들 3장 낭만: 문학청년, 불량의 반시대성 ‘3·1 운동 세대’로서의 『백조』 동인/ 배재고보 3년생, 김기진의 봄/ 휘문고보 3년생, 정지현의 문학과 노동자대회/ 3월 1일 이전, 외롭게 죽어갈 때 민족은/ ‘자유’와 ‘문화’의 관계/ “피동적 문명이 무슨 만족이 있을손가”/ 패션의 정치학과 ‘꿈’의 지도/ 1929년 11월 3일 대구, 시인 이장희 4장 후일담: 죽음, 전락, 재생 그리고 다 못한 말 이토록 많은 후일담/ 배반당한 숭고―「피눈물」과 「태형」 사이/ 「민족개조론」, 변신 또는 배신/ 이광수와 신세대, 시간을 둘러싼 경쟁/ ‘만세후’로서의 「표본실의 청개구리」/ 신세대의 기억, 유년 속 3·1 운동 나가는 글 감사의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