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월; 초선전

Park Seo-lyeon and other · Novel
244p
Where to buy
content
Rating Graph
Avg 3.4(56)
0.5
3.5
5
Rate
3.4
Average Rating
(56)
Comment
More

《체공녀 강주룡》으로 제23회 한겨레문학상을 수상하며 “전혀 다른 여성 서사를 만”나게 한다는 평을 받았던 박서련이 다시 한번 전혀 다른 여성 서사를 우리에게 보여준다. 올해 서울국제도서전 ‘여름 첫 책’에 선정되어 도서전에서 선공개된 후, 은행나무출판사에서 정식 출간되는 《폐월; 초선전》을 통해서다. 이번 소설의 주인공은 ‘그녀의 얼굴이 너무 아름다워 달마저 자신의 얼굴을 가렸다(폐월)’는 《삼국지(연의)》 속 등장인물, 초선이다. 박서련은 초선을 1인칭 화자로 삼아 직접 자신의 생을 말하게 한다. 남성 영웅의 서사가 난무하는 《삼국지》에서 아름다움을 무기로 삼은 여성 초선, 과연 그녀의 입으로 재현되는 그녀의 삶은 어떠할까. 뮤리엘 루카이저는 그의 시에서 이렇게 말한 바 있다. “한 여자가 자기 삶의 진실을 말한다면 어떻게 될까? 세계는 터져버릴 것이다.” 여기, 바로 그 역할을 감당하는 책이 있다. 박서련의 《폐월; 초선전》에서는 초선의 입으로 재현되는 초선의 이야기가 펼쳐진다. 남성 영웅 서사로 가득했던 《삼국지》를 모두 터트려버릴 강렬한 에너지를 품은 채로.

Rating Graph
Avg 3.4(56)
0.5
3.5
5

Author/Translator

Comment

10+

Table of Contents

무명 자사 두화 초선 도화 폐월 봉선 중영 초선 나 작가의 말 발문

Description

“이리하여 이야기의 필요로 발명된 여자는 살아서 이야기를 빠져나간다. 나의 초선은 살아남는다.” 한겨레문학상, 문학동네 젊은작가상 수상작가 박서련이 다시 쓰는, 욕망하는 여성 초선! 《체공녀 강주룡》으로 제23회 한겨레문학상을 수상하며 “전혀 다른 여성 서사를 만”나게 한다는 평을 받았던 박서련이 다시 한번 전혀 다른 여성 서사를 우리에게 보여준다. 올해 서울국제도서전 ‘여름 첫 책’에 선정되어 도서전에서 선공개된 후, 은행나무출판사에서 정식 출간되는 《폐월; 초선전》을 통해서다. 이번 소설의 주인공은 ‘그녀의 얼굴이 너무 아름다워 달마저 자신의 얼굴을 가렸다(폐월)’는 《삼국지(연의)》 속 등장인물, 초선이다. 박서련은 초선을 1인칭 화자로 삼아 직접 자신의 생을 말하게 한다. 남성 영웅의 서사가 난무하는 《삼국지》에서 아름다움을 무기로 삼은 여성 초선, 과연 그녀의 입으로 재현되는 그녀의 삶은 어떠할까. 《삼국지》에서 초선은 아름다움을 통해 두 영웅, 동탁과 여포를 이간질했다는 고사로만 알려져 있다. 그러나 박서련은 초선에 대한 여러 이야기와 당대의 시대상을 융합해 새로운 초선, 자신의 입으로 말하는 여성 초선을 만든다. 박서련의 초선은 가난하고 흉흉한 시절 자신을 팔아먹으려는 부모로부터 도망쳐 나온 생존자이며, 오물이 가득한 길거리에서 제대로 씻지도 못한 채 살아본 거지이며, 거지 대장에게 배운 거짓말로 자신이 충신의 딸이라 속여 한나라의 장군인 왕윤의 수양딸이 되는 영악한 소녀다. 초선관을 쓰는 관직으로 나아가고자 해 스스로 ‘초선’으로 이름 지은 그녀는 누구보다 적극적으로 욕망하며, 욕망을 위해 자신의 지식과 위치, 미와 추를 모두 이용한다. 이런 그녀에게 아름다움은 유일한 무기가 아니다. 뮤리엘 루카이저는 그의 시에서 이렇게 말한 바 있다. “한 여자가 자기 삶의 진실을 말한다면 어떻게 될까? 세계는 터져버릴 것이다.” 여기, 바로 그 역할을 감당하는 책이 있다. 박서련의 《폐월; 초선전》에서는 초선의 입으로 재현되는 초선의 이야기가 펼쳐진다. 남성 영웅 서사로 가득했던 《삼국지》를 모두 터트려버릴 강렬한 에너지를 품은 채로. “정말 여자는 관리가 될 수 없습니까?” “여인으로서 관모에 손댈 수 있는 자는 오직 초선뿐이란다.” “그러면 저도 초선이 되겠습니다.” 후한 말, 열 명의 내시(십상시)들이 황실을 장악하고 부정부패를 일삼자 각지에서 태평도라는 종교를 기반으로 한 ‘황건당’의 반란이 일어난다. 백성의 삶은 피폐해져 사람을 잡아먹는 지경에 이르렀는데, 이때 ‘나’가 태어난다. ‘나’는 아이를 잡아먹기로 결정한 부모에게서 도망쳐 어린 거지 패에 들어간다. “살고 싶다”, ‘나’는 치열하게 욕망하며 악착같이 살아남으리라 생각한다. 삶이 더 팍팍해지자 민간 구휼을 베푸는 태평도에 들어간 거지 아이들은 황실의 군대가 예주에 들이닥쳐 황건당을 공격할 때 뿔뿔이 흩어진다. 혼비백산하여 도망치다가 한 군인에 의해 발견된 ‘나’는 거지 대장이 알려준 수법으로 군인의 환심을 얻고, 그의 양녀가 된다. “저는 본디 낙양에서 났으며…… 충신의 후손이오만…….” 대장에게서 배운 거짓말을 내뱉는데 눈물이 덩달아 왈칵 쏟아졌다. “십상시의 농단으로 멸문의 화를 입고 홀로 살아남았으나 끝내 이 꼴이 되었나이다…….” 울면서도 나는 장수의 눈치를 보았다. 장수는 내 말을 믿는 눈치였다. 내가 그렇게 말하며 울어서 더욱 나를 믿는 듯했다. “네 이름이 무엇이냐?” 나는 고개를 저었다. 이름 같은 것 정말로 모르니까. 거지 떼끼리는 함부로 이름을 부르지도 않았고 이름을 짓지도 않았다. 어차피 오늘 죽을지 내일 죽을지 모르는 애 이름을 기억해봤자, 지어줘봤자니까. 이름으로 부르면 기억에 오래 남아 피차 괴로우니까. 무리의 누구도 내 이름을 모르듯 나 또한 누구의 이름도 알지 못했다. 대장의 이름조차 나는 몰랐다. ―본문 28쪽 ‘나’를 거둔 군인은 황제의 스승인 ‘자사’ 지위에 있는 왕윤으로, 왕윤은 ‘나’를 양녀로서 잘 키워 여자로서 할 수 있는 최선의 일, 즉 천자나 태자의 아내가 되게 만들겠다고 말하지만, ‘나’는 여자로서는 정녕 관직에 오를 수 없는지 묻는다. 왕윤은 여자로서 관직에 오르는 유일한 길은 높은 관직의 관리에게 허락되는 초선관이라는 관모를 관리하는 ‘초선’뿐이라고 대답하고, 이에 ‘나’는 초선이 되고 싶다고 말한다. 이것은 곧 ‘나’의 이름이 된다. 한편 ‘나’는 자신을 구해준 왕윤에게 아버지 이상의 친밀감을 느끼고 왕윤이 더 높은 관직에 올라가면 그의 초선관을 관리하는 사람이 되겠다는 비틀린 애정을 품는다. 그렇지만 그때, 아버지가 자사 같은 것은 생각도 말라던 때에, 나는 어려서 아버지의 말을 알아듣지 못하고 계속 고집을 부렸다. 저도 자사가 되고 싶습니다. 아버지처럼. 왜냐하면 어떤 아이도 다리 밑에서 굶어 죽는 일이 없게 하고 싶어서. 아버지는 그제야 여자에게는 벼슬을 주지 않는다고 말했다. 정말 여자는 관리가 될 수 없습니까? 그래, 여인으로서 관모에 손댈수 있는 자는 오직 초선뿐이란다. 초선관모는 담비[貂] 털과 매미[蟬] 날개로 만들어 망가지기가 쉽다. 삼공이나 그 이상 가는 높은 관직에 오른 사람의 집에나 황제의 곁에는 그 관만을 모시고 손보는 여인을 둔다. 그런 여인을 초선이라 부른다. 그러면 저도 초선이 되겠습니다. ―본문 51~52쪽 어느 날 ‘나’에게 또래의 시종 ‘도화’가 붙는다. 말벗을 만들어주려는 왕윤의 의도와 달리, 도화는 ‘나’에게 네가 거지 출신이라는 것을 안다며 의뭉스럽게 군다. 집 안에 연못을 파면 어떻겠냐는 도화의 제안을 ‘나’는 못 이기는 척 수락하고, 일꾼으로 온 무리에서 거지 대장을 알아본다. 도화와 거지 대장의 이야기를 통해 둘이 태평도에서 서로를 알게 되었으며, 곧 태평도의 무리(황건적)이 왕윤의 집을 습격하리라는 것을 알게 된 ‘나’는 거지 대장이 ‘나’에게 몰래 건네준 면사지편(죽음을 면하게 해주는 조각)이라고 쓰인 패를 받는다. 한편 거지 대장을 좋아하던 도화는 왕윤에게 ‘나’가 거지 출신이라는 사실을 고하고, ‘나’는 왕윤을 독대해 자신이 거지 패에 있었던 것은 사실이나 그 전에 충신의 가문에 있었다는 것은 믿어주셔야 한다고 말하며, 도화와 거지 대장의 이야기로 추론한 황건적의 습격 소식을 밀고한다. 확실하게 속이기 위해 자신을 벌하고 가두라고 하며 ‘나’는 왕윤에게 계략을 말하고, ‘나’의 계략대로 행동한 왕윤은 자신의 집을 습격한 황건적 무리를 완전히 토벌하게 된다. “저를 가두소서.” “뭐라?” “저를 모함하여 집안의 이목을 제 쪽으로 모아두고 아버지를 습격하는 것이 애초의 계획이었을 것입니다. 제가 마땅한 벌을 받는 듯이 보이지 않으면 죽편에 적어둔 일자대로 움직이지 않을 공산이 큽니다. 하여 제게 벌 내리는 시늉을 하시고 은밀히 군사를 모아 죽편이 가리키는 일자에 태평의 무리를 일거에 때려잡으소서.” “하지만…….” 아버지는 망설이셨다. 어질게도 나를 위해 망설여주셨다. “네 말대로 하는 것은 군사적으로 모범된 작전이다. 그러나 그러려면 네가 고초를 겪어야 하지 않니.” “아버지…….” 나는 아버지 앞에 무릎을 꿇고 고개를 더욱 조아렸다. “아버지께 도움이 될 수 있다면 소녀는 어떤 고초든 달게 겪을 수 있나이다.” 이것이야말로 내 속에서 나온 뜻 중 가장 참된 것이었다. ―본문 100~101쪽 토벌에 성공한 공을 인정받아 수도 낙양으로 향하는 길에서 ‘나’는 왕윤에게 자신의 지아비가 되어줄 것을 청한다. 왕윤은 이를 단칼에 거절하고, 낙양에 도착하자 ‘나’를 집 안에서 부리는 기생, 가기(家妓)의 처소로 보낸다. 가기들 사이에서 노래와 검무를 익히던 ‘나’는 같은 방을 사용하던 도화와의 관계를 통해 성적 욕망에 눈뜨기 시

Collections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