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ble of Contents

책머리에 1 실용 만능 시대에도 역사를 찾는 이유 01_올바름의 기준: 역사의 심판에 기대는 세 부류의 사람들 02_방향성: 가야 할 쪽을 지시하는 집게손가락 03_정체성: 내가 선 곳이 어디인지 알려주는 이정표 04_교훈: 지혜롭지만 불친절한 스승 05_호기심: 우리 안의 하이디는 어디로 가버린 걸까? 2 역사적 사실과 진실 06_소재적 사실과 해석적 사실: 여양리 골짜기에서 발견한 그루터기 사실 07_증거를 위한 투쟁: 바르샤바 게토의 녹슨 우유통 08_딱딱한 사실, 부드러운 사실: 제주 심방굿과 영게울림 09_역사적 사실과 진실의 간격: 한국전쟁의 영웅 심일 이야기 3 역사가의 방법 사용 설명서 10_사료비판: 직업적 역사가의 첫걸음 11_비교: 공통점과 차이점을 발견하는 지름길 12_반사실적 가정: 경험적 상상의 힘 13_계량: 시계열 속에서 변화의 추세 읽기 4 시간 감각과 역사의식 14_역사적 사고와 역사의식의 형성: PRO와 EPI의 융합 15_시간 개념의 변화: 자연의 시간, 수도원과 장원의 시간, 공장의 시간 16_역사적 시간의 세 층위: 파도의 시간, 해류의 시간, 해구의 시간 5 세계사를 읽는 네 개의 키워드: 순환-진보-발전-문명 17_순환: 금․은․동․철 시대의 반복 18_진보: 문명을 향해 달리는 우상향의 고속도로 19_발전: 문명의 진보, 문화의 쇠락 20_문명: 집단적 개체들의 파노라마 6 역사를 어떻게 볼 것인가: 세 개의 역사관 21_구원론: 역사란 신의 섭리가 실현되는 과정 22_관념론: 세계사는 자유를 의식하는 과정 23_유물론: 모든 역사는 계급투쟁의 역사 7 객관적 역사서술의 꿈 24_랑케: 역사가가 죽어야 역사가 산다 25_막스 베버: 이념형 외에는 길이 없다 26_칼 베커: 역사가에게 객관성은 없다 8 다시, 역사란 무엇인가 27_역사란 기억된 과거 28_역사란 기록된 과거 29_역사란 지우고 다시 쓰는 기억의 양피지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