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반라이크 URBANLIKE 41호 : 집에서 일하기

어반라이크 편집부
192p
Where to buy
Rating Graph
Avg3.3(6)
Rate
3.3
Average Rating
(6)
기록할 만한 가치가 있는 이슈를 선정해 도시 현상을 고유의 창의적인 시각으로 담아내는 '도시 아카이브 매거진'이다. 이번 41호 '집에서 일하기 Working from Home' 이슈는 2017년 출간된 36호 '서울의 생활공간 Living Spaces in Seoul 101'과 2019년 출간된 39호 '일하는 공간 The Workplace'을 잇는 연작 시리즈이다.

여기 우리 음악이 있다

더욱 뜨겁게 돌아온 15번째 축제!

2024 여우락 페스티벌 · AD

Rating Graph
Avg3.3(6)

여기 우리 음악이 있다

더욱 뜨겁게 돌아온 15번째 축제!

2024 여우락 페스티벌 · AD

Author/Translator

Table of Contents

新 문방사우 : Tools for The Artistic Mind People '자기만의 방'을 꾸려 창작 활동을 이어간 전설의 여성 창작자 5인에 영감을 받은 문구 셀렉션 다산 정약용의 일하는 집 : Wisdom in Life 건축가 김대균이 말하는 세밀한 취향을 가진 실학자 정약용을 통해 본 집의 의미 조선의 홈퍼니처 : Made by Chosun 재택근무가 일상이었던 조선 시대 가구와 도구 카탈로그 재료가 기능이 될 때 : Acrylic Area 재료의 본질을 탐구하는 아티스트 윤라희와 가 만든 홈 오피스를 위한 스테이셔너리 집을 나에게 맞췄습니다 : My Own Identity 콘텐츠 기획 회사 '워드앤뷰' 임나리 대표의 일과 일상, 육아에 대한 기록 비트라 써밋 : 2020 How's Work? 스위스의 사무 가구 브랜드, 비트라가 진행한 코로나 이후의 업무 환경에 대한 디지털 정상회담 리포트 집의 기능을 바꾼 창작자들 : Life Tour '집'과 '오피스'의 기능을 합친 일상을 영위하고 있는 서울의 창작자의 집 낯설지 않은 집 : Architecture for The People 임태병 & 김우상 건축가, 그리고 황선우 작가가 나눈 주거 그리고 건축에 대한 이야기 나의 홈 오피스 : My Home Office 동시대 주목받는 공간 디자이너 5인이 말하는 앞으로의 주거 문화

Description

"이 도시를 사는 법, 어반라이크!" 패션과 문화를 중요하게 여기는 도시인의 소비생활에 뿌리를 두고 있으면서 그것과 맞닿은 동시대 Contemporary 창작자들의 라이프스타일을 담은 '도시 아카이브 매거진 Urban Archive Magazine' 《어반라이크》는 기록할 만한 가치가 있는 이슈를 선정해 도시 현상을 고유의 창의적인 시각으로 담아내고 있습니다. 집에서 일하기 : Working from Home 이번《어반라이크》41호 '집에서 일하기 Working from Home' 이슈는 2017년 출간된 36호 '서울의 생활공간 Living Spaces in Seoul 101'과 2019년 출간된 39호 '일하는 공간 The Workplace'을 잇는 연작 시리즈입니다. 41호가 다시금 '집'에 주목한 이유는 코로나 팬데믹으로 인해 '쉼'의 공간이었던 집의 기능이 확장될 수밖에 없다는 이유에서입니다. 사회적 거리 두기로 인해 비대면 업무가 늘어나면서 사무실이라는 물리적 공간의 필요성, 조직의 운영 방식과 개인의 역할 등의 변화가 급속도로 진행되고 있습니다. 이제는 간헐적 출퇴근을 하든, 재택근무를 하든, 어떤 식이로든 집에서 일하는 시간은 점차적으로 늘어날 것입니다. 《어반라이크》의 제안이 모든 이에게 꼭 들어맞는 방식은 아닐지 모릅니다. 다만, 남들처럼 살지 않아도 충분히 만족할 수 있는 삶을 살 수 있다는 사실을 전하고 싶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