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ble of Contents
책머리에 | AI 시대에 트렌드 책은 왜 읽나요?
프롤로그 | 거품 빼고 딥다이브
《2025 트렌드 노트》에 대한 첨언
1부 인공지능과 인간다움
1장 AI 시대, 오프라인 공간의 새로운 가치
AI 10년사: ‘나’가 주어가 될 때 비로소 트렌드다
AI의 미래: 반려
AI 시대, ‘나’의 실체성: 오프라인 공간의 의미
AI로 안 되는 것: 그럼에도 인간이기에 성장하고 싶다
마케터를 위한 시사점
2장 논디지털한 취미생활이 주목받는 이유
왜, 아날로그인가?
아날로그 취미의 새로운 가치, ‘함께’
새로운 트렌드를 읽는 단서
마케터를 위한 시사점
2부 경험과 정체성
3장 자기계발 10년사, 나를 성장시키는 방식의 변화
거창한 ‘성공’ 대신 손에 잡히는 ‘성장’
내가 통제할 수 있는 단 하나, 내 몸
새로운 자기계발 공식: 작고 반복되는 것들
‘정말 나를 사랑한다면’
마케터를 위한 시사점
4장 덕질한다는 건, 가장 나답게 산다는 것
팬덤이 시장을 움직인다
덕질로 나를 발견하는 10대, 나를 위로하는 20~30대
야구와 밴드 덕질이 뜨는 이유: 성장감, 몰입감, 해소감
과몰입과 무지성에서, 가성비와 건강함으로
덕질의 종착지는 결국 ‘나’
마케터를 위한 시사점
5장 ‘무도 키즈’, 사회인이 되다
콘텐츠가 정체성이 되는 경우
‘무도 키즈’의 정체성, 인증으로 이어진다
‘무도 키즈’의 집단 정체성
‘무도 키즈’에서 ‘무도 손자’로 전승되는 정체성
‘무도 키즈’가 확산시킬 문화적 DNA
마케터를 위한 시사점
3부 몸과 마음의 건강
6장 불안의 시대, 회복과 위로를 소비하다
불안, 함께 살아가야 하는 감정
회복의 시간을 채우는 것들
일상의 틈새에서 얻는 위로
자기이해는 단단한 나를 만들어준다
마케터를 위한 시사점
7장 이 시대 ‘집밥’의 의미
가장 건강한 61세, 가장 건강하지 않은 32세
저속노화, 혼자 오래 살아갈 그대들을 위하여
나를 위해 요리하는 첫 세대
그럼에도 우리는 디저트를 먹는다
마케터를 위한 시사점
에필로그 | 돈, 가족, 고령에 대하여
부록 | 《트렌드 노트》 프롤로그로 보는 지난 10년의 변화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