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문
Chapter 1. 비트코인이라는 새로운 규범
· 정의(Definition): 비트코인이라는 철학적 사건
정의의 한계와 오리너구리 | 비트코인, 정의를 무력화하는 존재
· 실체(Substance): 화폐의 본질은 무엇인가?
실물 없는 실재 | 희소성과 신뢰, 화폐현상의 역사적 교훈
· 가치(Value): 누구에게 어떤 조건에서 생겨나는가
노동 시간과 생산성의 응축물로서의 금 | 비트코인과 한계비용: 에너지로 구현된 노동 가치 | 가치는 누구에게, 어떤 맥락에서 작동하는가?
· 규범(Norm): 국가를 초월한 규범
자생적 규범으로서의 비트코인 | 비트코인은 놂이다
[한 걸음 더 1] 국가를 초월하는 법체계들
[한 걸음 더 2] 이중주권
[한 걸음 더 3] 카노사의 굴욕(The Humiliation at Canossa, 1077)
[한 걸음 더 4] 이중주권의 실험실: 미국 유타주와 모르몬 공동체의 자치 질서
[한 걸음 더 5] 주식과 비트코인: 자산버블과 정보의 비대칭
Chapter 2. 달러
· 달러 패권
브레턴우즈 체제 | 페트로달러 | 유로달러 시장의 부상과 글로벌 자본 흐름의 재편
· 달러 위기의 세계화
대인플레이션과 볼커 쇼크 | 남미의 ‘잃어버린 10년’ | 플라자 합의와 일본의 버블 경제 | ‘달러 문제의 외부화’ 구조와 그 지속성
· 달러 체제의 지정학적 해법
중국과의 데탕트와 골디락스 | ‘금융의 민주화’라는 신화
· 2008년 금융위기
시스템이 만들어낸 착각, 리먼의 붕괴 | 달러 패권의 역설과 비대칭적 금융 질서의 심화
· 중국의 자의식 팽창과 질서 도전
해결사 중국의 부상과 국가주의로의 전환 | 일대일로와 금융 주권 실험 | 문명적 대안의 붕괴와 신냉전의 서막
[한 걸음 더 1] 역사는 반복되는가? 스페인제국의 디폴트와 미국의 미래
[한 걸음 더 2] 수학의 실패와 인간의 본성: 금융공학의 맹신과 파생상품 시대의 그림자
[한 걸음 더 3] 선택압과 인간 집단의 진화
[한 걸음 더 4] 중국의 트릴레마
[한 걸음 더 5] 중국의 디지털 통화 전략
Chapter 3. 세계를 떠받치는 미국 국채
· 신뢰의 피라미드와 국채의 탄생
현대 금융의 신뢰 피라미드 | 담보의 전환과 통화의 진화
· 무위험 자산이라는 신화와 유동성의 기술
현대 금융 시스템의 구조 | 만기에 따른 국채의 종류 | 담보 거래와 유동성의 기술: 레포 | 금융 기준의 전환: LIBOR에서 SOFR로 | 신뢰의 역설: 위기 속에서 더 강해지는 약속
· 구조적 균열과 새로운 담보 실험
레포 거래의 양면성: 레버리지와 유동성 위기 | 국채에 대한 구조적 신뢰 약화 | 새로운 담보 실험: 비트코인과 탈중앙 신뢰의 가능성
[한 걸음 더 1] 한국에서 자동차를 할부로 살 때도 레포를 이용한다
[한 걸음 더 2] 전략적 비축 자산으로서의 비트코인: 미국의 새로운 부채 관리 시나리오
Chapter 4. 탈달러 흐름과 미국의 역습
· 달러의 무기화와 금융 제재 시스템
달러의 권력화와 금융 제재 | SWIFT, 중립적 인프라에서 지정학적 무기로
· 역설적 반작용과 탈달러화 실천
달러 리스크 인식의 확산 | 제재에 대한 반작용: 탈달러 질서의 부상
· 디지털 달러 패권의 반격
스테이블코인의 기술적 진화와 글로벌 확산 | 디지털 달러화 전략과 스테이블코인의 제도화
[한 걸음 더 1] SWIFT 메시지 보안과 이종간 통화 메시지 예시
[한 걸음 더 2] SWIFT 망과 안전한 메시지로서의 화폐
[한 걸음 더 3] 테더사의 수난과 영광의 서사
[한 걸음 더 4] 크립토와 자금세탁: 디지털 가명성과 규제 권력의 충돌
[한 걸음 더 5] 양적완화와 인플레이션 그리고 스테이블코인
Chapter 5. 세계체제라는 패치워크
· 단일 질서의 환상과 세계 질서의 실상 228
힘의 균형이라는 세계 질서 | 빈 체제: 패권 없는 질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