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문법 교육론

방성원 and other · Humanities
416p
Where to buy
content
Rate
3.0
Average Rating
(1)
Comment
More

한국어 예비 교사들을 위해 문법 교육의 기초가 되는 언어 교수 이론, 한국어 문법 교육의 내용과 방법, 실제 문법 수업의 운영을 위한 준비 사항 등을 다루고 있다. 경력 교사들에게는 의사소통 중심의 교육 현장에서 문법 교수요목을 설계하거나 교재의 문법 항목을 집필할 때 응용할 수 있는 방안들을 제안하고자 한다. 대학과 대학원에서 한국어 교육을 전공하는 학생들, 문법 교수에 대해 체계적으로 다시 공부해 보고자 하는 경력 교사들, 문법 교육에 대해 탐구하고자 하는 연구자들에게 이 책을 권한다.

"우리가 사랑한 마법의 공간"

35주년 기념 재개봉, 극장에서 다시 만나요

왓챠

"우리가 사랑한 마법의 공간"

35주년 기념 재개봉, 극장에서 다시 만나요

왓챠

Author/Translator

Table of Contents

Ⅰ부 한국어 문법 교육의 기초 1장 언어 교수법의 흐름과 문법 교육의 위상?? 1. 문법 교육의 필요성?? 1.1. 문법 교육에 대한 찬성론?? 1.2. 문법 교육에 대한 비판론?? 2. 언어 교수법의 흐름과 문법 교육?? 2.1. 문법 번역식 교수법?? 2.2. 직접 교수법?? 2.3. 청각 구두식 교수법?? 2.4. 의사소통 중심 접근법?? 2.5. 형태 초점 접근법?? 3. 한국어 문법 교육의 의의?? 2장 한국어 교육 문법의 개념과 교수 원리?? 1. 문법의 개념 및 유형?? 1.1. 문법의 개념?? 1.2. 문법의 유형?? 2. 한국어 교육 문법의 특징 2.1. 역사적 특징?? 2.2. 목표 및 범위?? 2.3. 기술 방식?? 3. 한국어 문법 교수의 원리?? 3.1. 효율성?? 3.2. 적절성 3.3. 실용성?? Ⅱ부 한국어 문법 교육의 내용과 방법 3장 한국어 문법 교육의 단위와 내용? 1. 한국어 문법 교육의 단위? 1.1. 형태소? 1.2. 표현? 1.3. 문형? 1.4. 담화 표지?? 2. 사용을 위한 문법 교육의 내용?? 2.1. 문법 교육 내용의 영역?? 2.2. 형태?? 2.3. 의미?? 2.4. 화용?? 4장 한국어 문법 항목의 선정과 배열?? 1. 문법 항목 선정 및 배열의 원리?? 1.1. 문법 항목 선정의 기준?? 1.2. 문법 항목 배열의 원리?? 2. 등급별 한국어 문법 항목 ?? 2.1. 초급?? 2.2. 중급?? 2.3. 고급?? 3. 한국어 교수요목 설계와 문법 ?? 5장 한국어 문법 교육의 방법?? 1. 문법에 대한 접근 방식?? 1.1. 연역적 접근?? 1.2. 귀납적 접근?? 2. 문법 수업의 모형?? 2.1. 제시-연습-생성 모형?? 2.2. 과제 기반 모형?? 3. 형태 초점 교수의 활용?? 3.1. 형태 초점 교수 기법의 종류?? 3.2. 형태 초점 교수 기법의 사례 Ⅲ부 한국어 문법 수업의 구성 방안 6장 한국어 교재의 문법 항목 기술?? 1. 문법 항목의 기술 내용 ?? 1.1. 교재의 문법 항목 기술 방식?? 1.2. 문법 항목의 기술 구조?? 2. 표제어 ?? 2.1. 문법 항목의 표시 형식?? 2.2. 이형태의 제시 방법 ?? 2.3. 기타 기준?? 3. 의미와 용법?? 3.1. 의미부의 기술 ?? 3.2. 용법부의 기술?? 4. 형태 ?? 4.1. 조사의 형태 규칙?? 4.2. 어미의 형태 규칙?? 5. 예문?? 7장 문법 항목의 도입과 제시?? 1. 문법 수업의 구성 방안?? 2. 문법의 도입?? 2.1. 도입 단계의 기능?? 2.2. 도입의 방법?? 3. 문법의 제시?? 3.1. 제시 단계의 기능과 제시 원칙?? 3.2. 문법의 문형화?? 3.3. 예문의 활용 ?? 8장 문법 항목의 연습 ?? 1. 연습 단계의 특징?? 2. 연습의 유형 ?? 2.1. 교체 연습 ?? 2.2. 연결 연습 ?? 2.3. 변형 연습 ?? 2.4. 응답 연습 ?? 2.5. 상황 연습 ?? 2.6. 완성 연습 ?? 2.7. 확장 연습 ?? 2.8. 표를 이용한 형태 연습 ?? 3. 문법 연습 자료의 유형 ?? 3.1. 맞는 문법 항목 고르기?? 3.2. 빈칸 채우기?? 3.3. 대화 완성하기?? 3.4. 문장 연결하기?? 3.5. 목표 문법 형태 찾기?? 3.6. 그림 보고 쓰기 ?? 9장 문법 항목의 사용 및 수업의 마무리?? 1. 문법의 사용?? 1.1. 문법 과제 활동의 의의와 지도 방법?? 1.2. 문법 과제 활동의 유형?? 2. 문법 수업의 마무리?? 2.1. 마무리 단계의 특징 ?? 2.2. 유사 문법의 비교 Ⅳ부 한국어 문법 교육의 실제 10장 한국어 종결어미 교육의 실제 ?? 1. 용언의 구조와 어미 ?? 1.1. 용언의 구조 ?? 1.2. 어미의 종류?? 1.3. 종결어미와 상대높임법?? 2. ‘-습니다’의 지도?? 2.1. ‘입니다’, ‘입니까?’의 지도?? 2.2. ‘-습니다’, ‘-습니까?’의 지도?? 3. ‘-어요’의 지도?? 3.1. 준비?? 3.2. 문형의 제시와 통제된 연습?? 3.3. 사용?? 4. 종결어미 지도의 유의점 ?? 11장 한국어 조사 교육의 실제 ?? 1. 조사의 종류?? 1.1. 격조사?? 1.2. 보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