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어령의 말

Lee Eo-Ryung · Self-Development/Essay/Humanities
408p
Where to buy
content
Rate
3.0
Average Rating
(1)
Comment
More

세상을 떠난 지 3년이 되어가지만 이어령은 여전히 우리나라의 위대한 지성으로 살아 숨 쉬고 있다. 생을 마감할 때까지 끊이지 않는 호기심으로 물리적 세계와 정신적 세계를 넘나들며 사유했고, 그 결과를 수백 권의 책으로 남겼다. 『이어령의 말』은 이어령의 오랜 뜻이었다. 1970년대부터 이어령의 사유를 ‘사전화’하고자 하는 요청을 여러 차례 받았으나 때 이르다는 이유로 고사하고, 작고하기 7년 전쯤부터 수백 권의 저작 중 ‘이어령 말의 정수’라 할 만한 글을 추려 한 권으로 엮기를 바랐다. “그 한 권을 통해 후대의 독자들이 내가 평생 해온 지적 탐험을 쉽게 이해하면 좋겠다”라는 취지였다. 이 최후의 기획을 실현하기 위해 회의와 선정 작업을 숱하게 거쳤고, 책을 완성하기까지 3년 가까이 걸렸다. 그리고 마침내 이어령의 결정판이라 부를 수 있는 이 책이 탄생했다. 자기만의 언어로 사유하고, 방대한 저작물을 남긴 작가였기에 가능한 일이었다. 이어령은 이 한 권의 책으로 우리 앞에 다시 나타났다.

JEONJU IFF 예매권 이벤트

우리는 늘 선을 넘지!

전주국제영화제

JEONJU IFF 예매권 이벤트

우리는 늘 선을 넘지!

전주국제영화제

Author/Translator

Comment

1

Table of Contents

서문 | 어록은 이어령이 쓴 일행시다 1장 마음: 사랑의 근원 2장 인간: 나의 얼굴 3장 문명: 불완전한 동물들 4장 사물: 일상의 재발견 5장 언어: 환상의 도서관 6장 예술: 진리와 아름다움 7장 종교: 신과의 대화 8장 우리: 너 누구니 9장 창조: 물음표와 느낌표 사이 편집을 마치며 | 유언 같은 최후의 책 헌사 색인 저작물 목록

Description

나를 향해 쓴 글이 당신을 움직이기를 천 개의 단어, 생각의 틈을 비집는 문장들, 그리고 억겁의 시간이 모인 결정체 이어령의 말들 한 사람의 글에는 그 사람의 생이 담겨 있다. 이어령의 온 생이 고이 담긴 책 한 권이 우리를 찾아왔다. 2022년 2월 눈감을 때까지 평생 쉼 없이 읽고 쓰며 수많은 저작을 남긴 이어령은 생전 글 쓰는 일이 자신을 향해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나를 향해 쓴 글이 다른 사람에게 가닿아 그에게 느껴지고 그를 움직일 수 있게 한다면 그것이 곧 ‘감동’이며, 더없이 기쁜 일일 것이라 덧붙였다. 이것이 지면과 화면을 빌려 세상에 나온 글이 지닌 선순환적 역할이며, 먼저 돌아간 이가 지금을 살아가는 이들에게 남길 수 있는 가장 값진 유산일 것이다. 이제 그의 지성을 빌려 쓸 기회가 우리에게 주어졌다. 이어령을 아끼는 독자는 물론 이어령을 몰랐던 독자까지 이어령의 말을 듣고, 그의 생각을 느끼며 안갯속 같은 이 세상을, 자신에게 주어진 삶을 어떻게 살아갈 것인지 탐구하는 여정을 떠나볼 시간이다. 반드시 후대에 남기고 싶었던 최후의 기획이자 수백 권의 저작에서 뽑은 에센스 중의 에센스 한 권으로 이어령을 읽다 세상을 떠난 지 3년이 되어가지만 이어령은 여전히 우리나라의 위대한 지성으로 살아 숨 쉬고 있다. 생을 마감할 때까지 끊이지 않는 호기심으로 물리적 세계와 정신적 세계를 넘나들며 사유했고, 그 결과를 수백 권의 책으로 남겼다. 『이어령의 말』은 이어령의 오랜 뜻이었다. 1970년대부터 이어령의 사유를 ‘사전화’하고자 하는 요청을 여러 차례 받았으나 때 이르다는 이유로 고사하고, 작고하기 7년 전쯤부터 수백 권의 저작 중 ‘이어령 말의 정수’라 할 만한 글을 추려 한 권으로 엮기를 바랐다. “그 한 권을 통해 후대의 독자들이 내가 평생 해온 지적 탐험을 쉽게 이해하면 좋겠다”라는 취지였다. 이 최후의 기획을 실현하기 위해 회의와 선정 작업을 숱하게 거쳤고, 책을 완성하기까지 3년 가까이 걸렸다. 그리고 마침내 이어령의 결정판이라 부를 수 있는 이 책이 탄생했다. 자기만의 언어로 사유하고, 방대한 저작물을 남긴 작가였기에 가능한 일이었다. 이어령은 이 한 권의 책으로 우리 앞에 다시 나타났다. 그의 삶에서 나의 삶으로 짧은 말에 눌러 담은 깊고 넓은 사유 이어령은 우리말을 깊이 사랑했다. 자기 안팎의 세계를 우리말이 지닌 소박함과 경이로움으로 묘사하며 평생 우리말과 우리 글에 혼을 불어넣었다. 이어령의 탁월함은 특히 짧은 글에서 잘 드러난다. 그가 세상을 바라보는 시선은 독자적이다. 이어령기념사업회를 맡고 있는 강인숙의 말마따나 “짧은 글이 사람의 내면을 흔들려면 함축에 깊이와 넓이가 있어야“만 가능하다. 이 책에는 ‘자기 머리’로 생각하고 공부해온 사람만이 갖출 수 있는 깊고 넓은 사유가 마음, 인간, 문명, 사물, 언어, 예술, 종교, 우리, 창조라는 주제 아래 꾹꾹 눌러 담겨 있다. 어느 쪽을 펼쳐 보아도 간결한 호흡으로 막힘없이 읽어나갈 수 있는 글이 가득하다. 공간적 여유를 느끼며 글을 감상하도록 한 쪽에 글 한 토막만 실은 디자인 페이지를 마련했으며, 이어령 말의 원전을 확인해 이어령의 세계를 더 깊이 탐구해나가도록 본문에 실린 키워드와 출처를 색인으로 정리했다. 이어령의 숨결로 써내려간 이 진리의 말들은 읽는 사람의 숨결이 더해져 더 오래, 더 멀리 경계 없는 사유의 지대를 넓히며 우리의 정신과 삶을 풍요롭게 만들 것이다. 세상의 진리를 담은 언어의 보물창고 이어령이 진심을 담아 건네는 마지막 선물 시대가 변하고 사람이 바뀌어도 끝없이 새로이 영향을 미치는 예술을 우리는 클래식이라 부른다. 이어령의 글은 이 시대의 클래식이다. 빠르게 변하는 세상 속에서 우리, 그리고 이 사회는 생존을 넘어 더 나아갈 방법을 필요로 한다. 시대의 최고 지성이자 큰 어른으로서 이어령은 시대를 관통하는 혜안을 보여준다. 책장을 열 때마다 그의 펄떡이는 정신을 마주하며 매순간 새로운 깨달음을 얻게 한다. 스승 이어령. 그의 많은 제자와 독자가 그가 떠난 이후의 날들을 두려워했다. 아직 가보지 않은 길이 두렵고 불안할 때면 늘 스승을 찾았기 때문일 것이다. 사람은 살아온 대로 죽어간다고 한다. 이어령은 마지막까지 손에서 책을 놓지 않았다. 세상에 대해 말하기를 멈추지 않았다. 생명이 다하는 순간까지 삶의 빛을 온몸으로 받으며 존재했던 그는 살아온 모습 그대로 2월의 한낮, 밝은 빛 속으로 돌아갔다. 그는 떠나고 없지만 그의 정신만은 변함없이 그의 말 속에 형형하게 살아 있다. 이 책은 이어령이 우리에게 마지막으로 건네는 선물이다. 먼저 살아간 이로서 보고 듣고 느끼고 깨달은 것을 때로는 단호하게, 때로는 부드럽게 이야기하며 그저 선물 같은 삶을 온전히 겪고 느끼며 있는 그대로 살아가라고 어깨를 토닥여준다. 앞으로도 그의 눈은 우리 앞길을 비추는 등대처럼 밝게 빛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