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리히 프롬 읽기

박찬국
276p
Where to buy
content
Rating Graph
Avg 3.7(12)
0.5
4
5
Rate
3.7
Average Rating
(12)
Comment
More
[광고]스탠드오일 보드배너_1안[광고]스탠드오일 보드배너_1안

세창사상가산책 3권. 에리히 프롬은 20세기 사상가 중에서 유일하게 현대사상의 가장 큰 조류를 형성한 프로이트 정신분석학과 마르크스주의 그리고 실존철학을 종합하려고 했다. 더욱이 그는 모든 종교와 철학사조에 대해서 개방적인 태도를 취하면서도 자신의 중심을 잃지 않는다. 또한 어떠한 사조나 삶의 방식이 인간을 생산적이고 건강하게 만들고 비생산적이고 불건강하게 만드는지를 예민하게 감지해 낸다.

"우리가 사랑한 마법의 공간"

35주년 기념 재개봉, 극장에서 다시 만나요

왓챠

Rating Graph
Avg 3.7(12)
0.5
4
5

"우리가 사랑한 마법의 공간"

35주년 기념 재개봉, 극장에서 다시 만나요

왓챠

Author/Translator

Comment

2

Table of Contents

머리말·005 1 에리히 프롬의 생애 1. 어린 시절―탈무드 연구가가 꿈이었던 소년·017 2. 제1차 세계대전의 충격·018 3. 인본주의적인 유태교와의 만남·021 4. 정신분석학과 마르크스주의와의 만남·023 5. 정치참여와 죽음·028 2 현대사회와 현대인에 대한 프롬의 진단-병든 사회와 병든 인간 1. 현대인과 현대사회의 정신적 건강상태·036 사회적 성격과 사회구조 | 현대자본주의의 병적인 성격 2. 19세기 자본주의와 사회적 성격·044 착취와 경쟁의 지배 | 저축적이고 권위주의적 성격의 지배 | 19세기 해방운동의 목표와 20세기의 문제점 3. 20세기 자본주의와 사회적 성격·051 사회적 변화 | 성격적 변화 4. 현대사회의 절망적 현실·071 3 인간은 어떤 존재인가-프롬의 규범적 인본주의 1. 규범적 인본주의·077 2. 인간의 근본적 상황·080 동물과 인간의 본질적 차이 | 인간의 근본적인 상황과 근원적인 열망 3. 인간의 근본조건에서 비롯되는 근원적 열망들·090 결합에의 열망 | 초월과 창조에의 욕구 | 지향(Orientation)의 틀과 헌신할 대상에 대한 욕구 | 인간만이 갖는 열정들의 의의 4. 인간은 파괴적인 동물인가? ·111 인간의 파괴성과 폭력성을 본능으로 보는 견해에 대한 비판 | 악성(惡性)의 공격성과 파괴성이 갖는 인간적 기원 | 유토피아의 건설은 가능한가? 4 어떻게 살 것인가?-프롬의 윤리학 1. 성격과 윤리·129 2. 생산적 성격과 비생산적 성격·131 3. 성격과 사회·135 4. 정신분석학과 윤리학·138 5. 권위주의적 윤리와 인본주의적 윤리 ·144 권위주의적 윤리와 인본주의적 윤리 | 권위주의적 양심과 인본주의적 양심 6. 보편윤리와 사회윤리·159 5 너희도 신처럼 되리라-프롬의 종교철학 1. 프로이트와 융의 종교이해·166 2. 종교의 발전·173 3. 권위주의적 종교와 인본주의적 종교·181 4. 유태교와 그리스도교에 보이는 권위주의적 요소와 인본주의적 요소·189 5. 권위주의적 종교와 인본주의적 종교에서 죄와 의례에 대한 이해의 차이·194 6. 인간 자신에 대한 신앙으로서의 진정한 신앙·197 7. 윤리와 종교·201 8. 과학과 종교·207 9. 현대에서 진정한 종교의 사멸과 미래의 종교·213 6 인본주의적이고 공동체주의적인 사회주의를 향해서 1. 경제적인 차원에서의 변화·226 2. 정치적 변화 ·229 3. 문화적 변화·231 7 정신분석학과 마르크스주의 그리고 실존철학의 종합-프롬이 현대사상에서 갖는 의의 1. 프로이트와 마르크스·240 2. 프롬의 프로이트 이해·242 프로이트의 한계 1-인간에 대한 본능주의적인 파악이 갖는 문제점 | 프로이트의 한계 2-상대주의적인 입장의 문제점 | 프로이트의 한계 3-인간을 고립된 실체로 보는 입장과 인간과 사회에 대한 정적(靜的)인 파악의 문제점 3. 프롬의 마르크스 수용·255 4. 프롬의 마르크스 비판·262 5. 실존철학적 통찰의 수용·267

Description

에리히 프롬은 20세기 사상가 중에서 유일하게 현대사상의 가장 큰 조류를 형성한 프로이트 정신분석학과 마르크스주의 그리고 실존철학을 종합하려고 했다. 더욱이 그는 모든 종교와 철학사조에 대해서 개방적인 태도를 취하면서도 자신의 중심을 잃지 않는다. 또한 어떠한 사조나 삶의 방식이 인간을 생산적이고 건강하게 만들고 비생산적이고 불건강하게 만드는지를 예민하게 감지해 낸다. 그는 인간을 비생산적이고 불건강하게 만드는 모든 종교적·철학적 관념은 단호하게 비판하지만, 인간을 생산적이고 건강하게 만드는 모든 종교적·철학적 통찰은 하나도 버리지 않고 수용하려 한다. 이러한 통찰을 프롬은 단순히 절충하는 것이 아니라 인간과 사회에 대한 하나의 중심적인 통찰에 근거하여 종합한다.

Collections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