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조의 비밀 어찰, 정조가 그의 시대를 말하다

박철상 and 9 others · History
516p
Where to buy
content
Rate
2.4
Average Rating
(4)
Comment
More

<정조어찰첩>은 정조가 심환지에게 보낸 비밀 편지로, 기존의 사료에서는 찾을 수 없었던 당대 정치의 이면과 정조의 인간적인 면모가 드러난 귀중한 사료이자 18세기와 정조에 대한 역사적 서술의 근간을 뒤흔들며 재해석을 요구하는 기록이다. 는 이러한 <정조어찰첩>을 분석한 최근의 연구 성과를 집약했다. 2009년 2월 9일 정조의 비밀 어찰 묶음인 <정조어찰첩>이 공개되면서 역사학계는 물론 세간에 큰 반향을 일으켰다. 공개된 <정조어찰첩>은 군주의 폐기 명령에도 불구하고 방대한 분량의 편지를 정리.보관한 첩으로서, 무엇보다 놀라운 점은 정조 어찰의 수신인이 정조와 정치적으로 적대적인 관계로 알려진 심환지였다는 것이다. 심환지가 받고 보관한 정조의 비밀편지는 정조의 인간적인 면모와 당대 인물들에 대한 평가, 병세와 같은 민감한 정보가 적나라하게 드러나 있는 사적인 기록인 동시에 인사문제와 정치현안, 심환지를 조종해 정국을 조율한 증거들이 담겨 있는 정치문건이기도 하다. 시간문의 양식적 특성상 텍스트만으로는 맥락을 파악하기가 어려운 <정조어찰첩>의 비밀편지들을 다양한 주제로 접근해 분석한 11편의 논문을 엮어, 일반 독자들도 쉽게 읽을 수 있도록 다듬어 정리하였다. 저자들은 이 책을 통해 정조와 18세기를 재해석하며, '정조의 시대'를 다시 바라볼 필요성을 제기한다.

"우리가 사랑한 마법의 공간"

35주년 기념 재개봉, 극장에서 다시 만나요

왓챠

"우리가 사랑한 마법의 공간"

35주년 기념 재개봉, 극장에서 다시 만나요

왓챠

Author/Translator

Table of Contents

책을 내며 _김문식 새로 발굴한 《정조어찰첩》의 자료적 가치 _박현모 새로 발굴한 《정조어찰첩》의 내용 개관 _백승호 《정조어찰첩》의 사료적 성격 - 《승정원일기》와의 대조를 중심으로 _장유승 《정조어찰첩》의 설득력과 논리 _권두환 어찰첩으로 본 정조의 인간적 면모 _안대회 심환지의 생애와 문학 활동 _백승호 조선시대 정치사 연구와 사료 - ‘정조독살설’의 오류 비판 _ 유봉학 정조 어찰에 나타나는 당대 인물 및 정파에 대한 평가 _김문식 18세기 노론의 정치론과 정국 운영 기술 _박현모 정조의 의리탕평과 노론 벽파의 대응 _최성환 정조대의 정국 동향과 소론 _이근호 주석 찾아보기

Description

또 하나의 정조실록 정조, 그의 시대를 다시 말하다 정조와 18세기를 낯설게 바라보다 《정조어찰첩》은 정조가 심환지에게 보낸 비밀 편지로, 기존의 사료에서는 찾을 수 없었던 당대 정치의 이면과 정조의 인간적인 면모가 드러난 귀중한 사료이자 18세기와 정조에 대한 역사적 서술의 근간을 뒤흔들며 재해석을 요구하는 기록이다. 《정조의 비밀 어찰, 정조가 그의 시대를 말하다》는 이러한《정조어찰첩》을 분석한 최근의 연구 성과를 집약했다. 정조에 대한 이야기는 너무 많이 ‘소비’되었기에 한편으로는 정조와 18세기에 대한 관심이 여전히 유효한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기도 한다. 그러나 바로 그렇기에 미완의 개혁가, 조선의 르네상스로만 변주된 정조와 18세기를 추슬러 차분하게 정리하는 작업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 책은 정조와 18세기를 재해석하며, ‘정조의 시대’를 다시 바라볼 필요성을 제기한다. 정조가 보낸 편지 편지는 누군가에게 읽히는 것을 전제로 하면서도 받는 이 외에는 그 내용을 함부로 열람할 수 없도록 봉투에 담아 봉한다는 이중적인 성격을 가진 글이다. 따라서 드러냄에 대한 욕구와 숨김의 긴장이 교차하는 편지는 종종 공식적인 사료를 통해 드러난 ‘역사’ 외의 새로운 모습을 알려준다. 그 중에서도 자신이 통치하는 시대의 제도 정점에 위치하여 언행 하나하나가 곧 사료가 되는 군주가 사적으로 주고받은 편지는 드러난 역사를 전복하기도 한다. 2009년 2월 9일 정조의 비밀 어찰 묶음인 《정조어찰첩》이 공개되면서 역사학계는 물론 세간에 큰 반향을 일으켰다. 공개된 《정조어찰첩》은 군주의 폐기 명령에도 불구하고 방대한 분량의 편지를 정리·보관한 첩帖으로서, 무엇보다 놀라운 점은 정조 어찰의 수신인이 정조와 정치적으로 적대적인 관계로 알려진 심환지였다는 것이다. 심환지가 받고 보관한 정조의 비밀편지는 정조의 인간적인 면모와 당대 인물들에 대한 평가, 병세病勢와 같은 민감한 정보가 적나라하게 드러나 있는 사적인 기록인 동시에 인사문제와 정치현안, 심환지를 조종해 정국을 조율한 증거들이 담겨 있는 정치문건이기도 하다. 《정조의 비밀 어찰, 정조가 그의 시대를 말하다》는 시간문의 양식적 특성상 텍스트만으로는 맥락을 파악하기가 어려운 《정조어찰첩》의 비밀편지들을 다양한 주제로 접근해 분석한 11편의 논문을 엮어, 일반 독자들도 쉽게 읽을 수 있도록 다듬어 정리한 책이다. 정조의 비밀 편지를 열다 - 새로 발굴한 《정조어찰첩》의 자료적 가치 먼저 박철상 고문헌 연구가는 《정조어찰첩》의 자료적 가치를 소개하며 장차 발굴될 정조의 어찰을 판별할 수 있는 기준을 제시했다. 이를 위해 국립중앙박물관에서 경기도박물관에 이르기까지 현재 공개된 정조 어찰의 개황을 살폈다. 또한 어찰에서 봉함인, 관직명, 지명 등을 분석해 정조가 사용한 다양한 서체, 어찰 용지, 피봉의 기록, 본문의 투식에 나타나는 특징을 밝혀 정조의 어찰을 판별하는 기준을 마련했다. 예를 들어 ‘단규개탁端揆開坼(우의정은 열어보라)’라는 표현을 통해 수신자와 발신자를 고증하고, 정조가 1798년 12월 3일 이후로는 ‘만천명월주인옹’이라는 호를 새긴 봉함인을 사용한 사실이나 ‘고차姑此’(이만 줄인다)라는 맺음말을 고수하는 등 정조 특유의 글말투를 분석했다. - 새로 발굴한 《정조어찰첩》의 내용 개관 이어서 백승호 홍익대 국문과 강사는 《정조어찰첩》의 전반적인 내용을 개괄했다. 2009년 공개된 정조 어찰은 기존의 사료를 바탕으로 하는 당대 해석의 근간을 흔들었다. 예를 들어 정조는 심환지가 이조판서로 임명되었을 때부터 심환지와 비밀리에 소통하며 정치 현안에 대한 자신의 뜻을 심환지의 주장인 것처럼 말하도록 지시하는 등 일종의 막후정치를 펼쳤음이 정조 어찰을 통해 밝혀졌다. 한편으로 정조는 어찰을 통해 심환지 가족의 안부를 염려하는가 하면 정세에 대한 심회를 털어놓고 신료들의 험담도 하며 국정의 어려움을 호소하는 등 인간적인 모습도 보여준다. 이러한 정조 어찰의 대략적인 내용과 성격, 흐름을 독자들이 한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정리했다. - 《정조어찰첩》의 사료적 성격 그렇다면 《정조어찰첩》에서 정조의 시각으로 재구성되는 사건들을 다른 사료들은 어떻게 기록했을까. 장유승 서울대 국문과 강사는 정조의 어찰을 연대기와 비교·대조하면서 그 사료적 특성을 밝히고 검증했다. 저자는 정조의 어찰을 《승정원일기》와 《일성록》 같은 연대기 기록과 교차시키며 당대의 정치적 사건의 내막과 숨겨진 의도를 파악하고, 정조가 심환지 이외의 신료들과도 광범위하게 서신을 교환하며 국정 운영을 주도했을 가능성을 제시한다. 또한 《정조어찰첩》을 통해 실록에서 확인되는 심환지의 상소나 차자가 실제로는 정조의 지시 하에 이루어진 경우가 많음을 지적하며 정조와 당대 정치 세력 간의 역학관계 등 정조대 정치사에 대한 해석을 재검토할 필요성을 제기한다. -《정조어찰첩》의 설득력과 논리 정조는 정치적으로 자신과 적대적인 위치에 있었던 벽파의 영수 심환지를 포섭해 측근으로 끌어들여 허물없는 밀담을 나누었다. 권두환 서울대 국문과 교수는 《정조어찰첩》를 통해 이러한 정조의 설득력을 분석했다. 정조가 심환지를 정국 운영의 은밀한 동반자로 설득한 논리의 근거는 “의리를 밝히고 국가사업을 바르게 한다[明義理正事業]”는 것이었다. 저자는 정조가 어찰을 통해 시파와 벽파로 대립하는 정국을 조율하려 했다는 데서 비밀 어찰의 동인을 찾고 있으며, 심환지가 어찰을 통해 정조에 예속된 것을 비롯해 정조가 밀서 교환 대상으로 심환지 외에도 서용보와 어용겸 등을 선택했을 가능성에 대해서도 검증한다. - 어찰첩으로 본 정조의 인간적 면모 글은 글쓴이의 전인격을 담고 있는 거울이기에 글쓴이에 대한 많은 정보를 담고 있기 마련이다. 안대회 성균관대 한문학과 교수는 정조의 어찰에서 확인할 수 있는 정조의 인간적 면모를 소개한다. 비밀 어찰에서 정조는 자신이 아끼는 한원진을 비방한 선비에 대해 “젖비린내 나고 미처 사람 꼴을 갖추지 못한 놈이 함부로 주둥아리를 놀린다” 등의 격정적인 표현으로 비난하는 등 불같은 성격을 드러내는가 하면 “뒤쥭박쥭”, “눈코 뜰 새 없다[眼鼻莫開]”, “모쪼록[某條]”등 일상에서 사용하는 속담이나 비속어도 적절히 활용했다. 또한 ‘껄껄[呵呵]’과 같이 현재 인터넷의 유행어를 연상시키는 의성어를 사용하면서 유머러스하게 농을 치기도 한다. 한편으로 심환지 부인의 건강을 자주 묻거나 심환지의 자제를 합격시키지 못한 데 따른 안타까움을 밝히는 등 인정을 보이기도 하며, 국정으로 잠을 설치거나 “갑자기 눈곱이 불어나고 머리가 부어오르며 목과 폐가 메마른다 … 그 고통을 어찌 형언하겠는가?” 라고 자신의 병세를 알리며 아픔을 하소연하기도 했다. 이처럼 이 글은 성군이 아닌 한 인간으로서의 모습이 드러나는 어찰을 분석하며 정조의 새로운 모습을 복원한다. - 심환지의 생애와 문학 활동 《정조어찰첩》은 ‘개혁적인 군주’와 대립한 ‘보수적인 신료’로 알려진 심환지 또한 재해석할 것을 주문한다. 백승호 교수는 《정조어찰첩》의 수신인인 심환지의 생애와 문학 활동을 소개하며 심환지의 자취를 더듬어 복원한다. 심환지가 남긴 《만포집》은 18세기 노론 벽파 문인의 교유 모습과 선비의 생활상을 생생하게 보여주는 자료로서, 이를 통해 심환지가 교유한 인물들을 정밀하게 추적해 보면 벽파의 계보를 그릴 수 있게 된다. 저자는 경기도박물관에 기증된 《청송심씨만포가기증고문서》를 연구 자료로 삼아 심환지의 생애를 개관하고, 심환지의 문학 활동을 남산, 용인의 정자평, 삼청동을 무대로 한 시기로 구분해 정리했다. 그리고 이를 통해 심환지의 문학 활동이 벽파 문인의 결속에 기여한 바를 밝혔다. - 조선시대 정치사 연구와 사료 조선 사회를 이루는 이데올로기와 이를 전복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