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롤로그: 영화와 중국을 둘러싼 경계들에 관한 짧은 보고_임대근
_ 영화를 통해 중국을 읽는다는 행위를 고찰.
_ <마지막 황제>, <영웅>, <연인>, <신녀> 등
1부 성과 사랑, 섹스와 젠더 이야기
사랑, 그 설렘과 아픔에 관한 중국적 고찰…장동천
_ 남녀 간의 사랑을 다룬 영화(멜로)를 통해 오늘의 중국 사회의 한 단면을 포착.
_ <장한가>, <놘>, <아름다운 빈랑나무>
동성애, 퀴어로 읽는 또 다른 중국…김순진
_ 최근 사회적 소수자에 대한 문제가 부각되는 점과 연관지어 ‘퀴어적’이라 할 만한 중국영화들을 통해 동성애 문제에 대한 해법을 탐구.
_ <금지옥엽>, <금지옥엽 2>, <결혼 피로연>, <자소>, <패왕별희>, <동궁서궁>, <해피 투게더> 등
여성, 억압과 굴레의 역사를 넘어…박난영
_ 중국의 근현대사에서 중요한 역사 창조의 주체 중 하나였던 여성을 소재로 한 영화들을 통해 과거와 오늘의 여성문제를 정리하고 그 전망을 제시.
_ <신녀>, <신여성>, <홍등>
가족, 그 영원한 이데올로기…박언진
_ 주선율(主旋律) 영화를 중심으로 지배 이데올로기와 영화의 관계, 중국 사회에서의 가족 문제를 보는 시각을 제시.
_ <할아버지를 구한 고아 이야기>, <어부의 노래>, <봄날 강물은 동쪽으로 흐르고>, <샤워>, <귀성> 등
2부 장르와 예술, 문학과 영화 이야기
무협, 아! 잊지 못할 중국영화의 고향…이시활
_중국(홍콩) 영화의 한 원형으로서 자리 잡은 무협영화들을 통해 장르, 정신 등의 문제를 탐구.
_<협녀>, <불타는 홍련사>, <소오강호>, <황비홍>, <동사서독>, <와호장룡>
코미디, 중국인들은 어떤 얼굴로 웃는가…김수현
_ 홍콩 영화 속에서 독특한 장르로 자리 잡은 저우싱츠(주성치)의 코미디 영화를 통해 ‘웃음’이라는 기제로 중국인들의 삶을 탐구.
_ <쿵푸 허슬>, <소림축구>, <식신> 등
문학과 영화, 장르를 넘어 경계를 넘어…김정욱
_ 중국 근현대문학 작품 중에서 영화화된 경우를 골라 둘 사이의 관계가 어떤 모습으로 드러나는지를 탐구, 궁극적으로는 문학과 영화 사이의 관계 설정을 고민.
_ <뤄터샹쯔>, <성남의 옛이야기>, <붉은 수수밭>, <한 사람과 여덟 사람> 등
3부 역사와 권력, 혁명과 민족 이야기
근대, 순응과 극복 사이에서…김종진
_ 중국 근현대사를 다룬 영화들을 통해 그 내부의 다양한 문제들을 역사적 시각으로 검토.
_ <아편전쟁>, <남경 1937>, <인생>, <패왕별희> 등
혁명과 전쟁, 근현대사 100년을 수놓은 화두…박정희
_ 중국 근현대사의 최대 화두였던 ‘혁명’과 그 과정에서 일어난 전쟁을 다룬 영화를 통해 근현대사의 이데올로기 대립과 전환을 탐구.
_ <우리 부부 사이>, <나의 이 인생>, <팔천 리 구름과 달>, <설산에 온 손님>, <농노>, <흰 머리 여인>, <홍색낭자군>, <홍색연인> 등
민족, 중화의 자존심을 노래하라…양태은
_ 파란만장한 중국 근현대사를 지탱했던 민족주의에 대한 탐구와 성찰.
_ <용쟁호투>, <황비홍>, <동방불패>, <80일간의 세계일주> 등
문혁, 영화 속 기억의 정치학…이욱연
_ 오늘의 중국에서도 여전히 ‘뜨거운 감자’인 문혁에 대한 기억이 영화 속에 어떻게 재현되는지를 고찰.
_ <톈윈 산 전기>, <부용진>, <중년이 되어>, <햇빛 쏟아지던 날들> 등
4부 하나이면서 여럿인 중국 이야기
베이징, 박동하는 대륙의 심장…박정원
_ 원대 이후로 중국의 수도이자 심장부로서 기능하고 있는 베이징이라는 도시의 면면들을 통해 오늘날 중국의 한 단면을 포착.
_ <북경 자전거>, <북경 녀석들>, <햇빛 쏟아지던 날들>
상하이, 현실과 몽환의 이중 구조…김태만
_ 1920~1930년대 이래로 중국에서 고립된 섬처럼 가장 화려한 면모를 과시했던 상하이의 어제와 오늘을 살핌.
_ <상하이 트라이어드>, <해상화>, <홍색연인>, <수쥬> 등
홍콩, 방황과 회귀의 정체성 찾기 게임…임춘성
_ 영국과 중국 ‘사이’에서 배회하다 중국으로 귀환한 홍콩인과 홍콩 사회의 정체성 모색에 대한 탐구.
_ <아비정전>, <중경삼림>, <타락천사>, <2046>, <차이니즈 박스>, <리틀 청>, <두리안 두리안> 등
타이완, ‘나는 누구인가’에 관한 영화적 물음…김양수
_ 타이완 사회의 문제를 조명한 문제작들을 통해 대만의 근현대사 및 오늘의 대만에 관한 이슈를 탐구.
_ <아들의 큰 장난감>, <둥둥의 여름방학>, <바람에 이는 먼지>, <비정성시> 등
화교, 흩어진 자들의 노래…김영미
_ 미국에 정착한 중국인 화교들의 모습을 통해 또 다른 중국의 단면을 소묘.
_ <결혼 피로연>, <과사>, <쿵푸 선생>, <조이 럭 클럽>
에필로그: 말〔馬〕의 기호학으로 읽어낸 진시황 영화 다섯 편…유중하
_ 말과 진시황과 관련된 영화 다섯 편을 통해 중국의 미래를 전망.
_ <영웅>, <형가자진왕>, <진용>, <진송>, <신화>
부록: 우리가 읽은 중국의 감독들_임대근
_ 책에서 다룬 주요 감독들 소개와 주요 작품 목록. 우리에게 널리 알려진 장이머우, 리안, 저우싱츠를 비롯해 이름은 낯설지만 중국 영화사에서 커다란 영향을 끼친 감독들, 떠오르고 있는 신예 감독들까지 총 34명을 소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