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ble of Contents

편역자의 말 서론 한국의 영향과 일본의 숨겨진 역사; 부여기마족 1 부여족과 말(馬) 일본문화의 근원-부여, 가야 그리고 백제 부여기마족과 고고학 부여족의 항해와 말1; 기병과 보병의 전투력 비교 부여족의 항해와 말2; 말을 싣고간 방법 부여족과 말 페르가나의 말과 천마 2 바다 건너 왜로; 부여기마족의 왜 정벌 쓰루가의 한국인 자취 신공왕후와 아리나례강 신공과 ‘용감한 큰 곰’ 무내숙니 부여 바위왕자 진무왕 그리고 오진 오진과 백제의 우정 닌도쿠왕 시대; 바위공주 매사냥, 거대 고분 부여족의 바위신사, 이소노카미 신궁 부여족의 바위와 이름-닌도쿠왕과 바위공주 천황 가계의 한국 산신과 삼종 신기 오진부터 게이타이 이전까지 완전한 부여혈통 부여족의 권력 투쟁과 변신 일본으로 간 부여 한국인들, 5세기 왜국의 지배자 부산항 3 학자들의 부여기마족 연구 그리피스의 진구왕후 일본정벌론; 펜은 칼보다 강하다 그리피스, 페놀로사가 밝히는 일본문화의 근원 한국 기다 사다기지와 에가미 나미오, 부여 기마민족설의 원조 개리 레저드와 코벨의 부여 기마민족 정벌론 북한 김석형의「삼한 삼국과 일본열도」 천관우와 백제의 칼 칠지도 한국역사의 3분의 1은 일본에 있다 일본의 첫 사서『구다라기(백제기)』 한일 간의 문화교류? 한국이 일방적으로 준 것이다 ‘일본국의 시원’과 에가미 나미오 비판-최태영 4 임진왜란과 한일관계 임진왜란의 3코스와 아시안게임 성화 봉송로 임진왜란과 왜국의 첩보활동 이순신이 포획한 히데요시의 금부채 장보고와 이순신의 활동지, 주도 해상의 모든 전투에서 승리한 이순신과 거북선 임진왜란으로 조선, 분단될 뻔 충무공을 기리다 한국 원산 벚나무와 워싱턴 1607~1811년 간의 조선통신사 조선통신사에 대한 정치적 목적과 조선에 대한 외경 천명과 혁명 5 일본의 역사왜곡 한일 양국의 증오감 가토를 노린 한국 호랑이 한국미술사 칼럼 쓰며 일본인 이웃과 절교 한국의 영향을 인정하지 않는 일본 한국문화의 뿌리 찾기 한국이 일본에 전한 6대 영향 역사를 통해 본 일본의 역사왜곡 -1982년 일본의 역사교과서 왜곡 파동을 보고 1300년 계속되는 역사왜곡과 일본사가들 일본의 교과서 왜곡과 군국시대 ‘신성한 천황’의 부활 솔직할 수 없는 일본인들 영국 사학자 조지 샘슨의 일본사 일본인을 좋아하지만 신뢰하지는 않는다 유구한 역사왜곡의 나라 일본 -나카소네 일본 총리 방한에 부쳐-앨런 코벨 존 카터 코벨 지음 원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