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의 컬트라 하고 싶다.
영화 좋아하는 사람이 만들었다는 게 느껴진다.
전혀 다른데 작년에 작은영화관에서 본 <어둔 밤>도 떠오른다. <어둔 밤> 감독님 지금 무슨 일 하실 지 모르지만 성공하시면 이런 영화 찍어주세요.
철저히 상업영화 문법을 따르고 있지만, 비교군이 없어서 젊은 감독 아리 애스터 작품들처럼 유장하고 장려한 맛은 없다. 나홍진이나.
무언가 고전 호러나 호러란 장르에 대한 이해도가 깊단 느낌이 든다. 우릴 현혹시키려는 장치들이 몇 개는 납득이 잘 안 가고 제대로 전달도 못시키는 거 같은데
그런 시도 자체가 좋다. 패기가 느껴진다. 감독 자전적인 이야기 같기도 하다. 결국 호러를 만드는 이와 작중 귀신이나 관객, 뭐 이런 여러 층위에 같이 놓인 사람들을 동일시하는 희한한 논리가 저변에 깔려 잇는데
좋다 이정도면. 나는 뭔가 단점이 있는 영화가 좋다. 솔직히 <부산행>은 유난히 돌출한 신파가 있어서 더 좋아한다. 보고 울었단 소리가 아니라, 그런 단점들은 조금 인간적이란 생각도 들어서. 그거 처음 나올 땐 그럭저럭 봤지만 대여섯번째 볼땐 혀를 찼다. 그럼에도 난 21세기 좀비물들 중에 부산행이 가장 좋다.
그렇지않으면 아예 미학적으로 흠결이 없는 그런 완벽한 호러가 있을 텐데 아마 전자보다 적겟지만 아리 애수터 작품들이 그렇겟지 유전... 유전은 아마 내가 나중에 죽기전에 침상에서도 켁켁대면서 칭찬할 거 같다 ㅋㅋ 브레이킹 배드랑.
이건 그러니까 내겐 부산행 류의 영화 같다. 이게 메타 영화로서 제4의 벽을 부수고 호러란 장르에 대한 이야기를 하려고 한 거였다면 감독이, 내 생각엔 그 지점에선 이 영화는 실패햇다. 근데 그 시도 자체가 과감하고 좋다. 좋았다.
극중 뜬금포 붉은 조명 연출은 너무 억지스럽다..
그놈의 3박자 폐가, 페이크다큐, 여자귀신..
플래시 샷처럼 번쩍~들이대는 그대의 깜찍한 얼굴 연출도 더 이상 식상하고..
그놈의 21세기라꼬~ 디지털 장비 3신기 카메라, 콤퓨타, 핸드폰..동원하는 디지털 공포도 지겹고..
-
제목이 암전이라..작년의 핫 잇슈 유전처럼 뜨고 싶었던 건가..
암전으로 영화 타이틀을 정한 이유? 내가 보기엔 없다.어두침침 불꺼지고 뻔한 귀신 등장 씬때문에 이렇게 제목을 짓나? ㅋㅋㅋㅋㅋ
-
결론: 아름다운 편집과 괴기스러운 분위기 및 분장 연출로 어찌어찌 비벼볼라꼬~
안무섭다고 해서 봤는데 처음부터 식겁했다. 영화는 일단 배우가 유명한 배우가 아니였고 느낌은 작가같다는 점에서 흥미로웠고 후반부로 갈 수록 내 느낌은 어떤 작품이 하나 만들어 질 때 생기는 마음 속 상처들을 외부로 표출해낸 느낌이 들었다. (귀신과 싸울 때 상처들) 그리고 어떤 좋은 작품을 만들기 위해선 무슨짓도 할 수 있고, 먼저 만들어진 작품은 어떤 작품을 카피 혹은 오마주도 불사를 수 있는 느낌이 들었고, 마지막 후배가 죽을 때 날 도와주던 후배는 성공을 위해서라면 묵살되고 혼자 살아남는다는 느낌이 들었다. 작품 하나가 탄생하기까지의 고통을 공포로 표현한 작품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