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독자들에게
머리말
1장 근대적 청중의 성립
근대적 연주회의 광경
연주회 시스템의 확립
18세기 연주회의 뒤죽박죽 청중|시민사회의 성립과 연주회의 상업화
고급 음악과 저급 음악
신화화된 ‘거장’들
날조된 전기|베토벤의 얼굴
‘집중적 청취’
2장 근대적 청중의 동요 : 1920년대
환경을 침식하는 ‘복제’
‘1920년대전(展)’의 체험|콘서트홀과 일상 환경
자동피아노의 향연
재생피아노의 역사적 전개|재생피아노 광고의 세계
광고의 도상학|다채로운 선전 전략
대중문화와 ‘전위’ 작곡가들
3장 근대적 청중의 붕괴
카탈로그 문화의 도래
‘분중(分衆)’화한 청중|‘거장’의 탈신화화:원전 악기와 원전판
생산되는 ‘차이’:이고(異稿)의 범람
키트(kit)로서의 연주:글렌 굴드|카탈로그 문화의 장래
상업주의의 대두
광고 속의 ‘클래식’:캐슬린 배틀 현상
‘세련됨’으로서의 클래식:기업의 문화 전략|학문의 상업화
음악의 대중화와 ‘정신성’의 몰락
스타의 부활:부닌 신드롬|엘리트 시대에서 대중의 시대로:?제9번? 열풍
4장 새로운 청취를 향해
경박한 청중의 탄생
말러의 유행|사티의 유행|미니멀 뮤직과 ‘환경음악’
음의 복권으로
소비사회 속의 ‘클래식’
‘우발적인 발생’의 문화|노상관찰학적 감성이 다다른 곳
증보_7년 후의 ‘포스트모던’
후기
증보판 후기
옮기고 나서
주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