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ble of Contents

책머리에 ??4 차례 ??6 삼국통일 이해의 전제-서설을 대신하여- ??9 제1편 김춘추와 정치 활동 ??19 제1장 7세기 나당관계의 흐름 ??20 1. 머리말 ◇ 21 2. 접근시각 ◇ 24 3. 7세기 초 동아시아의 정세 ◇ 27 4. 신라와 당의 접촉 ◇ 32 5. 김춘추의 입당과 밀약 ◇ 38 6. 나당연합군의 결성과 백제 공격 ◇ 47 7. 백제 멸망 이후 나당관계의 전개 ◇ 54 8. 맺음말 ◇ 61 제2장 김춘추의 외교 활동과 신라 내정 ??64 1. 머리말 ◇ 65 2. 비담의 난과 신라 내정 ◇ 68 3. 김춘추의 고구려 청병 외교 ◇ 73 4. 당의 고구려 침공과 신라의 원병 파견 ◇ 79 5. 김춘추의 도일과 그 영향 ◇ 92 6. 김춘추의 대당 활동과 내정 개혁 ◇ 105 7. 맺음말 ◇ 115 제3장 나당동맹의 시작과 끝 ??118 1. 머리말 ◇ 119 2. 〈답설인귀서〉의 음미 ◇ 121 3. 나당동맹의 결성 과정과 그 배경 ◇ 128 4. 나당동맹의 전개 양상 ◇ 139 5. 나당동맹의 파탄과 그 여파 ◇ 147 6. 맺음말 ◇ 154 제4장 김춘추의 정치 지향과 유학 ??157 1. 머리말 ◇ 158 2. 도당의 목적 ◇ 160 3. 인명과 유학 ◇ 169 4. 정치 지향과 유학 ◇ 179 5. 맺음말 ◇ 188 제5장 신라의 국학 수용과 그 전개 ??190 1. 머리말 ◇ 191 2. 수용의 전야와 배경 ◇ 193 3. 설치와 운영 ◇ 204 4. 국학과 독서삼품과 ◇ 219 5. 맺음말 ◇ 229 제2편 김춘추와 그 주변의 사람들 ??233 제1장 비담의 난과 선덕여왕대 정치 운영 ??234 1. 머리말 ◇ 235 2. 비담의 난과 진덕여왕의 즉위 ◇ 237 3. 선덕여왕의 즉위와 정국 동향 ◇ 247 4. 선덕여왕대의 정치 운영 ◇ 259 5. 맺음말 ◇ 270 제2장 김유신의 정치 지향 ??273 1. 머리말 ◇ 274 2. 관련 사료의 문제 ◇ 276 3. 7세기의 신라 정국 ◇ 284 4. 김유신의 정치 지향과 한계 ◇ 289 5. 맺음말 ◇ 302 제3장 김춘추와 자장 ??305 1. 머리말 ◇ 306 2. 중고기의 정국과 선덕여왕의 즉위 ◇ 308 3. 선덕여왕의 치세와 김춘추?자장 ◇ 317 4. 자장의 9층 목탑 건립 추진과 김춘추 ◇ 330 5. 김춘추의 즉위와 자장의 향방 ◇ 336 6. 맺음말 ◇ 348 제4장 태종무열왕 김춘추와 강수 ??351 1. 머리말 ◇ 352 2. 묘호 태종과 강수 ◇ 354 3. 무열왕과 강수의 만남 ◇ 362 4. 무열왕 김춘추의 정치 지향과 강수 ◇ 373 5. 맺음말 ◇ 382 참고문헌 ??384 찾아보기 ??3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