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암집 - 상 ]
책머리에
일러두기
해제
연암집 제1권 - 연상각선본
이자후의 득남을 축하한 시축의 서문
회우록서
초정집서
기린협으로 들어가는 백영숙에게 증정한 서문
족형 도위공의 환갑에 축수하는 서문
홍범우익서
해인사에서 창수한 시의 서문
담연정기
합천 화양동 병사기
영사암기
이존당기
안의현 사직단 신우기
안의현 여단 신우기
백척오동각기
공작관기
하풍죽로당기
독락재기
안의현 현사에서 곽후를 제사한 기
충신 증 대사헌 이공 술원 정려음기
거창현 오신사기
함양군 학사루기
함양군 홍학재기
발승암기
소단적치인
옥새론
김 유인 사장
열녀 함양 박씨전 병서
연암집 제2권 - 연상각선본
삼종질 종악 이 정승에 제수됨을 축하하고 이어 시노 문제를 논한 편지
김우상 이소에게 축하하는 편지
현풍현 살옥의 원범을 잘못 기록한 데 대해 순찰사에게 답함
밀양 김귀삼의 의옥에 대해 순찰사에게 답함
함양 장수원의 의옥에 대해 순찰사에게 답함
밀양의 의옥에 대해 순찰사에게 답함
진정에 대해 단성 현감 이후에게 답함
진정에 대해 대구 판관 이후 단형에게 답함
남 직각 공철에게 답함
- 부 원서
족형 윤원씨에게 답함
- 부 원서
원도에 대해 임형오에게 답함
함양 군수 윤광석에게 보냄
족제 이원에게 보냄
공주 판관 김응지에게 답함
응지에게 답함 1
응지에게 답함 2
응지에게 답함 3
응지에게 답함 4
응지에게 보냄
이중존에게 답함 1
이중존에게 답함 2
이중존에게 답함 3
진정에 대해 순찰사에게 답함 1
진정에 대해 순찰사에게 답함 2
순찰사에게 올림
- 부 병영에 올린 보첩의 초본
순찰사에게 답함 1
순찰사에게 답함 2
- 부 감사의 자핵소 초본
족손 증 홍문관 정자 박군 묘지명
맏누님 증 정부인 박씨 묘지명
맏형수 공인 이씨 묘지명
홍덕보 묘지명
치암 최옹 묘갈명
이 처사 묘갈명
증 사헌부 지평 예군 묘갈명
참봉 왕군 묘갈명
가의대부 행 삼도통제사 증 자헌대부 병조판서 겸 지의금부사
오위도총부 도총관 시 충강 이공 신도비명 병서
주공탑명
[ 연암집 - 중 ]
일러두기
연암집 제3권 - 공작관문고
자서
계우에게 증정한 서문
낭천 수령으로 나가는 삼백수를 송별하는 서문
은산 수령으로 나가는 서원덕을 송별하는 서문
대은암에서 창수한 시의 서문
자소집서
유구에게 증정한 서문
여름날 밤잔치의 기록
초구에 대한 기록
조부께서 손수 쓰신 한림 추천서에 대한 기록
소완정의 하야방우기에 화답하다
불이당기
소완정기
금학동 별장에 조촐하게 모인 기록
만휴당기
명론
백이론 상
백이론 하
형암 행장
<위학지방도> 발문
<회성원집> 발문
필세설
서얼 소통을 청하는 의소
주금책
유사경에게 답함
황윤지에게 감사함
어떤 이에게 보냄
홍덕보에게 답함 1
홍덕보에게 답함 2
홍덕보에게 답함 3
홍덕보에게 답함 4
유수가 대궐에서 하사받은 귤 두개를 보내 준 데 감사한 편지
족손 홍수에게 답함
함양 군수에게 답함
순찰사에게 답함
어떤 이에게 보냄
순찰사에게 올림
김우상에게 올림
김계근에게 답함
전라 감사에게 답함
이 감사 서구가 귀양 중에 보낸 편지에 답함
순찰사에게 답함
순찰사에게 올림
- 부 보첩의 초본
순찰사에게 답함
순찰사에게 올림 1
순찰사에게 올림 2
영목당 이공에 대한 제문
장인 처사 유안재 이공에 대한 제문
오천 처사 이장에 대한 제문
이몽직에 대한 애사
유경집에 대한 애사
재종숙부 예조 참판 증 영의정공 묘갈명
삼종형 수록대부 금성위 겸 오위도총부 도총관 증시 충희공 묘지명
연암집 제4권 - 영대정잡영
총석정에서 해돋이를 구경하다
좌소산인에게 주다
해오라비 한 마리
농삿집
산해도를 열람한 노래
해인사
갓을 노래한 연구
담원 팔영
설날 아침에 거울을 마주보며
새벽길
극한
산중에서 동짓날 이생에게 써 보이다
산행
이거
노군교
필운대의 꽃구경
강가에 살며
압록강을 건너 용만성을 돌아보다
구련성에서 노숙하며
통원보에서 비에 막히다
요동 벌판을 새벽에 지나며
동관에서 유숙하다
[원문 빠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