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득공의 21도 회고시

유득공 · Poem
248p
content
Rate
Comment
More

Author/Translator

Table of Contents

유득공 자서 단군조선 기자조선 위만조선 한 예 맥 고구려 보덕 비류 백제 미추홀 신라 명주 금관 대가야 감문 우산 탐라 후백제 태봉 고려 ▣ 규장각 소장 목판본 ▣ 찾아보기

Description

필자가「21도 회고시」를 번역한 이유는 선학의 옛 도읍에 대한 애정과 보존의지를 일부나마 계승하려는 의도에서이다. 선학의 큰 뜻에 누가 되지 않으려고, 영재가 열람했던 국내외의 사서를 가능한 한 찾아서, 해당부분을 각주로 처리했다. 영재는 한민족의 전통문화에 대해서 남다른 애정과 관심을 가졌다.「21도 회고시」역시 정치한 고증을 통한 옛 도읍지에 대한 애정을 절실하게 표현했다. 고대 왕조들의 흥망을 운문으로 노래하면서, 마지막 왕들의 정감적 일탈과 신흥왕조 창업주들의 웅혼한 기상도 감동적으로 묘사했다. 21도를 읊조리면서 이처럼 다정다감한 영재의 금회가 수백 년이 지난 오늘날에 더 돋보이는 것은 무슨 까닭일까. 영재가 형상한 21도에는 수백 년이 흘러간 지금 서울과 평양이 다시 추가되었다. 한양과 평양은 여러 왕조가 도읍했지만, 그 위치는 각각 달랐다. 중국 장안 일원에 역대 왕조가 수도를 삼은 영역이 각각 상이했던 것과 같다. 왕궁의 소재가 어디에 있었던가를 기준하여 고찰할 때 권역간의 상거가 있다. 영재가「21도 회고시」를 읊은 시대만큼 시간이 다시 흘러간 뒤, 오늘날 서울과 평양이 어떤 모습으로 남아있을지 이 또한 흥미롭고 궁금하다. 신라 천년의 도읍지였던 서라벌과 고구려의 국내성 · 평양성,그리고 백제의 공주 · 부여성과 같이 황량하거나 괴이한 모습으로 남지 않기를 기대한다.

All content on this site is the property of WATCHA PEDIA and any unauthorized use,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reproduction, republication, redistribution, quotation, crawling, AI learning, and data collection, is strictly prohibited without prior consent.

  • © 2025 by WATCHA,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