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ble of Contents

감사의 말 5 한국어판 서문 8 서문 14 1. 윤리적 관점에서 기술이란 무엇인가? 1.1 검은 숲의 오두막 29 1.2 기술에 대한 물음: 마르틴 하이데거에서 조안나 브라이슨에 이르는 도구적 기술 이론 33 1.3 ‘포스트현상학’과 기술 매개 이론 39 1.4 단순한 수단이나 도구 이상으로 생각되는 기술 46 1.5 도덕적 행위자로 간주되는 기술 49 1.6 도덕적 피동자로 간주되는 기술 53 1.7 이후 더 자세히 논의될 몇 가지 주요 기술 유형 57 * 주석 달린 참고문헌 65 2. 윤리란, 특히 기술윤리란 무엇인가? 2.1 두 개의 캠페인 67 2.2 고대 그리스의 덕과 인간 번영의 윤리학 72 2.3 고대 중국의 유가 윤리와 남아프리카의 전통 우분투 윤리 78 2.4 칸트 윤리학 85 2.5 공리주의와 결과주의 윤리 이론 89 2.6 일반적으로 윤리가 이전 절에서 논의된 모든 것을 포괄한다면, 과연 윤리가 특별히 기술윤리와 관련해 지니는 의미는 무엇일까? 96 2.7 어떻게 기술윤리는 더 일반적인 윤리 이론의 확장에 도전하고 그 필요를 창출할 수 있는가 100 * 주석 달린 참고문헌 104 3. 기술윤리의 방법: 사례 연구로서 자율주행차의 윤리 3.1 윤리학 방법론? 105 3.2 자율주행차의 윤리 108 3.3 위원회의 윤리 지침 113 3.4 유비를 통한 윤리: 트롤리 문제와의 비교 116 3.5 경험윤리 120 3.6 전통적인 윤리 이론의 적용 126 3.7 기술윤리를 위해 우리는 어떤 방법을 사용해야 하는가? 오직 한 가지 방법? 아니면 여러 방법? 135 * 주석 달린 참고문헌 141 4. 인공지능, 가치 정렬, 그리고 통제 문제 4.1 핵전쟁 회피 사례 143 4.2 인공지능은 무엇이며 가치 정렬이란 또 무엇인가? 147 4.3 좋거나 나쁜, 그리고 도구적이거나 비도구적인 가치와 원칙들 153 4.4 도구적으로 긍정적인 가치 정렬 157 4.5 도구적으로 부정적인 가치 오정렬 160 4.6 비도구적으로 긍정적인 가치 정렬 164 4.7 비도구적으로 부정적인 가치 오정렬 169 4.8 통제 문제 172 4.9 가치로서의 통제: 도구적 또는 비도구적? 통제하려고 해서는 안 되는 기술도 존재할까? 178 * 주석 달린 참고문헌 182 5. 행동 변화 기술, 게임화, 개인 자율성, 그리고 통제의 가치 5.1 더 나은 나? 184 5.2 행동 변화 기술과 게임화 188 5.3 통제에 관한 세 가지 관찰 193 5.4 다양한 철학 분야에서 논의된 통제의 핵심적 차원들 196 5.5 행동 변화 기술 그리고 통제 ‘주체’와 통제 ‘대상’ 201 5.6 통제의 가치와 윤리적 중요성 216 5.7 이 장의 결론 212 * 주석 달린 참고문헌 214 6. 책임과 기술: 틈을 조심하라고? 6.1 두 사건 216 6.2 책임이란 무엇인가? 사람들이 책임을 지게 되는 다양한 방식과 대상들 220 6.3 책임 공백: 개요 225 6.4 기술로 인한 책임 공백 231 6.5 자발적 책임을 통한 책임 공백 메우기 238 6.6 책임 공백을 환영해야 할까? 241 6.7 책임질 수 있는 기계? 246 6.8 인간-기계의 협동 그리고 책임 253 6.9 이 장의 결론 257 * 주석 달린 참고문헌 258 7. 기계는 도덕적 행위자가 될 수 있을까? 모든 기계는 도덕적 행위자가 되어야 할까? 7.1 기계윤리 260 7.2 기계윤리를 지지하는 논증과 인공적 도덕 행위자의 유형 264 7.3 기계윤리 프로젝트에 대한 반론 268 7.4 기계윤리 프로젝트 비판에 대응할 수 있는 방법들 2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