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ble of Contents

서문 1장 : 겁에 질리다 현대의 불안 | 다양하게 모습을 바꾸는 불안 | 만들어진 불안장애 | 불안이란 무엇인가 불안을 치료하기 위한 방법들 | 정상적인 불안과 비정상적인 불안 | 불안 연구의 딜레마 불안의 역설 2장 : 그리스 로마 시대의 불안 불안을 의식하다 | 불안과 용기, 만용과 비겁 | 사회적 관계에 의한 불안 고대 학자들이 본 불안장애 | 체액과 기질의 조화 | 불안을 다스리는 방법 | 고대 불안 개념의 영향 3장 : 의학에서 종교로, 다시 의학으로 의학에서 신앙으로 | 중세의 의학적 개념 | 불안의 해부 | 일상과 현실의 불안 | 철학에서 본 불안 | 17~18세기 신경증의 대두 | 신앙에서 다시 의학으로 4장 : 19세기 불안의 재발견 19세기 사회와 불안의 변화 | 마음의 병에서 몸의 병으로 | 신경쇠약의 유행 불안을 분리하려는 시도들 | 불안의 체계화 | 새로운 분야의 탄생 5장 : 불안은 당신의 무의식에 있다 프로이트의 등장 | 정신분석학의 탄생 | 프로이트의 초기 연구 | 억압된 성적 욕구 노이로제와 퇴행 | 신체에서 심리로 | 불안을 권하는 사회 | 내리막에 선 정신분석학 정신분석학의 몰락 6장 : 두려움을 없애드립니다 행동에 주목하다 | 심리학의 역습 | 행동주의 심리학의 등장 | 학습된 불안의 치료 | 합리적으로 생각하기 | 더 쉽고 빠르게 7장 : 20세기 필수품, 불안 불안은 어디에나 있다 | 마음을 치료하는 기적의 알약 | 진정제 반대 운동 | 진단 기준의 정립 | 『DSM-Ⅲ』의 등장 | 새로운 불안 분류 | 새 진단 기준이 가져온 변화 | 다시 찾아온 알약의 시대 | 변화의 조짐 8장 : 우리는 불안을 이해하려 한다 불안으로 가득한 사회 | 우리의 불안한 뇌 | 『DSM-5』의 완성 | 새 안내서에서 시도한 변화 불안의 미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