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치호 일기

윤치호
686p
content
Rate
Comment
More

윤치호는 개화·자강운동을 주도했던 근대적 지식인이자, 일제시기 조선 기독교의 원로였다. 그리고 또 하나, 바로 일제 말 친일파의 '대부'이기도 했다. <윤치호 일기>는 이 같은 사상적 양면성을 지닌 윤치호의 영문일기를 한글로 옮긴 것이다. 그러나 60여년에 걸친 그의 일기 전체를 번역한 것은 아니고 1916부터 1943년까지, 일제강점기 하의 일기만을 대상으로 했다. 윤치호는 자신의 일기에서 일상생활뿐만 아니라 공인으로서의 활동, 국내외 정세에 대한 견해와 전망 등을 꼼꼼히 기록하고 있다. 또한 그가 가진 일제의 조선 통치정책에 대한 판단, 독립운동에 대한 생각, 조선의 역사, 문화, 전통, 민족성에 대한 인식 등을 매우 진솔하게, 때로는 적나라하게 기록하고 있어 그의 일기를 통해 당시 친일 지식인의 사고를 구체적으로 살펴볼 수 있다. 내용은 전체 5부로 구성되어 있다. 제1부 '3·1운동 전후'에서는 그가 3.1운동에 반대했던 이유가 분명하게 드러나 있다. 그는 한일합병 이후 "조선에 충만한 것은 천황의 은혜가 아니라 천황의 악덕이다"라고 단언할 정도로 일본에 비판적인 시각을 보였으나, 조선인들에게 독립국가를 유지해 나갈 실력이 없다고 판단, 독립운동 무용론을 주장했다. 그러나 이 같은 일본에 대한 비판은 만주사변을 전후로 점차 변화한다. 제2부에서는 만주사변 이후 일본 제국주의에 대한 비판의식을 무장해제하고 인격수양과 민족성 개조 등을 주장한 그의 실력양성론을, 3부에서는 윤치호가 '내선일체만이 살 길'이라고 외치며 본격적으로 '친일'에 나선 과정 등을 구체적으로 그리고 있다. 이 외에도 4부는 일제하 조선 기독교와 윤치호의 관계에 대해, 5부는 당시 조선의 사회상과 윤치호의 일기에 등장하는 많은 사람들의 사상 및 행적을 엿볼 수 있는 내용 등을 담고 있어 역사적 사료로도 중요하게 읽힌다.

Author/Translator

Table of Contents

- 책을 내면서 - 일제하 윤치호의 내면세계와 한국 근대사 - 일러두기 제1부 3·1 운동 전후 제1장 '내가 3·1운동을 반대하는 까닭은'(1919) 제2장 '물 수 없다면 짖지도 마라'(1920~21) 제3장 '민족의 실력을 양성하라'(1922~30) 제2부 '만주사변' 전후 제1장 '힘이 정의다'(1931~32) 제2장 '나는 성선설을 믿지 않는다'(1933~35) 제3부 중일전쟁·태평양전쟁 전후 제1장 흥업구락부사건의 와중에서(1938) 제2장 '내선일체만이 살 길이다!'(1939~40) 제3장 '유색인종의 해방을 위하여'(1941~43) 제4부 일제하 조선 기독교와 윤치호 제1장 YMCA와 윤치호(1916~31) 제2장 적극신앙단사건과 윤치호(1932~35) 제5부 윤치호가 본 일제하 조선의 자화상(1916~43) 제1장 일제하 조선인 군상 제2장 일제하 엘리트층의 지역감정 한 노인의 명상록 1 한 노인의 명상록 2 - 윤치호 가계도 - 윤치호와 그의 시대 연표 - 참고문헌 - 인명 찾아보기 - 사항 찾아보기

All content on this site is the property of WATCHA PEDIA and any unauthorized use,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reproduction, republication, redistribution, quotation, crawling, AI learning, and data collection, is strictly prohibited without prior consent.

  • © 2025 by WATCHA,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