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ble of Contents

서론 25 제1장 걸어서 세상으로 동물에서 인간으로: 걸으면서 씹기 35 •호모 하빌리스, 호모 에르가스테르, 호모 에렉투스: 웅얼거리며 날것 먹기 38 •날것에서 익힌 것으로: 먹으면서 담소를 나누다 41 •최초의 유럽인, 네안데르탈인: 부당하게 비난받은 육식 43 •호모 사피엔스, 또는 음식을 대화의 주제로 삼은 인간 44 •온 지구를 먹다 46 제2장 먹기 위해 자연을 길들이다 농사지으러 중동에 정착하다 51 •기상학, 천문학, 점성술: 하늘에서 추수까지 53 •유럽에서 식인 풍습이 또다시 골칫거리가 되다 54 •밀의 경쟁자 벼를 키우는 아시아 55 •메소포타미아: 최초의 곡물, 최초의 제국 58 •최초의 연회: 더 나은 통치를 위한 대화하기 60 •중국: 최초의 식이요법 63 •인도에서 시작된 채식주의 66 •식인 풍습을 유지한 메소아메리카 제국들 68 •이집트: 먹는 것과 말하는 것은 하나다 70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풍요로운 자연이 제국의 탄생을 막다 74 •곳곳에서 찾아볼 수 있었던 식인 풍습 76 •유대교: ‘성서를 먹다’ 77 •그리스: 통치하기 위해 먹기 82 •로마: 지배하기 위해 먹기 88 제3장 유럽식 식사의 탄생과 영광: 1세기에서 17세기 중반까지 기독교에 일어난 큰 변화: 신을 먹다 96 •중세 전기: 카니발과 사순절 99 •이슬람 세계: 먹는 것은 신의 자비다 100 •중세 말: 향신료와 잃어버린 낙원 103 •호텔과 여인숙: 여행하며 먹기 107 •14세기에서 16세기: 이탈리아 요리의 전성기 108 •프랑스적 예외 113 •17세기: 프랑스가 우위를 점하다 116 •아메리카에서 온 혁명: 감자, 옥수수, 초콜릿 117 제4장 프랑스식 식사, 영광과 기근: 17세기 중반에서 18세기까지 태양왕의 식탁: 프랑스 특수성의 전형 125 •‘부르주아 요리’가 혁명을 예고하다 130 •술보다 탄산수를 드세요 133 •그사이 아시아에는 연회와 기근이 있었으니…… 134 •아메리카: 영국인보다 잘 먹은 식민지 개척 주민 136 •프랑스: 대화와 체제 전복의 장소인 레스토랑 137 •기근, 폭동 그리고 혁명 139 •혁명과 부르주아의 연회 142 •미식 외교 144 제5장 궁전의 미식과 가공식품: 19세기 식품으로 시작된 산업화 150 •비료와 파스퇴르 살균법 153 •아이들 먹이기 158 •미국 제품의 상륙: 탄산음료와 자동판매기 159 •리츠와 에스코피에가 최고급 호텔을 발명했을 때 162 •유럽의 서민: 여전히 빵과 감자를 먹다 167 •세계 다른 곳: 다양성이 지속되다 169 제6장 음식 자본주의를 위한 식이요법: 20세기 미국 자본주의의 속임수: 가공식품 174 •칼로리와 콘플레이크 177 •자본주의를 위해 식탁을 잊게 하다 179 •맛 가리기 181 •시카고 도축장에서 시작된 대량생산 방식 182 •식품을 대량생산하다 183 •빨리 먹기: 패스트푸드 186 •세계 음식에 난입한 미국 189 •기근과 20세기 지정학 192 •기아 근절 194 •점점 더 강해지는 세계 농식품 산업 198 •설탕 대체하기 200 •나쁜 음식 더 많이 먹기 201 •설탕: 소비자들의 불가능한 싸움 202 •줄어드는 식사, 늘어나는 소비 204 •홀로 저항하는 프랑스: 누벨 퀴진 207 제7장 부자와 빈자, 그리고 굶주리는 세계: 현재 세계 농업 및 농식품 산업의 실태 211 •부자들도 식탁을 떠났다 216 •중산층은 믹스 푸드를 먹는다 218 •굶어 죽거나 먹어서 죽는 최빈곤층 220 •거의 사라진 가족 식사 222 •아기가 먹는 음식 225 •학교에서 밥 먹기 226 •직장에서 밥 먹기 227 •세계적인 추세가 된 채식주의 229 •종교적으로 밥 먹기 231 •곤충 먹기 232 •프랑스적 예외는 지속된다 235 •설탕, 비만 그리고 죽음 237 •설탕만 사람을 죽이는 게 아니에요 239 •채소, 고기, 생선의 과잉 생산 243 •먹으면 온실가스가 과도하게 배출된다 245 •토양 파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