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ble of Contents

책머리에 ∥서장∥ 과학ㆍ종교ㆍ미신 ― 근대 중국에서 새로운 지식범주의 발명과 굴절 제1부 세계관 전쟁, 과학과 형이상학의 갈등 ∥제1장∥ 과학의 정의와 전통의 이해 ― 근대 중국에서 과학개념의 수용과 전통의 해석 ∥제2장∥ ‘과학과 인생관’ 논쟁 이전 ― 신문화운동기 과학관의 대립 ∥제3장∥ ‘과학과 인생관’ 논쟁의 시말 ― 과학은 인생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가? ∥제4장∥ 과학은 만능이 아니다! ― 장군매와 현학파의 입장을 중심으로 ∥제5장∥ 과학은 모든 인생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 정문강과 과학파의 입장을 중심으로 ∥제6장∥ 과학과 전통의 대화는 가능한가? ― 양계초의 과학론과 국고정리 ∥제7장∥ 과학은 자본주의의 산물인가? ― 진독수의 유물론적 입장을 중심으로 ∥제8장∥ 과학적 인생관은 가능한가? ― 호적의 과학주의와 과학종교 도그마 ∥제9장∥ 성리학은 과학적인가? ― 호적의 과학론과 성리학 평가 ∥제10장∥ 과학적 국학은 가능한가? ― 호적의 국고정리론과 전통의 해석 ∥제11장∥ 국학과 전통의 창조 ― 현대 중국의 ‘독경논쟁’을 중심으로 ∥제12장∥ 허구는 필요하지만 위험하다 ― 고전과 전통 만들기 제2부 한국과 일본의 과학수용과 전통해석 ∥제13장∥ 풍류도와 전통의 해석 ― 범부 김정설의 풍류도통론 ∥제14장∥ 근대 비판, 전통의 회복 ― 범부의 근대성 비판과 종교관 ∥제15장∥ 진화론을 넘어 자연학으로 ― 이마니시의 주체성의 진화론 ∥종장∥ 요약과 정리 ― 전통해석의 여러 갈래 주ㆍ참고문헌ㆍ찾아보기 총서 ‘知의회랑’을 기획하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