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ble of Contents

들어가며 1장 엘리아데와『성과 속』에 대하여 2장 『성과 속』의현상학적성격 1. 현상학의 문제의식 2. 현상학적 판단중지 3. 현상학적 태도변경 4. 현상학적 본질직관 5. 초월론적 현상학적 환원 3장 종교적 체험의 본질로서의 성현 1. 성과 속의 변증법 2. 일상적인 것에서 출현하는 성스러움의 사례 4장 성스러운 공간 1. 공간의 존재론적 단절 2. 차별화된 의미로 구조화되는 공간 3. 카오스와 코스모스 4. 세계 창조의 근원으로서의 세계의 축 5. 현대의 탈신성화된 공간 5장 성스러운 시간 1. 시간의 존재론적 단절 2. 마디와 리듬으로 구조화되는 시간 3. 세계 창조의 기원으로서의 원초적 시간 4. 신화의 재현과 모방으로서의 축제 5. 현대의 탈신성화된 시간 6장 성스러운 자연 1. 하늘 2. 땅 3. 물 4. 나무 5. 달과 해 6. 돌과 금 7. 우주적 신비의 완전성과 통일성 7장 성스러운 인간 1. 세계를 향해 열려 있는 실존 2. 소우주로서의 살아 있는 몸 3. 통과의례 4. 성년식 5. 결혼식 6. 장례식 8장 인간의 근원적 본성인종교성 1. 현대인의 삶에 드리운 종교성의 흔적 2. 엘리아데의 『성과 속』에 대한 비판적 문제 제기 3. 존재의 의미를 추구하는 한 인간은 본성상 ‘종교적 인간’이다 요약 더 읽어볼 만한글 자료 출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