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ble of Contents

<서 문> 대공황과 뉴딜정책에 관해 지금까지 배웠던 것들은 전부 거짓말이다. 제 1 장 위 기 광란의 1920년대 대공황의 시작 루즈벨트 대통령(FDR)과 뉴딜정책 1937~38 ‘불황 속의 불황’ 리벳공(riveter) 로지: “참 좋은 세월 만났네” 그게 사실인가요 부인? - 해석의 필요성 이러한 일들이 일어났던 이유 어느 한 정책이 1930년대에 실패했다면, 그 정책이 어떻게 오늘날에는 작동하겠는가? 제 2 장 큰 정부 - 후버 대통령이 대공황을 더욱 악화시켰다? 자본주의를 끈질기게 비판한 허버트 후버 후버의 “신경제론” 대공황을 악화시킨 제1단계: 임금 인상 공황을 악화시킨 제2단계: 국제교역 마비 대공황을 악화시킨 3단계: 민주당원처럼 세금으로 소비하라 대공황을 더욱 악화시킨 4단계: 작은 뉴딜정책 허버트 후버: 큰 정부 신봉자 제 3 장 구두쇠 같은 연방정부의 디플레 정책이 대공황의 원인이었나? 프리드먼: 겁쟁이 연준과 1930년대의 디플레이션 누가 물가하락을 두려워하는가? 디플레이션: 역사적 증거 그러나 왜 연준이 통화를 망칠까? 패자들을 옹호하다 제 4 장 보수주의 경제정책이 대공황을 초래했나? 광란의 20년대 앤드류 멜론의 믿기 힘든 감세 조치 대공황은 1920년대 호황의 대가인가? 전통적 금본위제도는 어떻게 운용되었나? 금본위제가 대공황을 야기했는가? 금본위제에 대한 최후 판결 제 5 장 뉴딜정책의 실패 후버의 정책을 계속 추진 : 생산 제한과 인금인상 우리가 두려워해야 할 유일한 것은 루즈벨트 자신이다 제 6 장 뉴딜의 횡포 루즈벨트의 ‘은행 휴일’ 금본위제도 포기 국가부흥청(NRA): 큰 정부와 대기업이 손을 잡다 어떻게 뉴딜은 빈민들을 더욱 굶주리게 했나? 노후 보험: 사실은 보험도, 사회보장도 아니고, 안전하지도 않다 공공산업촉진국(The Works Progress Administration): 나쁜 경제, 좋은 정치 제 7 장 전시 호황의 신화 불멸의 실수: 깨진 유리창문의 오류 수억 번의 실수도 단 한 번 옳게 하는 것만 못하다 전시 호황이라고? 새빨간 거짓말과 통계숫자 중앙의 계획 - 평화시에도 나쁘지만 전시에는 치명적이다 후기: 2차 세계대전이 미국의 생산을 크게 증가시킨 방식 제 8 장 대공황 : 오늘을 위한 교훈 연준은 주택경기의 호황과 불황을 일으켰다 조지 부시가 자유방임주의자라는 신화 버락 오바마는 현대판 루즈벨트인가? 역자 후기 색 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