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ble of Contents

프롤로그 패를 열어보는 즐거움, 제자백가 사상 공부하기 난세 극복과 새로운 공동체 건설을 위한 이론 제자백가 사상, 있는 그대로 재미있게 이해하기 제자백가, 철학자가 아니라 정치사상가 이야기 공동체라는 창을 통해 제자백가 읽기 역사적 배경 제1장 실용주의자 관중의 부유한 공동체 intro 제나라의 재상 관중 새로운 질서의 중심이 필요했던 시대 사농공상을 구분해 땅을 나누어주고 생산하게 하라 인민은 뺏기는 것을 싫어한다 조직적인 자원 개발자이자 거대상인으로서의 국가 사회간접자본 건설과 상인 유치 물가조절자로서의 국가 “창고가 가득 차야 예절을 알게 되고 입고 먹는 것이 족해야 영욕을 알게 된다” 사유(四維), 통치에 순응하는 양들의 내면 목민을 말하다 극단적 실용주의자 관중 끝까지 야인이고 소인이었던 관중 한 국가의 문명 수준을 어떻게 평가할 것인가? 관중도 비웃을 대한민국 사회 제2장 인본주의자 안자의 여민동락(與民同樂) 공동체 intro 해학과 기지의 안자 동(同)이 아니라, 화(和)의 공동체 지배층이라면 오직 사직을 위해 일하라 군주는 인민에게 죄를 짓지 마라 안자가 맹자에 앞서 여민동락을 말하다 측은지심이 여민동락의 원동력 역사상 첫 인본주의자 안자와 같은 어른이 없는 한국 사회 제3장 신전주의자 손자의 불태(不殆) 공동체 intro 눈앞으로 다가온 전국시대 신중하고 냉철한 사고와 계산 능력 전쟁은 경제력이다 전쟁은 정보력이다 손자의 질문과 조언 제4장 이상주의자 공자의 화(和)?인(仁) 공동체 intro 음악과 같은 하모니의 공동체를 꿈꾼 사람 원망의 공동체를 만들어낸 난세 과거를 그리워하는 사람 새로운 군자가 일궈내는 인(仁)의 공동체 새로운 군자, 새로운 예 공자는 씨족공동체적 삶을 그리워했다 비현실적인 이상주의자 공자 제5장 노동자의 성인 묵자의 겸애 공동체 intro 시대적 배경과 묵자의 문제의식 관습주의 대 합의주의 합의된 하층민의 뜻 ‘천지’ ‘별(別)’의 공동체에서 ‘겸(兼)’의 공동체로 겸애란 무엇인가? 체계적 행정망을 지닌 큰 정부 지향 구체적인 겸애 : 반전(反戰), 절용(節用), 절장(節葬), 비악(非樂) 제6장 유묵(儒墨)의 장수 오기의 부자지국(父子之國)?부자지병(父子之兵) 공동체 intro 오기는 병가인가, 유가인가? 유학자 오기, 인과 의와 문무 겸비를 말하다 국방력의 핵심은 사람들의 공동체에 대한 애정 인민 교육과 부득이용병 사상 “사람은 버리는 게 아니다” 국가유공자 제도를 역설하다 부자지병이면 천하무적 억압적 체제는 국방력을 약화시킨다 제7장 국가주의자 상앙의 국력 극대화 공동체 통일제국 진(秦)의 아버지 상앙, 진나라에 대한 오해와 진실 강국을 위해 법치를 주장하다 어떻게 해야 인민을 싸우게 할 수 있을까? 장평전쟁에서 엿보인 진의 위력 법을 교육하고 홍보하라 군주의 무위(無爲) 법치 상앙이 생각하는 국가의 본질 너무 깡패가 많은 한국 사회 제8장 대장부 맹자의 항산(恒産)?항심(恒心)?지식인 공동체 intro 맹자가 살았던 시대 성선설과 왕도정치 그리고 항산과 항심 왕도정치의 구체적 전개 성선설과 지식인이 주인이 되는 세상 세 가지가 보장되는 공동체 제9장 상대주의자 장자의 양생(養生) 공동체 intro 맹자와 동시대인 장자 공자의 제자 양주에게 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