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ble of Contents

머리말 제1장 결혼 남자는 일부다처, 여자는 일부일처 1.결혼제도 국가의 우환! 노처녀, 노총각/ 본처만을 인정한 일부일처제/ 정처가 되느냐? 첩이 되느냐? 2.축첩제도 국가가 공인한 축첩제도/ 최초의 축첩반대 시위 결혼풍속의 변화-처가살이에서 시집살이로 동성동본은 결혼할 수 없다!/ 금지된 결혼/ 200년도 안되는 시집살이의 역사 혼례 없이 사는 것은 금수 1.중매결혼과 선보기 연애결혼은 꿈도 꾸지 마라/ 아들 잘 놓는 신부감/ 무자상은 절대 피하라/ 궁합과 원진살 2.혼례의 절차 혼례는 육례/ 혼사를 합의 하는 ‘의혼’/ 납채와 납폐/ 사실상의 혼례식 ‘초례’/ 신행과 현구고례 3.서민들의 결혼 ‘돼지 재례한 놈’/ 머슴서방제도 4.조혼의 폐단 조혼 풍속/ 세계 최고의 조혼율 남녀칠세부동석의 시대 1.남녀구별과 내외법 “아니 계시다고 여쭈어라”/ 내외벽과 내외담 제2장 임신과 기자습속 홀수날은 아들, 짝수날은 딸 1.성교육 씨내리기 좋은 날/ 서당에서도 성교육을 했다? 2.성생활 성생활은 건강의 비결/ 때와 장소를 가려라! 대를 이을 자식을 낳아라 1.임신과 가계계승 임신의 조건/ 아들 낳지 않으면 안되는 이유 2.가계계승의 편법들 양자들이기/ 씨받이 3.기자습속 달힘 마시기/ 알터바위에 빌기/ 기자도끼와 개짐/ 뒷간의 똥물이라도 마실 정성이 있어야/ 상원날 개밥 줄 계집 제3장 이혼과 수절 이혼을 하려면 왕의 허락을 받아라 1.양반의 이혼 조선시대에도 이혼이 가능했을까?/ 칠거지악과 삼불거/ ‘환향녀’에 대한 이혼 청구소송 2.강제 이혼과 합의 이혼 역가이혼과 의절이혼/ 할급휴서와 사정파의/ 이혼당한 세종의 며느리들 죽어서도 청상은 되지 마라 1.재가의 금지 굶어 죽더라도 수절은 해야 한다/ 재가하면 자식의 앞길이 막힌다/ 서민들의 과부 탈출 2.과부에 얽힌 이야기 과부와 양성인 ‘사방지’/ 이 돈에 윤곽이 있느냐?/ 아침에 진리를 들으면 저녁에 죽어도 좋다 제4장 성범죄 남녀와 신분에 따라 처벌이 다른 간통죄 1.간통죄의 개념과 처벌 남녀가 밥상에 마주 앉는 것도 간통/ 화간, 조간, 강간/ 간통죄의 처벌은 어떠했을까? 2.근친상간과 신분간의 간통 근친상간/ 양인과 천인 사이의 간통/ 간통으로 사형당한 태종의 손녀 3.조선시대 자유부인들 39명과 간통한 ‘감동’/ 어을우동이 죽은 이유 세상에 강간은 없다? 1.강간의 개념 밝혀봐야 이득될 것 없다?/ 강간이냐? 화간이냐? 2.강간죄와 처벌 가해자와 피해자는 어떤 사람들인가?/ 신분에 따라 다른 강간죄의 처벌 치정살인과 학대살인 1.치정살인 부인을 죽인 간통한 남편/ 간통한 부인을 죽인 남편/ 남편을 죽인 간통한 부인/ 추문으로 자살한 사람들/ 보쌈으로 자살한 과부들 2.학대살인 남편의 폭력으로 죽은 부인들/ 시집살이로 인한 살인 성범죄의 처벌은 어떠했을까? 지금보다 훨씬 무거웠던 성범죄 처벌/ 각종 성범죄에 대한 처벌규정 간음으로 인한 살인 및 상해죄/ 결혼과 관련된 처벌규정 제5장 매춘과 섹슈얼리티 기녀와 양반사대부 1.기녀의 발생과 변화 기녀는 왜 생겼을까?/ 기녀의 변천 2.기녀의 신분과 지위 기녀들의 삶/ 기첩자손의 차별/ 춘향이가 변사또의 수청을 거절할 수 있었던 이유 3.양반과 기녀와의 스캔들 기녀의 동반자 ‘양반사대부’/ 기녀와 간통하다 상투 짤린 이조정랑 허락된 매춘과 금지된 매춘 1.매춘의 발생 매춘은 결혼제도를 유지시키는 필요악인가?/ 매춘은 언제부터 시작되었을까?/ 강요받은 매춘 2.매춘과 매춘부 조선시대에도 매춘부가 있었다/ ‘유녀’라고 불리는 매춘녀들/ 매춘의 금지/ 매춘녀들의 이름이 적혀있는 일기장/ 주막의 여주인, ‘주모’ 조선후기 섹슈얼리티 1.여성복의 변화 저고리와 치마의 ‘에로틱 존’/ 위는 줄이고 아래는 부풀려라/ 가슴은 드러내도 된다? 2.춘화의 등장 춘화의 대가, 김홍도와 신윤복/ 춘화의 유입과 퇴락 제6장 조선시대의 성 모럴 신랑 없는 결혼식을 한 궁녀들의 일생 왕만을 위해 존재한 여성/ 궁녀가 되는 길/ 신랑 없는 결혼식을 치루다/ 후궁이나 상궁이 되는 길/ 외로운 궁녀들의 일생 17. 외로운 여인들의 불우한 연애, ‘동성애’ 금지된 사랑, 동성애/ 세자빈 봉씨의 동성애 사건 18. 남편인가? 간부인가? -성종대의 간통살인 논쟁 간부와 남편에 대한 개념 논쟁/ 법과 현실의 성모럴 19. 조선시대 성모럴과 간통이야기 평생을 못잊은 남녀의 사랑/ 불도를 닦다 간통으로 몰린 남녀/ 과부와 중의 간통 20. 조선시대에도 성병이 있었을까? 성생활과 성병/ 조선시대 성병, 천포창天疱瘡 21. 야담집에 전해지는 남녀상열지사 간통에 관한 이야기/ 혼인에 관한 이야기/ 첩에 관한 이야기/ 과부에 관한 이야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