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ble of Contents

서문 │5 개정2판에 부쳐 │8 1. 백가의 종사 태공망太公望과 주 문왕 서백西伯 세상을 낚은 노인 태공망太公望 │17 상서로운 기운을 갖고 태어난 문왕文王│20 궁팔십달팔십窮八十達八十│23 무력을 쓰지 않고 적을 흔들다│29 대업을 위한 기다림의 미학, 무왕武王│33 목야牧野의 맹세│38 맥수지탄麥秀之嘆│42 태공망의 천하경영 철학을 담은 《육도삼략六韜三略》│45 제나라의 시조가 된 태공망의 치국방략治國方略│51 군주는 무일無逸해야 한다│57 2. 중국의 케인즈 관중管仲과 제 환공桓公 소백小白 총괄적 사고법을 지닌 관중管仲│65 거(?, 지금의 산동성 쥐현縣)로 달아나다│68 나를 알아준 사람은 포숙아鮑叔牙다│71 여색에 빠진 주 유왕幽王이 치른 값비싼 대가│76 원수를 재상으로 등용한 환공桓公│81 노마지지老馬之智, 경험보다 더 훌륭한 선생은 없다│85 의식이 풍족해야 예절을 안다│89 천하를 얻으려면 먼저 인재를 구하라│94 얻고 싶으면 먼저 주어라│98 명참모를 잃은 패자覇者의 말로│102 3. 명철한 범려范?와 월왕 구천句踐 명철보신明哲保身의 처세 철학을 남긴 범려范?│109 회계산會稽山에서의 치욕│113 상분득신嘗糞得信의 계책│117 와신상담臥薪嘗膽│120 역사를 바꾼 서시西施의 미인계│124 명참모는 명군을 알아본다│130 나아갈 때와 물러날 때를 알다│134 ‘부와 권력’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는 삶│141 앞날을 내다본 범려의 통찰력│146 안이한 판단과 해이한 마음이 실패를 부른다│149 4. 명참모의 대명사 장량張良과 한 고조 유방劉邦 명참모의 대명사 장량張良│155 스승 황석공黃石公과의 운명적인 만남│158 용안을 가진 건달, 유방劉邦│163 성을 쌓는 자는 망하고 길을 내는 자는 흥한다│167 공심위상攻心爲上, 마음을 공략하는 것이 상책이다│171 사면초가四面楚歌, 자신의 과오를 천명으로 돌린 항우項羽│176 용인술이 뛰어난 제왕│180 토사구팽兎死狗烹당한 비운의 천하 명장, 한신韓信│186 군주의 의혹을 역이용해 후손을 지킨 명재상, 소하蕭何│191 스스로 물러나 천수를 누리다│195 5. 충신의 표본 제갈량諸葛亮과 촉한의 유비劉備 삼국시대 최고의 책사 제갈량諸葛亮 │201 나는 썩은 선비가 아니오│204 떠돌이 생활로 전전한 황실의 종친, 유비劉備│208 삼고초려三顧草廬와 천하삼분지계天下三分之計│213 뛰어난 외교술이 빛을 발한 촉·오동맹│217 사사로운 원한으로 전쟁을 일으키면 안 된다│221 유비의 유언, 영안탁고永安託孤│225 칠종칠금七縱七擒과 읍참마속泣斬馬謖│230 모사재인 성사재천謀事在人 成事在天│236 오장원五丈原에서 지는 별│240 6. 불세출의 명재상 위징魏徵과 당 태종 이세민李世民 간언을 서슴지 않는 충신 위징魏徵│247 세상을 구하고 백성을 편안하게 한다│251 ‘현무문의 변’을 통한 황제 등극│254 물은 배를 뜨게 해주지만 전복시킬 수도 있다│257 군주는 공평무사해야 민심을 얻을 수 있다│261 치세의 본보기 ‘정관貞觀의 치治’│264 양신良臣과 충신의 차이│271 창업, 수성, 경장은 시행시기가 달라야 한다│276 천하가 안정될 때 멸망에 대비하라│279 강직한 신하를 거울로 삼다│284 7. 구국의 영웅 악비岳飛와 남송의 고종 문무를 겸비한 구국의 영웅 악비岳飛│291 북송의 멸망, 남송의 재건│294 우국충정에 불타는 젊은 혈기│298 정충보국精忠報國을 등에 새겨준 어머니│302 옥불탁 불성기, 인불학 부지도玉不琢 不成器, 人不學 不知道│306 겁쟁이 군주 남송 고종高宗의 권력집착│309 주화파인 진회秦檜의 손을 들어주다│313 호랑이를 잡기는 쉬우나 풀어주기는 어렵다│318 사후 300백년, 민족의 영웅으로 다시 나다│321 천고의 명문 만강홍滿江紅│326 8. 문명을 지킨 야율초재耶律楚材와 몽골의 칭기즈칸成吉思汗 몽골 유목민 정신의 수립자, 야율초재耶律楚材│333 사로잡힌 몸, 칸의 부름을 받다│336 몽골초원을 통일한 칭기즈칸成吉思汗│339 이유치국 이불치심以儒治國 以佛治心│344 서방 원정길에 오르다│348 애끓는 사모곡과 문명을 지키려는 몸부림│352 영웅의 일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