目次

프롤로그 타인을 배려하는데 왜 우리의 마음은 힘들까? Part 1 인식 우리에겐 ‘심리적 경계선’이 필요하다 “너를 위해서 하는 건데, 왜 몰라주는 거니?” 우리가 자꾸 휘말리는 분노와 가책이라는 정서 쉽게 상처 받는 사람이 되게 하는 나쁜 습관 ‘심리적 경계선’이란 무엇인가? 당신의 선량함에는 원칙이 있어야 한다 좋은 사람이고 싶다면 때로는 단호해져야 한다 Part 2 원인과 분석 거절할 때마다 나도 모르게 걸려 넘어지곤 하는 감정에 관하여 1. ‘예스걸’ 유형 딜레마: 모두에게 맞춰줬는데 모든 게 다 내 탓이라고? 오류: 수더분하지만 무시당하기 쉬운 감정 분석: 외톨이가 될지도 모른다는 두려움 2. ‘부모의 정서적 배우자’ 유형 딜레마: “넌 절대 엄마를 실망시키지 마라.” 오류: 부모님도 나와 같은 불완전한 인간일 뿐 감정 분석: 가짜 친밀감과 이별하는 연습 3. ‘피곤한 스파이더맨’ 유형 딜레마: 왜 내가 해주기만 바라고 있는 걸까? 오류: 나만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착각 감정 분석: 인정받기 위해 끊임없이 나를 검열한다 4. ‘구원자 소녀’ 유형 딜레마: 얼마나 더 희생해야 만족시킬 수 있을까? 오류: 언제 어디서나 ‘착하게’ 감정 분석: 진짜 문제는 외면하고 싶은 마음 5. ‘인간 ATM기’ 유형 딜레마: 가족인데 도와주지 않으면 손가락질하겠지? 오류: ‘거절’을 ‘배척’과 동일시한다 감정 분석: 개인으로서의 가치는 쓸모없다는 생각 Part 3 치유 거절 잘해도 좋은 사람입니다 너무 냉정하고 정 없는 사람처럼 보이진 않을까? 남에게만 좋은 사람, 나 자신에게도 좋은 사람 요구하는 법을 배우면 상대방은 더 쉽게 다가올 것이다 과도한 공감 능력이 독이 되는 순간 당신의 선의는 도와줄 만한 가치가 있는 사람에게 베풀어야 한다 심리적 경계선이 나의 자존감을 지켜준다 Part 4 연습 타인과 친밀해지면서 나도 편안해지는 마음 독립 연습 어떻게 하면 더 좋은 삶을 살 수 있을까? ‘거절할 것인가, 말 것인가’라는 이분법적 사고에서 벗어나라 내재적 변화 연습 ① 내 인생이 팽이처럼 쉬지 않고 돈다고 느껴질 때 해야 할 말 내재적 변화 연습 ② 부드럽게 결정권을 되찾아오는 과정 내재적 변화 연습 ③ 죄책감의 재구성 내재적 변화 연습 ④ ‘반드시’ 같은 말을 선택형으로 바꿔 말하라 내재적 변화 연습 ⑤ 나쁘게 상상하고 지나치게 걱정하는 습관의 고리를 끊는 연습 의지력만으로는 변화를 꾀할 수 없다 외재적 변화 연습 ① 더는 남에게 시간을 야금야금 빼앗기지 않겠다! 외재적 변화 연습 ② 눈치 보지 않고 돈 문제에 선을 긋는 법 에필로그 당신은 똑같은 일이 다음번에도 반복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