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키스할 때 눈을 감는 건

고명재 · 詩
108p
購入可能なサービス
評価分布グラフ
平均3.6(185人)
評価する
3.6
平均評価
(185人)
“우리 삶의 절망과 희망이 교직되는 순간순간을 절실하게 잘 드러내었다”는 평을 받으며(2020년 조선일보 신춘문예) 데뷔한 고명재 시인의 첫 시집을 문학동네시인선 184번으로 펴낸다. 당선소감에서 시인은 “우리가 사랑하는 모든 것은 사라지지만, 이야기가 남습니다. 몸이 사랑이 됩니다. 또한 그 이야기와 사랑조차 시간에 녹아 다 사라진대도 우리가 함께했다는 것, 눈부신 그 사실만으로 충분하다는 걸 이제는 알 것 같아요”라 말한 바 있다. ‘사라짐/죽음’과 ‘몸/사람’ 그리고 ‘이야기/시’에 대한 이 지극한 마음이 43편의 시편들에 켜켜이 배어 있다. 그리고 사랑, 사랑이 있다. ‘사랑은 육상처럼 앞지르는 운동이 아닌데’ ‘귤을 밟고 사랑이 칸칸이 불 밝히도록’ ‘자다가 일어나 우는 내 안의 송아지를 사랑해’로 부제목을 달아 시편을 나누어 엮은 것만 봐도 짐작할 수 있듯 고명재 시인의 시세계를 관통하는 키워드는 단연 ‘사랑’이다.

[디아스포라영화제 개최]

단, 5일 간 인천에서 만나요!

디아스포라영화제 · AD

評価分布グラフ
平均3.6(185人)

[디아스포라영화제 개최]

단, 5일 간 인천에서 만나요!

디아스포라영화제 · AD

著者/訳者

レビュー

20+

目次

시인의 말 1부 사랑은 육상처럼 앞지르는 운동이 아닌데 청진/ 수육/ 환/ 아름과 다름을 쓰다/ 왜 이 집에 왔니/ 우리가 키스할 때 눈을 감는 건/ 포드 이후/ 너를 태우고 녀석이 불을 핥으려 한다/ 뜸/ 선/ 시와 입술/ 왜 잠수교가 잠길 때 당신이 솟나요/ 연육/ 미더덕은 아름다움을 더 달라는 것처럼/ 페이스트리 2부 귤을 밟고 사랑이 칸칸이 불 밝히도록 비누/ 한정식/ 어제도 쌀떡이 걸려 있었다/ 일흔/ 귀뚜라미/ 둘/ 우리의 벌어진 이름은 울음에서 왔다/ 소보로/ 북/ 물수제비/ 여름 하면 두꺼비가 쏟아져내리지/ 지붕/ 엄마가 잘 때 할머니가 비쳐서 좋다/ 사랑을 줘야지 헛물을 켜야지 3부 자다가 일어나 우는 내 안의 송아지를 사랑해 비인기 종목에 진심인 편/ 송아지/ 몸무게/ 바이킹/ 그런 나라에서는 오렌지가 잘 익을 것이다/ 경주 사는 김대성은/ 노랑/ 등/ 초록/ 사이 새/ 보라/ 우리는 기온이 낮을수록 용감해진다/ 얼얼/ 자유형 발문| 미친 말들의 슬픈 속도-박연준(시인)

出版社による書籍紹介

“당신은 시와 정통으로 눈 맞은 사람. 시에 꿰뚫린 사람. 당신의 언어는 팽이처럼 저를 곤두선 채 돌고 싶게 만듭니다.” _박연준(시인) 가장 투명한 부위를 맞대는 일의 눈부심, 말갛고 밝은 죽음과 사랑의 세계 “우리 삶의 절망과 희망이 교직되는 순간순간을 절실하게 잘 드러내었다”는 평을 받으며(2020년 조선일보 신춘문예) 데뷔한 고명재 시인의 첫 시집을 문학동네시인선 184번으로 펴낸다. 당선소감에서 시인은 “우리가 사랑하는 모든 것은 사라지지만, 이야기가 남습니다. 몸이 사랑이 됩니다. 또한 그 이야기와 사랑조차 시간에 녹아 다 사라진대도 우리가 함께했다는 것, 눈부신 그 사실만으로 충분하다는 걸 이제는 알 것 같아요”라 말한 바 있다. ‘사라짐/죽음’과 ‘몸/사람’ 그리고 ‘이야기/시’에 대한 이 지극한 마음이 43편의 시편들에 켜켜이 배어 있다. 그리고 사랑, 사랑이 있다. ‘사랑은 육상처럼 앞지르는 운동이 아닌데’ ‘귤을 밟고 사랑이 칸칸이 불 밝히도록’ ‘자다가 일어나 우는 내 안의 송아지를 사랑해’로 부제목을 달아 시편을 나누어 엮은 것만 봐도 짐작할 수 있듯 고명재 시인의 시세계를 관통하는 키워드는 단연 ‘사랑’이다. “불쑥 떠오르는 얼굴에 전부를 걸어요” 사랑은 어떻게 생겨나는가 매일 사랑하는 사람의 유골을 반죽에 섞고 언덕이 부풀 때까지 기다렸어요 물려받은 빵집이거든요 무르고 싶은 일들이 많아서 사람이 강물이죠 눈빛이 일렁이죠 사랑은 사람 속에서 흐르고 굴러야 사랑인 거죠 (…) 나는 안쪽에서 부푸는 사랑만 봐요 불쑥 떠오르는 얼굴에 전부를 걸어요 오븐을 열면 누렁개가 튀어나오고 빵은 언제나 틀 밖으로 넘치는 거니까 빵집 문을 활짝 열고 강가로 가요 당신의 개가 기쁨으로 앞서 달릴 때 해질녘은 허기조차 아름다워서 우리는 금빛으로 물든 눈에 손을 씻다가 흐르는 강물에서 기다란 바게트를 꺼내요 _「페이스트리」 부분 안쪽에서 부푸는 것, 틀을 넘치며 태어나는 것, 기쁨으로 앞서 달리는 것, 금빛으로 물든 눈에 손을 씻는 것. 고명재 시세계 속 사랑의 속성들이다. 그리하여 빵처럼 말랑하고 부드럽고 향긋해지는 것. 반죽에 “사랑하는 사람의 유골”을 섞는다는 것이 인상적인데, 떠나간 존재들에 대한 애틋한 숙고는 이 시를 비롯해 시집 전반에 별처럼 박혀 있고, 그들에 대해 생각하기를 피하거나 멈추지 않는 것, 오히려 전부를 거는 것으로 시 속 화자들은 “매일” 사랑을 배워간다. 상실과 허무의 그림자를 거두어낸 자리에서 만나는 말갛고 환한 볕 안에서 사랑은 되살아나고(「환」), 시인은 그 사랑을 쥐고 조금 더 용감하고 겸허한 마음으로 새로이 시를 써나간다. “엄마가 잘 때 할머니가 비쳐서 좋다 떠난 사람이 캄캄하게 보고 싶어서/ 가슴속의 복숭아를 반으로 가르는/ 과육의 슬픔도 과도도 향기도 모두가 좋다”(「엄마가 잘 때 할머니가 비쳐서 좋다」)고, 오롯한 사랑의 주체가 되어 써나간다. “우리는 함께 사랑으로 시간을 뚫었다” 사랑은 무엇을 가능하게 하는가 “연의 아름다움은 바람도 얼레도 꽁수도 아니고 높은 것에 연결되어 있다는 느낌”, 서시 「청진」의 첫 구절이다. 발문을 쓴 박연준 시인은 이 구절의 ‘연’을 ‘시’로 바꿔 읽어보자 제안한다. “얼레를 풀어 시가 바람을 타고 솟아오르도록 놓아주면서 우리 스스로 놓여나는 일”(박연준)이 시 쓰기와 시 읽기의 아름다움이 아닐지. 사랑을 쥐고 종종 높은 것에 연결돼 있는 느낌을 소중히 여기는 이 시인은 귀로 시를 쓰는 사람이기도 하다. “누가 울 때 그는 캄캄한 이국(異國)입니다/ 누가 울 때 살은 벗겨집니다/ 누가 울 때 그 사람은 꽃이 됩니다/ 꽃다발을 가슴에 안아야겠지요”(「그런 나라에서는 오렌지가 잘 익을 것이다」) 눈에 보이는 것을 타자화하거나, 입으로 속단해 말하는 일을 삼가고 귀에 들어온 것을 은은히 섬겨 시로 구축하는 것 역시 사랑의 한 방식일 것이다. “어둠의 입장에서는 빛이 밤의 구멍이고 그 요란한 빛의 구덩이를 메우기 위해 (…) 충분히 슬퍼할 시간을 위해 존재의 품위와 부드러운 꿈결을 위해 침묵을 위해”(「어제도 쌀떡이 걸려 있었다」) 온몸을 던지는 나방처럼 말이다. 이 시집을 잘 표현하는 시구 가운데 “우리는 함께 사랑으로 시간을 뚫었다”(「연육」)를 빼놓을 수는 없으리라. 과거-현재-미래라는 선형적인 시간감각을 벗어난 자리에 뚫(리)거나 (치)솟는 사랑의 이미지들이 힘있게 자리하며 시인이 그리는 진실한 생의 시간을 예감하게 한다. 그때 나는 빵을 물면 밀밭을 보았고 그때 나는 소금을 핥고 동해로 퍼졌고 그때 나는 시를 읽고 미간이 뚫렸다 그때부터 존재할 수 있었다 그리고 가끔 그때의 네가 창을 흔든다 그때 살던 사람은 이제 흉부에 살고 그래서 가끔 양치를 하다 가슴을 쥔다 그럴 때 나는 사람을 넘어 존재가 된다 _「소보로」 부분 반지하가 차오르며 쥐들이 달리고 아이들은 신이 나서 양말을 던지고 나는 복사뼈를 깨트려서 나누어주리 새들이 물고 멀리까지 날 수 있도록 음악과 귀로 종달새로 껍질을 뚫고 너희 집 앞에 치솟는 복숭아나무가 되리 _「왜 잠수교가 잠길 때 당신이 솟나요」 부분 사랑을 줘야지 헛물을 켜야지 등불을 켜야지 예민하게 코끝을 국화에 처박고 싶어 다음 생엔 꽃집 같은 거 하고 싶다고 겁 없이 살 때 소나기 그칠 때 구름이 뚫릴 때 엄마랑 샛노란 빛의 입자를 후루룩 삼키며 _「사랑을 줘야지 헛물을 켜야지」 부분 “눈귀코로 사랑이 바글대고 있는데/ 솟고 싶다 헤엄치고 싶다”(「시와 입술」) 쓰는 시인. 무엇 하나 누구 하나 허투루 흘려보내지 않는 너른 품으로 삶과 죽음을 단정히 안는 그의 사랑은 잔잔하기만 한 것이 아니다. 앞서 인용한 시에서처럼 그의 사랑은 사람 속에서 흐르고 구르는 것, 역동적이고 생기 있으며 얼마든지 크고 강해질 수 있는 것이기 때문이다. 이토록 힘이 센 다정함, 이토록 용감한 사랑의 세계가 새로운 독자를 기다린다. 사랑 속에서 우리 몸의 가장 연하고 투명한 부위를 맞댈 때, 가만히 눈을 감고 서로의 존재가 얼마나 아름다운지 되새길 때 터져나오는 빛이 이 시집에 담긴 시들과 독자들이 마주했을 때 설핏 드리워지기를 기대한다. ◎고명재 시인과의 미니 인터뷰 Q1. 안녕하세요, 작가님. 첫 시집이 나왔습니다! 출간 소회부터 여쭙고 싶어요. 너무너무 행복해요! 울렁울렁 신나요! 첫눈을 보는 것처럼 마음의 창이 활짝 열려서 기쁘고 기쁠 뿐이에요. 쌀알 한 톨만큼의 후회도 아쉬움도 없어요. 만들어주신 분들의 지극한 사랑 덕분이에요. 정말 많은 분들의 손길을 거쳐 시집이 태어났는데요. 그 많은 손과 애정어린 정성이 너무 감사해서 ‘드디어 태어났구나! 아유 예뻐라’ 이런 마음뿐이에요. 말랑말랑한 아기가 태어난 것처럼요. 저는 책을 만드는 일이 이렇게 아름다운 일이란 걸 처음 경험해봤어요. 책이야말로 공동체의 산물, 그 자체구나. 그런 생각을 했어요. 그래서 기뻐요. ‘나의 첫 시집’이라서가 아니라 ‘함께 만든 첫 시집’이라서. 정말 시집이 너무너무 예뻐 보여요! 매일 아침 눈을 뜨면 사랑이 와요. 귀기울이면 그게 모두 새소리예요. Q2. 죽음과 사랑의 시가 많다고 느껴집니다. 어둡고 무겁기보다는 말갛고 깊은 느낌으로요. 상실과 부재 그다음에 가능한 어떤 초월적인 세계를 엿본 것도 같습니다. 아마도 시 속의 화자가 너무나 열심히, 온 마음으로 그 대상을 생각하고 또 생각하기 때문인 것 같아요. "불쑥 떠오르는 얼굴에 전부를 걸어요"라는 시구가 작가님

この作品が含まれたまとめ

18
  • 出典
  • サービス利用規約
  • プライバシーポリシー
  • 会社案内
  • © 2024 by WATCHA,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