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의학, 예술작품을 해부하다

문국진 · 人文学
288p
購入可能なサービス
content
評価分布グラフ
平均 2.6(7人)
0.5
2.5
5
評価する
2.6
平均評価
(7人)
レビュー
もっと見る

문국진 교수는 대한민국 1호 법의학자이자, 우리나라에 최초로 법의학 교실을 창설하였다. 법의학자의 관점에서 예술작품을 분석하는 ‘법의예술학’을 세계 최초로 개척하였다. ‘단 한 명의 억울한 죽음도 없게 하라’는 모토로 지난 세월 동안 굵직한 사건을 해결해왔다. 법의학자로서, 예술을 사랑하는 학자로서 ‘법의예술학’적 관점에서 17권의 ‘예술작품을 의학 또는 법의학적으로 분석’한 저술을 펴낸 바 있다. 이 책은 예술작품 속 불가사의한 사건들을 해부하고, 권리침해의 억울함을 가려내고, 죽음의 원인을 밝혀내기 위해 법의학을 도입하였다. 이 책을 통해 우리나라에 하루 빨리 ‘법의관 검시제도’가 수립되기를 바라며, ‘법의예술학’이 예술작품을 사랑하는 의학도나 법과학도 또는 예술가나 문필가들에 의해 실용적인 학문으로 발전되기를 저자는 바라고 있다.

<그부호> 웨스 앤더슨 감독

비주얼 마스터의 독보적 세계관

<페니키안 스킴> · AD

評価分布グラフ
平均 2.6(7人)
0.5
2.5
5

<그부호> 웨스 앤더슨 감독

비주얼 마스터의 독보적 세계관

<페니키안 스킴> · AD

著者/訳者

目次

들어가는 글 ‘검시제도’ 수립의 밑거름이 되기를 바라며 Part 1 법의학, 예술작품의 불가사의를 해부하다 No. 1 죽음 그 너머에서 보이는 것 No. 2 신의 계시를 받은 사람들 No. 3 병적 발작에 대한 문학적 표현으로 의료계에 기여한 도스토옙스키 No. 4 성장하는 여성의 변화, 신비한 ‘마미 브레인’ No. 5 사모화를 그린 세 명의 화가, 동성애자가 되다 No. 6 누다 베리타스Nuda Veritas, 여성의 나체에서 보는 진실 No. 7 모든 것의 종말, 수평해지는 자연의 진리 No. 8 죽음의 냄새가 전하는 메멘토 모리Memento Mori Part 2 법의학, 예술작품 속 권리침해의 억울함을 가려내다 No. 9 아름다움으로 희생된 여인과 스탕달신드롬 No. 10 200년간 간직된 한을 풀다_ 고야의 그림 속 모델 신원을 확인하라 No. 11 ‘마하’의 신원 확인을 위한 법의학의 개입 No. 12 배심원 재판의 모순_ ‘프리네’와 ‘채플린’의 친자확인 사건 No. 13 다윗과 밧세바 사건 1_ 밧세바는 과연 요부였는가 No. 14 다윗과 밧세바 사건 2_ ‘공포배란’으로 임신한 밧세바 No. 15 다윗과 밧세바 사건 3_ 역사적 최초의 ‘미필적 고의’ 살인을 범한 다윗 왕 No. 16 아리스토텔레스와 필리스 사건의 진상_ 이성과 열정 사이 대학자의 굴욕 No. 17 질투에 미치다 No. 18 콘스탄체 모차르트는 과연 악처였을까 Part 3 법의학, 예술작품을 해부하여 죽음의 원인을 밝혀내다 No. 19 그림을 통해 자살을 입증하다 No. 20 반 고흐의 사망진단서 No. 21 그림이 알려주는 클레오파트라 죽음의 진실 No. 22 ‘콜레라’인가, 강요된 자살인가_ 차이콥스키 죽음의 진실 No. 23 조세핀의 제비꽃 향과 나폴레옹의 운명 No. 24 모차르트 귀 기형의 원인과 죽음의 진실 No. 25 예수의 심장은 오른쪽에 있었을까 No. 26 아름다움에 숨겨진 복수의 칼날 No. 27 흑인의 손톱은 자라지 않는다? No. 28 ‘헤보나’ 씨앗으로 야기된 햄릿의 비극 마치는 글 평생 얻은 지식을 사회에 환원한다 책에 수록된 그림 목록 참고문헌

出版社による書籍紹介

고야의 그림 속 ‘마하’의 진짜 주인공은 누구인가 차이콥스키는 진짜 콜레라로 사망했을까 다윗, 역사상 최초의 ‘미필적 고의’ 살인을 저지르다 어머니를 사랑하여 동성애자가 된 세 명의 위대한 화가는 누구인가 법의학자, 예술작품을 해부하여 숨겨진 진실을 밝혀내다 문국진 교수는 대한민국 1호 법의학자이자, 우리나라에 최초로 법의학 교실을 창설하였다. 법의학자의 관점에서 예술작품을 분석하는 ‘법의예술학’을 세계 최초로 개척하였다. ‘단 한 명의 억울한 죽음도 없게 하라’는 모토로 지난 세월 동안 굵직한 사건을 해결해왔다. 법의학자로서, 예술을 사랑하는 학자로서 ‘법의예술학’적 관점에서 17권의 ‘예술작품을 의학 또는 법의학적으로 분석’한 저술을 펴낸 바 있다. 이 책은 예술작품 속 불가사의한 사건들을 해부하고, 권리침해의 억울함을 가려내고, 죽음의 원인을 밝혀내기 위해 법의학을 도입하였다. 이 책을 통해 우리나라에 하루 빨리 ‘법의관 검시제도’가 수립되기를 바라며, ‘법의예술학’이 예술작품을 사랑하는 의학도나 법과학도 또는 예술가나 문필가들에 의해 실용적인 학문으로 발전되기를 저자는 바라고 있다. 법의학, 예술작품의 불가사의를 해부하다 뇌전증을 앓으면서 위대한 걸작을 낸 작가가 있다. 이 작가는 발작을 일으키는 순간을 자세하고도 문학적으로 표현하여 의학의 발전에도 기여했다. 《백치》《카라마조프의 형제들》을 쓴 위대한 작가 도스토옙스키이다. 그는 뇌전증 발작의 순간을 전 생애를 던져도 좋다고 할 정도로 아름다움과 격분에 충만한 순간으로 묘사했다. 그의 이 표현은 이후 의학적 논쟁을 일으켰고, 도스토옙스키는 근대 뇌전증학의 연구 대상이 되었다. 여성이 임신을 한 순간, 위대한 희생이라고 할 수 있는 신비한 ‘마미 브레인’과 구스타프 클림프가 그린 여성의 나체를 통해 진실을 탐구하는 ‘누다 베리타스’ 그리고 페르디낭 호들러가 자신의 아내 발렌틴이 병들어 죽어가는 모습을 그림으로 그리면서 깨달은 ‘모든 것은 수평으로 향한다.’ 아름답거나 고통스럽거나 우리가 체험하지 못하는 천국을 그린 예술작품을 단순한 감상이 아닌 분석을 통해 그 이면의 숨겨진 진실을 파헤치고 있다. 법의학, 예술작품 속 권리침해의 억울함을 가려내다 고야의 그림 속 ‘마하’의 진짜 주인공을 가려낸 분석은 놀랍고 경이롭다. ‘마하’의 주인공으로 꼽히는 알바 부인과 페피타 투도의 그림을 입체 분석하여 눈과 얼굴 너비, 코와 얼굴 너비, 눈과 코의 상대비율 등의 얼굴 계측지수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얼굴인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유사도 값을 확인한 후 진짜 마하의 주인공을 가려냈다. 200년간 감춰져 있던 진실이 밝혀지는 순간이다. ‘신의 아름다움’을 가진 프리네의 신성모독 재판, 다윗과 밧세바의 사건을 여러 화가가 그린 작품을 통해 진실을 파헤친다. 밧세바는 희대의 요부였을까, 밧세바의 임신의 비밀 그리고 역사상 최초로 ‘미필적 고의’ 살인을 저지른 다윗의 사건을 법의학적 관점에서 해부하고 분석하여 이면에 숨겨진 진짜 사실을 밝히고 있다. 법의학, 예술작품을 해부하여 죽음의 원인을 밝혀내다 아직도 논란이 되고 있는 반 고흐의 죽음에 대한 진실을 두 개의 작품인 <도비니의 정원>을 통해 분석하고 있다. 두 개의 <도비니의 정원> 속 ‘검은 고양이’는 과연 무엇을 말하고 있는지, 그림을 통해 고흐가 드러내고자 했던 자신의 마음을 엿볼 수 있다. 그리고 법의학자로서 고흐의 사망진단서를 첨부하였다. 클레오파트라는 뱀독에 의한 자살인가, 아니면 일산화탄소에 의한 사망일까. <클레오파트라의 죽음>을 그린 여러 작품을 통해 사망자의 상태와 주변 상황 등을 분석하여 죽음의 원인을 밝히고 있다. 동성애자였던 차이콥스키의 진짜 사망 원인, 제비꽃 향과 운명을 함께한 나폴레옹과 조세핀, 예수의 심장의 위치 그리고 햄릿의 비극을 극대화한 헤보나 씨앗 등에 대해 분석하고 있다.
  • 出典
  • サービス利用規約
  • プライバシーポリシー
  • 会社案内
  • © 2025 by WATCHA,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