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아남은 아이

조진주 · 小説
312p
購入可能なサービス
評価分布グラフ
平均3.8(8人)
評価する
3.8
平均評価
(8人)
침묵과 망각에의 강요 뒤에 숨겨진 진실을 찾아가는 조진주의 첫 장편소설. 여성 피해자-생존자인 화자의, 두 개의 시선에 둘러싸인 채 하나의 차가운 현실을 살아가는 삶을 가슴 아프게 그린 소설이다. 세상의 폭력 혹은 균열을 목격한 사람은 결코 이전과 똑같은 삶으로 돌아갈 수 없다는 냉혹한 현실을 담담하게 전하고 있다. 유괴를 당했다가 살아 돌아온 아이, 아니 정확하게는 둘이 유괴당했다가 혼자 살아남은 아이 지희에게는 늘 두 가지의 시선이 따라다닌다. 하나는 동정이 가득 담긴 피해자로서의 시선이고, 다른 하나는 거짓말쟁이, 배신자라는 생존자/목격자로서의 시선이다. 지희에게는 둘다 공포를 일깨울 뿐이나, 이런 밖으로부터의 두 가지 시선보다 더 날카롭고 아픈 시선은 바로 지희 스스로가 자신을 대하는 시선, 죄책감이었다.

[디아스포라영화제 개최]

단, 5일 간 인천에서 만나요!

디아스포라영화제 · AD

評価分布グラフ
平均3.8(8人)

[디아스포라영화제 개최]

단, 5일 간 인천에서 만나요!

디아스포라영화제 · AD

著者/訳者

レビュー

3

目次

살아남은 아이 9 작품해설 296 작가의 말 309

出版社による書籍紹介

두 개의 시선, 하나의 차가운 현실 침묵과 망각에의 강요 뒤에 숨겨진 진실을 찾아가는 조진주의 첫 장편소설! 이 책에 대하여 조진주의 첫 장편소설 『살아남은 아이』가 출간되었다. 2017년 『현대문학』 신인추천을 통해 등단한 후 2021년 첫 소설집 『다시 나의 이름은』을 발표한 이후 1년 만에 내놓는 신작이다. 첫 소설집 『다시 나의 이름은』이 다양한 성별과 연령을 가진 화자들의 갈등과 고독을 풍부한 스펙트럼으로 담고 있다면, 이번 장편 『살아남은 아이』는 여성 피해자-생존자인 화자의, 두 개의 시선에 둘러싸인 채 하나의 차가운 현실을 살아가는 삶을 가슴 아프게 그린 소설이다. “범죄/폭력이라는 단절을 목격한 이후로도 이어지는 삶을 어떻게 마주할 것인가에 더 관심을 둔다. 소설은 히어로가 무너져 내리는 세상을 봉합하는 동안, 그 뒤로 “수많은 엑스트라들이 재난을 피해 내달렸다”(109쪽)는 것을 보려 한”(김건형) 조진주의 이번 소설은 평화로운 듯보이는 이 세상이 사실은 얼마나 많은 폭력과 균열 속에 그 진실들을 묻고 있는지, 그것이 인간의 삶에 어떤 결과를 불러오는지를 담담하게 전하고 있다. 범죄를 목격한 이후 17년! 다들 잊으라 하지만 과거가 아닌 여전히 현재이다 유괴를 당했다가 살아 돌아온 아이, 아니 정확하게는 둘이 유괴당했다가 혼자 살아남은 아이 지희에게는 늘 두 가지의 시선이 따라다닌다. 하나는 동정이 가득 담긴, 피해자로서의 시선이고, 다른 하나는 배신자라는 생존자/목격자로서의 시선이다. 지희에게는 둘다 공포를 일깨울 뿐이나, 이런 밖으로부터의 두 가지 시선보다 더 날카롭고 아픈 시선이 있었으니 그건 지희 스스로가 자신을 대하는 시선, 바로 죄책감이었다. 미성과 함께 유괴당한 후 혼자만 풀려난 지희는 사건의 유력한 용의자로 이도형을 지목한다. 하지만 이도형의 확실한 알리바이로 증언은 받아들여지지 않고, 지희는 범인의 얼굴을 떠올리려 끊임없이 몽타주를 그린다. 또 다른 인물 장호성의 죽음으로 미제였던 유괴 사건은 일단락되는 듯했으나, 지희는 수사결과를 받아들일 수 없고, 결국 장호성이 살던 동네를 찾아가 사건의 진실을 밝혀낼 놀라운 이야기를 전해 듣는다. 그 이후 지희와 이도형 사이의 진실을 둘러싼 공방은 이어지고 상황이 불리하게 돌아가자 이도형은 지희에게 진실을 밝히며 이번엔 지희가 자신을 살려줄 차례라고 말한다. “그거 아니? 네가 지금 여러 사람을 힘들게 한다는 거. 기억이 안 난다며. 그럼 그냥 주어진 현실을 받아들이려 노력하면 안 되는 거냐? 사방을 들쑤시며 심란한 사람들 속을 헤집고 싶은 거야?” (116쪽) 주위의 계속된 만류에도 불구하고 지희는 진정한 자유를 얻기 위한, 17년 전의 진실 찾기를 멈추지 않고, 사건 당시를 목격했던 친구 규연과 함께 길고 지루한 싸움에 본격적으로 뛰어든다. 강요된 불안에 굴복하지 않고 모든 것을 알게 될 때, 사건에 대한 “정확한 판단”에 이를 때, 이를 자신의 목소리로 말할 수 있을 때, 자신을 옭아매고 괴롭히는 그 사건으로부터 도리어 풀려날 수 있다는 기대다. ―김건형(문학평론가) “폭력 속에서 자신의 삶을 되찾기 위해 싸우는 사람들에 관한 이야기를 하고 싶었다.”는 작가는 섣불리 해피엔딩을 말하지는 않는다. 하지만 “억지로 상처를 지우려 하는 대신 그것을 마주하는 길을 택한 사람들의 용기에 대해” 이야기하며 “폭력과 맞선 사람들의 승리가 반드시 보장되지는 않는 세상에 살고 있”지만 “최선의 해결책을 찾아내고 스스로 설 힘을 얻게 되는 인물”들의 모습을 보여주고 싶다고 말한다. 산을 오르고 골짜기를 지나고 부서진 미로의 잔해를 밟고 앞으로 나아가다 보면, 길 곳곳에 뿌려진 작은 희망의 불씨를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살아남은 아이』가 독자들에게 전하고 싶은 이야기는 바로 그것일 것이다.
  • 出典
  • サービス利用規約
  • プライバシーポリシー
  • 会社案内
  • © 2024 by WATCHA,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