옮긴이 서문
서문
1부 범죄 분석과 수사
1장 범죄 분류: 과거와 현재
역사적 고찰
범죄 특징과 범죄 분류 현황
범죄 분류: 판단 과정
유형, 방식, 피해자 수에 따른 분류
범죄 분류 넘버링 체제
2장 범죄 현장 분석에 쓰이는 범죄 수사 개념
범죄분석 평가 단계에서 던져야 할 질문들
범행수법
시그니처
범행수법인가? 시그니처인가?
사건 간의 연관성
범죄자 시그니처
연쇄살인자 시그니처
퍼스네이션Personation
스테이징Staging
객관성
결론
3장 인터넷, 기술, 포렌식 연구가 수사에 미친 영향
인터넷 연쇄살인마 사례: 존 E. 로빈슨 주니어
기술의 발전
법과학의 발전
가상의 범죄 현장 분석을 통한 살인사건 해결
결론
4장 지방, 연방, 국제 집행기관
미국의 법집행기관 유형
미 연방수사국 FBI
FBI 행동과학부
폭력범검거프로그램
폭력범검거프로그램의 임무
폭력범검거프로그램 사건 유형
폭력범검거프로그램의 현재
기타 연방 수사 부서
국제기관
사이버범죄와의 전쟁
결론
5장 심각성에 따른 범죄 분류: 가중요소부터 극악성까지
크리스토퍼 제임스 하이든 사례
극악무도하지 않다는 항소
범죄 자체와 관련된 가중요소
최악의 범죄를 정의하는 근거
형사재판 선고를 위한 극악의 기준
극악성 항목의 정의: 수사관에게 미치는 영향
극악의 기준 활용
2부 분류
6장 금전적 이득 살인
통합범죄보고(UCR)
피해자/유형/방식에 따른 살인 분류
수사 프로파일링
범죄분류매뉴얼(CCM): 살인 분류를 위한 동기 모델
100Ⅰ 금전적 이득을 노린 살인 Criminal Enterprise
101Ⅰ 청부살인 Contract Murder(제3자)
102Ⅰ 범죄조직살인 Gang-Motivated Murder
103Ⅰ 범죄조직경쟁 Criminal Competition
104Ⅰ 납치살인 Kidnap Murder
105Ⅰ 제품부당변조살인 Product Tamper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