目次

서론: 젊은 역사가들의 향연 5 Ⅰ. 환경 1. 전한(前漢) 황하와 『수경주』(水經注) 황하의 특성 비교 ------ 하세가와 ㅤㅅㅠㄴ지(長谷川順二) ― 리모트센싱 데이터를 이용한 황하 고하도(古河道)의 연구 33 머리말 1. 기존의 황하 변천설 2. RS 데이터와 현지조사의 비교 3. 지형·지질 면에서 살펴본 황하의 특성 맺는말 2. 명대(明代) 호남성(湖南省)의 환경과 역병(疫病) ------ 김현선(金賢善) 63 머리말 1. 명대 호남성의 역병 분포 2. 환경과 역병 맺는말 Ⅱ. 정치체제(전근대편) 3. 신라의 환관(宦官) 관부(官府)를 찾아서 ------ 이재환(李在晥) 111 ― 세택(중사성)의 성격에 대한 재검토 머리말 1. 신라 중·하대의 중사(中使)·내양(內養)과 중사성 2. 동궁 출토 목간(木簡)을 통해 본 세택의 담당 직무 맺는말 4. 16세기 조선 ‘산림지사’(山林之士)의 대두와 천거제 논의 ------ 김영인(金映印) 133 머리말 1. 성리학의 확산과 ‘산림지사’의 시대 2. 16세기 전반: 산림지사의 진출과 천거제 3. 16세기 후반: 산림지사의 위상 강화 맺는말 Ⅲ. 정치사상(전근대편) 5. 질서 지상인가 군주 지상인가 ------ 장펑(姜鵬) 149 ― 사마광(司馬光)의 정치관념에 대한 재해석 머리말: 중앙집권과 군주전제의 차이 1. 『자치통감』에 대한 인물평가의 기술법 2. 국가수호와 예제수호의 사이 3. 군신관계에 관한 예와 군주의 책임 맺는말 6. 일본형 병학(兵學)의 성립 ------ 당리궈(唐利國) 173 ― 야마가 소코(山鹿素行)의 주자학 비판에 대한 논의 머리말 1. 소코가 바라본 무가정치(武家政治) 2. 주자학의 ‘궁리’(窮理)에서 고학(古學)의 ‘궁리’로 3. 야마가류(山鹿流) 병학의 확립 Ⅳ. 국제관계(전근대편) 7. 조선 왕조 초기 ‘향화왜인’(向化倭人) 평도전(平道全) 연구 ------ 왕신레이(王鑫磊) 195 머리말 1. ‘향화왜인’이란 무엇인가: 기존연구와 이 글의 문제의식 2. ‘향화왜인’ 평도전 3. 조선 왕조와 일본 대마도의 특수한 관계 맺는말: ‘향화왜인’과 14세기 말~15세기 초 동아시아의 ‘왜구’ 문제 8. 조선·후금(後金) 사이의 경제관계 ------ 쓰지 야마토(辻大和) 223 ― 동아시아 대란 가운데서의 다각무역과 권력관계 머리말 1. 조선과 후금 사이의 무역형태 2. 조선 정부의 대(對)후금 무역정책 3. 조선의 대후금 무역정책의 배경 맺는말 9. 감추는 외교 ------ 와타나베 미키(渡邊美季) 247 ― 청에 대한 류쿠·일본 관계 은폐정책 머리말 1. 류큐의 역사와 중국·일본과의 관계 2. 은폐정책의 개시와 전개 3. 은폐정책과 표착사건 4. 은폐정책과 청조(淸朝) 5. 은폐정책과 근대국가의 외교 Ⅴ. 서학에 대한 대응 10. 메이지 일본 계몽사상의 재검토 ------ 고노 유리(河野有理) 273 ― 『메이로쿠 잡지』(明六雜誌)를 소재로 머리말 1. 계몽과 점진주의 2. 포스트 ‘봉건·군현론’의 시대: ‘봉건’ 의회/‘군현’ 의회 맺는말 11. 근대 동아시아 지식변화의 한 장면 ------ 쑨칭(孫靑) 297 ― 청말(1860~1905) 과거제도 개혁 중 주현(州縣)의 교사관(校士館)과 신학(新學) 과예(課藝) 머리말 1. 신학 도입의 과도형식: 서원에서의 ‘과예’시험 2. 청말 교육개혁과 신학 과예의 세 발전 단계 3. 경자년(1901) 과거개혁 후 지방 서원의 신학 과예: 산동 임청교사분관과 절강 석문교사관의 사례 맺는말 Ⅵ. 국제관계(근대편) 12. 각종 미디어로 본 전쟁과 일본 민중의 중국관 ------ 가나야마 야스유키(金山泰志) 335 머리말 1. 신문 이외 미디어를 통한 민중의 중국관 연구 2. 소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