出版社による書籍紹介
환경사에 대한 적극적인 요구, 그리고 젠더사 문제를 집중 분석하다
제1부에서 다루는 주제는 환경사이다. 현재 환경사 연구는 세계 역사학계에서 최첨단에 위치하고 있다. 일본을 제외한 동아시아 역사학계에서도 최근 상당한 주목을 받고 있다. 이 책이 굳이 처음에 이를 소개하는 것은 일본 역사가들의 관심을 촉구하기 위해서이다. 환경사에 대한 관심이 세계적으로 늘어난 것은 직접적으로는 19세기 이래 인구증가와 자원소비, 환경오염이 가속적으로 진행되어왔고, 근년에 들어 세계 각지에서 지구 생태계의 변화가 불규칙한 기후변동이라는 형태로 체감, 우려되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인재(人災)뿐만 아니라 자연계가 일으키는 재해도 중요한데, 동일본 대지진 이후 자연계를 시야에 넣은 역사의 장기변동에 대한 관심이 역사학계에서 싹트고 있는 것은 환영할 만한 일이다.
제2부는 전근대 동아시아 각국의 정치체제에 관해 살펴보고 있다. 전근대 동아시아의 정치질서는 두 가지 두드러진 특징이 보인다. 정권의 구성방법으로서의 과거(科擧), 즉 학력시험에 의한 군주 직속의 관료 선발과 군주의 내정(內廷)을 담당한 환관이다. 이들은 중국 역대 왕조와 한반도의 국가들에 존재했지만 일본에는 없었다. 동아시아 전통질서에는 정치체제의 근간에 현저한 공통성과 이질성이 보이는데, 이것은 비교사의 좋은 소재가 될 것이다.
제3부는 전근대의 정치사상을 다루고 있다. 지식인이 각 시기의 정치체제와 어떻게 관련되었는가 하는 문제이다. 각별히 장펑(姜鵬)의 「질서 지상인가 군주 지상인가」가 눈에 들어오는데, 이것은 『자치통감』의 저자로 왕안석 신법을 뒤엎은 것으로 유명한 북송(北宋)의 재상 사마광의 군주관을 논한 것이다. 중국에서의 통설은 사마광을 전제군주의 옹호자로 보고 있지만, 이 논문은 중앙정부에 의한 집권과 군주의 전제를 구별해 전제는 명청시대처럼 황제가 재상을 두지 않았을 때 행해졌다며, 사마광의 송나라는 중앙집권체제이기는 했지만 전제는 아니었다고 주장한다. 그런 시각에서 『자치통감』에서의 왕위계승을 둘러싼 기술을 분석하여, 사마광은 황제 자신의 의지보다는 장자계통이라는 ‘예’를 중시했다는 점을 밝혔다. 군주의 자의, 전제가 아니라 그 의지에 반하더라도 예제에 의한 질서의 안정을 중시했다는 것이다.
제4부에서는 전근대의 국제관계를 다루고 있다. 조선 초에 귀화한 대마도의 일본인, 만주족에 복속한 뒤 조선이 전개한 다각적인 국제무역, 류큐가 대마도의 양해 아래 일본에 대한 복속관계를 청조에 비밀로 한 것 등에 대한 3편의 글을 싣고 있다. 모두 각국의 경계에 위치한 사람과 국가에 대한 이야이기이다.
이 책의 후반부에서는 ‘근대’의 문제를 다루고 있다. 동아시아 근대는 서양 주도의 글로벌화의 제2파가 태평양 서안에 미쳐 한, 중, 일 각국이 그에 휩쓸리며 시작되었다. 조선과 프랑스‧미국과의 교전, 중국의 아편전쟁, 일본의 메이지유신(明治維新)을 그 시기(始期)로 볼 수 있을 것이다. 이때 동아시아 각국은 서양과 경제적‧군사적 관계에 진입했을 뿐만 아니라 사상과 제도의 측면에서도 대치, 참조, 수용하면서 자국을 변화시켜 가지 않을 수 없었다. 제5부에서는 먼저 서학(西學)에 대한 반응을 다룬다. 최초로 이에 착수해 서양문명을 조직적으로 도입한 것은 일본이었지만, 중국도 청말에는 ‘신학’(新學)을 과거를 위한 교육과정으로 수용했다. 먼저 고노 유리(河野有理)의 「메이지 일본 계몽사상의 재검토」는 메이지 정부가 성립한 이후 양학(洋學) 지식인이 중심이 되어 조직한 메이로쿠샤(明六社)에 대한 종래의 이해를 대폭 수정해야만 한다고 제창했다. 통설에서는 메이로쿠샤가 서양의 ‘계몽’이 대결해야만 했던 기독교 교회 같은 강적을 갖지 않았기 때문에 폐창론(廢娼論)과 같이 일본 사회에 대담한 개혁을 촉구하는 급진론적 주장을 할 수 있었다고 주장한다. 다른 한편, 쑨칭(孫靑)의 「근대 동아시아 지식변화의 한 장면」은 중국에서의 서양학 도입이 다름 아닌 과거제도를 이용해 시작되었다는 점을 입증했다. 다음으로 제6부에서는 근대의 국제관계, 그 중에서도 19세기에서 20세기에 걸친 전환기의 중일관계를 다룬 논문 두 편을 실었다.
시선을 옮겨 제7부에서는 젠더 문제를 집중 검토하고 있다. 이는 학문상으로도 실생활 면에서도 지금 세계에서 강한 관심을 끌고 있는 문제인데, 이 책에서는 중국 상하이를 무대로 한 여성의 담배소비를 둘러싼 논쟁, 그리고 일본의 조선지배에서의 ‘내선결혼’(內鮮結婚)의 실태와 문제를 분석했다. 특히 이정선의 「제국 일본의 ‘내선결혼’ 정책과 현실」은 일본이 20세기 전반에 조선을 지배할 때 표방한 동화정책이 어떻게 귀결되었는가를, 양 민족 간의 혼인실태와 정책에 대한 영향을 정밀하게 분석해 해명하고 있다. 내선결혼은 수적으로는 소수에 머물렀지만, 이 논문은 식민지 지배와 그 정당화 정책, 개개의 결혼에서 보이는 민족, 계급, 젠더 간의 권력관계, 그리고 조선과 일본 간의 상호간섭을 정치하게 보여주고 있다. 지금까지는 일본 측의 동화정책이 그대로 관철되었다고 흔히 이해되어 왔지만 실상은 훨씬 복잡했다면서 내선결혼한 당사자, 특히 하층민들의 처지를 동정의 눈으로 바라보며 끝맺고 있다.
마지막 제8부에서는 일본제국의 전시동원 체제와 제국붕괴에 따라 발생한 동아시아 차원의 대규모 인구이동을 살펴보고 있다. 특히 만주사변 이후 일본은 다양한 형태로 대중동원을 꾀했는데, 당시 세계적으로 유행이었던 라디오의 이용을 주목한 것이 정지희의 「‘듣는 주체’의 형성과 대중의 국민화」이다. 이 논문은 공공방송이 단체청취 실험을 시행해 관이 바라는 ‘주체’를 창출하려 했던 데 비해, 청취자들은 규범적인 청취자상으로부터 끊임없이 이탈해 결국 관은 라디오에 의한 규율을 사실상 단념하지 않을 수 없게 되었음을 밝혀내고 있다.
학술교류의 중요성과 그 토대 구축을 위한 한, 중, 일 역사학자들의 실험
지금 동아시아에서의 학술교류는 커다란 난관에 직면해 있다. 20세기 말부터 금세기 초에 걸쳐 두드러지게 진전해온 학술교류는 그 후 국제정세가 험악해지고 코로나도 발생하면서 거의 정지상태에 빠져 있다. 그런 와중에 미래의 동아시아에 평화를 확보, 증진하기 위해서는 학술교류를 심화하고 그것을 통해 서로에 대한 존경심을 갖추는 것이 불가결하다고 믿고 이 프로젝트가 시작되었다. 한, 중, 일 세 나라의 역사학자들이 나름 치열한 고민과 연구를 통해 내놓는 이 결과물은, 따라서 앞으로의 동아시아 미래에 조금이나 밝은 빛을 비추기 위한 노력의 작은 성과라고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