곽학송 소설 선집

곽학송 · 小説
516p
購入可能なサービス
評価する
4.0
平均評価
(1人)
문학사적으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나 작품이 제대로 정리되어 있지 않은 작고문인들의 충실한 작품집을 발간하기 위해 기획된 '한국문학의 재발견-작고문인선집' 곽학송 편. 곽학송 작가는 전후 신세대 작가로 전쟁의 소용돌이에 휩쓸린 다양한 처지의 인간 군상을 보여준 작가이다.

[9주년] 해피 젝시 데이!

젝시믹스 9주년 기념 ~80% 빅 세일

젝시믹스 · AD

[9주년] 해피 젝시 데이!

젝시믹스 9주년 기념 ~80% 빅 세일

젝시믹스 · AD

著者/訳者

目次

자유의 궤도 독목교 황혼 후 완충지대 시발점 김과 리 태아 해후군 제주도 해설_곽학송의 생애와 소설 작가 연보 작품 목록 연구 목록

出版社による書籍紹介

전후 신세대 작가로 전쟁의 소용돌이에 휩쓸린 다양한 처지의 인간 군상을 보여준 작가, 곽학송 곽학송은 1920년대에 이북에서 출생하여, 3·8선을 넘어 월남을 했고, 6·25전쟁 중에 등단하여 1950∼60년대에 주로 활동했던 작가의 한 사람으로서 그가 문단에서 차지하는 위치는 그리 작지 않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곽학송은 몇 개의 단편과 <철로>(단행본으로 나왔을 때의 제목은 <자유의 궤도>)라는 장편으로만 이름이 알려진, 아직까지 철저히 탐구되지 않은 작가이다. 문학 전집에 수록된 몇 편의 작품으로 남아 있을 뿐, 그동안 곽학송의 온전한 작품 세계를 접하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었다. 이에 현대문학에서는 시리즈의 하나로, 곽학송 작가의 소설들을 묶은『곽학송 소설 선집』을 출간하게 되었다. 곽학송의 작품은 전쟁의 소용돌이에 휩쓸린 다양한 처지의 인간 군상을 보여준다. ‘6·25전쟁’의 그림자는 그의 거의 모든 작품에 드리워져 있다고 보아도 과언이 아니다. 그러나 곽학송은 선우휘가 그랬던 것처럼 반공 이데올로기를 전파하고 역설하는 데 앞장서는 ‘반공 이데올로그’는 아니었다. 물론 반공문학 작품집이라는 시리즈가 묶일 때 소설선의 1번으로 곽학송의 소설 선집이 나왔고 그 후기에서 “진실된 모든 문학은 반공문학”이라고 말하고 있거니와 전쟁과 관련된 한 심포지엄에서는 “6·25세대(동란 중에 작품 활동을 시작한 작가·시인들)의 일원인 필자에게 있어서는 반공이란 곧 자유와 민주주의를 뜻하며 반공문학은 ‘참다운 문학’으로 직결된다”고 한 바 있지만 자세히 살펴보면 그의 작품은 전쟁을 차용하긴 하되 전쟁 그 자체에 중점을 두지는 않는다. 그의 대표작『철로』에는 6.25전쟁 당시 인민군 치하의 서울에서 90일을 지낸 인물이 등장하는데, 이 인물은 ‘환경과 절연된’ 독립적인 행동과 사고방식을 보여주는, 한국문학사에서 찾아보기 힘든 독특한 개인이다. 이 작품은 곽학송의 대표작으로 알려져 있어 몇몇 평론가와 연구자가 조명한 적이 있지만, 그것이 지니는 중요성을 고려한다면 아직 제대로 된 평가가 이루어진 것은 아니다. 계속해서 곽학송의 작품은 ‘전쟁’이라는 진지한 주제에서부터 ‘연애’와 ‘추리’라는 대중적 주제로 매우 다양하게 뻗어나갔다. 그의 작품들이 한국 문단의 주요한 이슈들과 거리가 멀어졌다 하더라도 한국 문화의 관점에서는 여전히 중요한 자리를 차지했다고 볼 수 있다. 1950~60년대는 전쟁, 이데올로기, 폐허와 실존, 국가의 재건 등 묵직한 고민들로만 가득 찼던 시대인 듯 보인다. 그러나 연애와 치정, 범죄와 추리, 대중적 오락 등의 가벼운 취향이 급속도로 전파되던 때이기도 했다. 이러한 경향을 자신의 작가적 여정으로 여실히 드러낸 이가 곽학송이다. 여러 작품 경향이 혼재되어 나타나지만, 곽학송이 처음부터 끝까지 일관되고 집요하게 다루었던 문제는 ‘6·25전쟁’이었다. 6·25전쟁은 40년에 이르는 곽학송의 소설 이력에서 매우 중요한 소재이자 주제이다. 비단 전쟁의 장면이나 전쟁 때의 일화가 등장하기 때문만은 아니다. 직접적인 전쟁의 체험, 전쟁을 통해 형성된 의식의 구조는 전쟁을 다루지 않은 그의 다른 경향의 작품들에도 일정한 영향을 미친다. 때문에 곽학송의 ‘전쟁소설’을 다시 읽는 일은 곽학송을 새롭게 이해하는 첫 번째 단계가 된다. 이 소설 선집은 곽학송에 접근하는 중요한 통로가 될 수 있을 것이다. * 은 문학사적으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나 작품이 제대로 정리되어 있지 않은 작고문인들의 충실한 작품집을 발간하기 위해 기획된 시리즈이다. 한국문화예술위원회가 후원하고 현대문학이 펴내는 이 총서는 앞으로 한국문학사의 가치를 정리·보존해 궁극적으로는 우리 문학의 위상을 확립하는 데 기여하고자 한다. 〈한국문학의 재발견 ― 작고문인선집〉을 펴내며 한국현대문학은 지난 백여 년 동안 상당한 문학적 축적을 이루었다. 한국의 근대사는 새로운 문학의 씨가 싹을 틔워 성장하고 좋은 결실을 맺기에는 너무나 가혹한 난세였지만, 한국현대문학은 많은 꽃을 피웠고 괄목할 만한 결실을 축적했다. 뿐만 아니라 스스로의 힘으로 시대정신과 문화의 중심에 서서 한편으로 시대의 어둠에 항거했고 또 한편으로는 시대의 아픔을 위무해왔다. 이제 한국현대문학사는 한눈으로 대중할 수 없는 당당하고 커다란 흐름이 되었다. 백여 년의 세월은 그것을 뒤돌아보는 것조차 점점 어렵게 만들며, 엄청난 양적인 팽창은 보존과 기억의 영역 밖으로 넘쳐나고 있다. 그리하여 문학사의 주류를 형성하는 일부 시인·작가들의 작품을 제외한 나머지 많은 문학적 유산들은 자칫 일실의 위험에 처해 있는 것처럼 보인다. 물론 문학사적 선택의 폭은 세월이 흐르면서 점점 좁아질 수밖에 없고, 보편적 의의를 지니지 못한 작품들은 망각의 뒤편으로 사라지는 것이 순리다. 그러나 아주 없어져서는 안 된다. 그것들은 그것들 나름대로 소중한 문학적 유물이다. 그것들은 미래의 새로운 문학의 씨앗을 품고 있을 수도 있고, 새로운 창조의 촉매 기능을 숨기고 있을 수도 있다. 단지 유의미한 과거라는 차원에서 그것들은 잘 정리되고 보존되어야 한다. 월북 작가들의 작품도 마찬가지이다. 기존 문학사에서 상대적으로 소외된 작가들을 주목하다보니 자연히 월북 작가들이 다수 포함되었다. 그러나 월북 작가들의 월북 후 작품들은 그것을 산출한 특수한 시대적 상황의 고려 위에서 분별 있게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당위적 인식이, 2006년 한국문화예술위원회의 문학소위원회에서 정식으로 논의되었다. 그 결과, 한국의 문화예술의 바탕을 공고히 하기 위한 공적 작업의 일환으로, 문학사의 변두리에 방치되어 있다시피 한 한국문학의 유산들을 체계적으로 정리, 보존하기로 결정되었다. 그리고 작업의 과정에서 새로운 의미나 새로운 자료가 재발견될 가능성도 예측되었다. 그러나 방대한 문학적 유산을 정리하고 보존하는 것은 시간과 경비와 품이 많이 드는 어려운 일이다. 최초로 이 선집을 구상하고 기획하고 실천에 옮겼던 한국문화예술위원회의 위원들과 담당자들, 그리고 문학적 안목과 학문적 성실성을 갖고 참여해준 연구자들, 또 문학출판의 권위와 경륜을 바탕으로 출판을 맡아준 현대문학사가 있었기에 이 어려운 일이 가능하게 되었다. 이런 사업을 해낼 수 있을 만큼 우리의 문화적 역량이 성장했다는 뿌듯함도 느낀다. 은 한국현대문학의 내일을 위해서 한국현대문학의 어제를 잘 보관해둘 수 있는 공간으로서 마련된 것이다. 문인이나 문학연구자들뿐만 아니라 더 많은 사람들이 이 공간에서 시대를 달리하며 새로운 의미와 가치를 발견하기를 기대해본다. 2012년 4월 출판위원 김인환, 이숭원, 강진호, 김동식
  • 出典
  • サービス利用規約
  • プライバシーポリシー
  • 会社案内
  • © 2024 by WATCHA,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