出版社による書籍紹介
出版社による書籍紹介
누락된 말, 배제된 공간, 소외된 존재에 대한 깊이 있는 성찰 문학만이 이야기할 수 있는, ‘지금 여기서 가능한’ 최선의 대답을 찾다 2003년 『작가세계』를 통해 비평활동을 시작한 이래 진지한 사유와 탄탄한 문장으로 꾸준히 의미 있는 평론을 써온 문학평론가 소영현의 새로운 평론집이 문학동네에서 출간되었다. 본격적인 문학평론집으로서는 두번째인 이 책에서, 소영현은 하위자라 부를 수 있는 사람들의 문제에 대해 깊이 천착한다. 문학은 승리자의 편이 아니며, 늘 소외되고 배제된 자들의 편이었다. 그가 평론을 쓰며 염두에 두었던 ‘문학이란 무엇인가’라는 질문하에서 할 수 있는 이야기 역시 마찬가지다. 우리 시대의 삶은 야만화하는 동시에 위계화하고 있다. 이런 시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은 당면한 현실 앞에서 ‘동물로 살거나’ ‘이끼로 살거나’ ‘차라리 고독사’를 당하는 수밖에 없다. 소영현은 동시대 소설들 속의 화자가 어떤 모습을 하고 있는지, 어떤 목소리로 말하는지에 관심을 가지고 귀를 기울인다. 그들에게 진정한 삶의 시간은 멈춰 있다. 소영현은 이 뼈아픈 비평의 기록들이 우리 사회에서 잊혀서는 안 될 기억이라고 믿는다. 하위자들의 시간은 어떻게 도래하는가. 문학의 자리에서, 문학을 벗어난 자리에서 우리 모두에게 절박한 질문이라 할 만하다. 1부는 ‘소설, 공동체, 휴먼’이라는 제목 아래 한국소설에 나타난 종말론적 상상력과 연대 없는 공동체들, 외계인이나 동물, 프롤레타리아 로봇이나 쓰레기-인간으로 나타날 수밖에 없는 소설 속 화자들의 이야기를 집중적으로 담았다. 각 작품들에 대한 평이라기보다는 2010년대 한국사회에 대한 비평적 재구축에 가까운 묵직한 글들이다. 2부는 ‘몫 없는 자들의 전언’이라는 제목 아래 본격적으로 하위자들을 다룬다. 특히 서발턴 개념을 들어 풀어내고 있는 여성-몸에 대한 사유는 현재 한국문학 평단에서 가장 시의적인 연구라고 할 만하다. 늘 하위자일 수밖에 없었던 여성 주체, 쫓겨나고 팔려나가고 소외받는 약자들에 대한 이야기는 ‘여성-약자-하류계층’으로 이어지며 세계에서 배제당한 비루한 존재들에게 희망이 있는가를 조심스레 묻는다. 3부는 ‘공동체의 유령들’이라는 제목 아래 우리 시대의 공동체를 구성하고 있는 사람들의 ‘부재-사라짐’을 다뤘다. 가부장의 부재를 중심으로 풀어낸 글들도 있지만 고통받는 여성들의 삶은 이곳에서도 역시 드러난다. 김숨의 『철』, 서하진의 『요트』, 구효서의 『별명의 달인』 등 단행본을 중심으로 써내려간 글들을 주로 모았다. 4부는 ‘공공감정과 공통감각을 찾아서’라는 제목 아래 비교적 짧은 비평들을 모았다. 주로 『문학동네』 『창작과비평』 『문학과사회』 등 문학잡지나 신문에 실렸던 글들이다. 다양한 주제와 소설 들을 통해 우리사회에 꼭 필요한 문학적 논의를 담았다. 전망이 보이지 않는 시대. 처음으로 이전보다 풍요롭지 못한 삶을 살아야 할 세대. 말을 잃은, 살 곳을 잃은 사람들이 도처에 있다. 늦된 문학의 목소리는 우리에게 지금, 무엇을 하고 있느냐고 간절히 묻는다. 우리-하위자들의 멎어 있는 시곗바늘을 힘차게 돌릴 수 있는 힘은, 어쩌면 이 물음으로부터 생겨날지도 모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