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것은 목탁 구멍 속의 작은 어둠이었습니다

이만희 · 戯曲
118p
購入可能なサービス
評価分布グラフ
平均3.4(23人)
評価する
3.4
平均評価
(23人)
<지만지한국희곡선집>은 개화기 이후부터 현대까지 문학사와 공연사에 길이 남을 작품을 선정했다. 이 작품은 도법 스님의 세속적 번뇌와 깨달음 과정을 극화한 불교극이다.
評価分布グラフ
平均3.4(23人)

著者/訳者

レビュー

3

目次

나오는 사람들···················3 1장·······················5 2장·······················16 3장·······················23 4장·······················35 5장·······················42 6장·······················51 7장·······················54 8장·······················69 9장·······················78 10장······················84 <그것은 목탁 구멍 속의 작은 어둠이었습니다>는·105 이만희는····················107

出版社による書籍紹介

**<지만지한국희곡선집>은 개화기 이후부터 현대까지 문학사와 공연사에 길이 남을 작품을 선정했습니다. 희곡 연구와 창작을 돕고 공연에 활기를 불어넣기를 기대합니다. **도법 스님의 세속적 번뇌와 깨달음 과정을 극화한 불교극이다. 전직 미대 교수이자 조각가였던 도법은 법을 구하기 위한 수행에만 전념해 오던 중 3년 시한으로 봉국사 불상 제작을 의뢰받는다. 도법은 마지막 힘을 다해 불상을 만들겠다고 다짐하지만 불상을 제작하는 일은 쉽게 진척되지 않는다. 그의 내면에 존재하는 과거에 대한 집착과 번뇌 때문이다. 사건은 어느 날 도법 앞에 망령이 등장하면서 급변하기 시작한다. 도법의 자의식인 망령은 그의 내면에 숨겨져 있었던 과거의 고통스러운 기억과 내적 갈등을 끄집어낸다. 결국 그는 고통을 이기지 못하고 조각칼로 자기 두 눈을 찌르고 만다. 이는 도법이 미추는 눈으로 보는 데 있는 것이 아니라 모두 마음에 달렸다는 일체유심조(一體唯心造)의 진리를 깨우치게 되었음을 의미한다. 작가는 도법의 깨달음을 통해 인간은 하나의 완성체이며 결국 부처는 멀리 있는 것이 아니라 세속과 법열 사이에서 실존적 번뇌를 통해 각성하는 인간의 마음속에 존재하는 것임을 보여 준다. 이 작품은 ‘일체유심조(一體唯心造)’라는 철학적 명제를 긴밀한 구성으로 구체화해 해명하고 있다. 무게감 있고 철학적인 주제를 지루하지 않게 표현했다. 인간 실존에 대한 진지한 탐구, 놀이로서의 연극적 재미를 획득한 이 작품은 삼성도의문화저작상(1989), 서울연극제 희곡상(1990), 백상예술대상 희곡상(1991)을 수상했다.
  • 出典
  • サービス利用規約
  • プライバシーポリシー
  • 会社案内
  • © 2024 by WATCHA,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