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트휴먼 시대의 휴먼

한국포스트휴먼학회
332p
購入可能なサービス
content
評価分布グラフ
平均3.1(7人)
0.5
2.5
3
3.5
5
評価する
3.1
平均評価
(7人)

포스트휴먼이란 현재 인류의 생물학적 능력을 뛰어넘는 능력을 갖추어 현재 기준으로는 인간으로 분류될 수 없는 인간 이후의 존재를 뜻한다. 기술을 통해서 인간의 한계를 뛰어넘는 미래 인간상인 것이다. 영화 <어벤져스>에 나오는 주인공들이 바로 포스트휴먼이다. 인간의 한계를 뛰어넘기 위해서 도구를 활용하는 아이언맨형이 있는가 하면, 인간 자체를 개조하는 캡틴아메리카형도 있고, 원시적으로 인간이 아니라 고도의 인공지능인 울트론형도 존재하는 것이다. 포스트휴먼의 가능성으로부터 파생되는 인간 개념과 본성에 대한 물음에서 시작해 “나의 로봇강아지가 사람을 다치게 했다면 누구 책임일까?”, “자율주행자동차는 세상을 어떻게 바꿀 것인가?”, “정신을 컴퓨터에 업로드하여 죽음을 극복하게 될까?”와 같이 포스트휴먼 시대에 제기될 수 있는 실질적인 문제들을 짚어보고 우리는 어떻게 대비할 것인지 그 대안을 제시한다.

엘지이닷컴 단독 이벤트

스탠바이미 세트 구매 혜택

LG전자 · AD

評価分布グラフ
平均3.1(7人)
0.5
2.5
3
3.5
5

엘지이닷컴 단독 이벤트

스탠바이미 세트 구매 혜택

LG전자 · AD

著者/訳者

目次

《포스트휴먼사이언스 총서》 간행에 부쳐 5 서문 포스트휴먼 사회를 그리다 13 우리는 어떤 미래를 살아가게 될까 14 포스트휴먼 사회의 제도와 정책 16 인문학자, 법학자, 공학자의 콜라보:《포스트휴먼사이언스 총서》 18 이 책의 구성 20 1부 포스트휴먼의 이해 1장 포스트휴먼의 개념적, 규범학적 의의 - 김건우 29 1. 포스트휴먼으로의 초대 29 2. 포스트휴먼으로 가는 길 36 3. 포스트휴먼 시대의 규범학 43 4. 포스트휴먼 시대의 과제 64 2부 인간 대 포스트휴먼 2장 포스트휴먼 사회와 휴머니즘 문제 - 백종현 69 1. 전통적 인간 개념 71 2. ‘현대’ 문명과 ‘인간’ 개념의 혼란 86 3. 포스트휴먼 사회의 문제들 94 3장 인간향상 기술을 통한 포스트휴먼 되기: 인간 본성은 여전히 쓸모 있는 개념인가? - 천현득 99 1. 향상 기술과 인간 본성 100 2. 인간 본성이란 무엇인가? 104 3. 인간 본성에 다윈주의적 도전 108 4. 인간 본성에 관한 대안적 관점들 111 5. 규범적 논의에서 인간 본성의 역할 120 6. 요약 및 결론 127 4장 슈퍼휴먼이 된 장애인: <아바타>, 트랜스휴머니즘, 교정의 명령 - 하대청 129 1. 슈퍼휴먼으로 거듭난 장애인 130 2. 장애와 정상의 불안한 경계 135 3. 트랜스-휴머니즘이 아닌 트랜스휴먼-이즘 140 4. 교정의 명령에 사로잡힌 포스트휴먼 144 5. 의존성을 긍정할 수 있는 포스트휴먼상을 찾아서 149 3부 포스트휴먼과 법 5장 포스트휴먼법의 체계와 이슈 - 김경환·최주선 155 1. 포스트휴먼법이란 무엇인가? 155 2. 포스트휴먼의 개념 160 3. 포스트휴먼법의 법적 이슈 163 4. 포스트휴먼의 법적 지위 165 5. 포스트휴먼의 법적 실체 175 6. 포스트휴먼의 법적 책임 179 7. 포스트휴먼법의 목적 182 8. 포스트휴먼법의 국제화 187 9. 결어 188 6장 자율주행자동차 시대 생명 · 신체의 안전보호를 위한 공법의 대응 - 윤성현 191 1. 자율주행자동차 도입과 법제도 변화의 필요성 191 2. 자율주행자동차 도입 이후: 안전과 위험 사이에서 194 3. 자율주행자동차 시대 생명·신체의 안전을 위한 헌법의 대응 202 4. 자율주행자동차 시대 생명·신체의 안전을 위한 행정규제법의 대응 216 5. 더 안전한 자율주행자동차 시대를 위하여 229 4부 포스트휴먼과 미래 사회 7장 인공지능 시대가 가져올 변화와 과제 - 구본권 235 1. 인공지능 시대 235 2. 변화의 배경 243 3. 알고리즘 사회로의 전환 247 4. 인간과 도구의 새로운 관계 255 5. 비인격적 행위 주체의 등장 258 8장 포스트휴먼 시대의 기술철학 - 손화철 265 1. 기술사회의 미래를 위한 실천적 대안: 기술철학 266 2. 알파고 쇼크가 남긴 것 268 3. 포스트휴머니즘의 등장 277 4. 우리는 무엇을 준비해야 하는가: 기술철학의 충고 279 주석 293 참고문헌 309 찾아보기 323 저자약력 327

出版社による書籍紹介

많은 SF 영화의 배경처럼 로봇과 인공지능이 세상을 지배할 것이라는 섬뜩한 예측이 나오고 있다. 전문가들의 경고에도 불구하고 인공지능의 시대는 결국 오고야 말 것이다. 우리는 무엇을 어떻게 대비해야 할까? 로봇과 인공지능이 인간을 위협할 정도가 된다면 인간도 더 발전해야 하는 것은 아닐까? 포스트휴먼(posthuman)이란 현재 인류의 생물학적 능력을 뛰어넘는 능력을 갖추어 현재 기준으로는 인간으로 분류될 수 없는 인간 이후의 존재를 뜻한다. 기술을 통해서 인간의 한계를 뛰어넘는 미래 인간상인 것이다. 영화 <어벤져스>에 나오는 주인공들이 바로 포스트휴먼이다. 인간의 한계를 뛰어넘기 위해서 도구를 활용하는 아이언맨형이 있는가 하면, 인간 자체를 개조하는 캡틴아메리카형도 있고, 원시적으로 인간이 아니라 고도의 인공지능인 울트론형도 존재하는 것이다. 그런데 이들을 인간이라고 할 수 있을까? 비록 실체는 없지만 인간 고유의 영역이라 여겨지는 ‘사고’와 ‘판단’을 하는 울트론을 인간이라고 할 수 있을까? 인간과 비인간을 나누는 기준은 무엇인가? 이들이 미래의 인간이라면 인간 개념 자체를 바꾸어야 하는 것은 아닐까? 이 책에서는 포스트휴먼의 가능성으로부터 파생되는 인간 개념과 본성에 대한 이런 물음에서 시작해 “나의 로봇강아지가 사람을 다치게 했다면 누구 책임일까?”, “자율주행자동차는 세상을 어떻게 바꿀 것인가?”, “정신을 컴퓨터에 업로드하여 죽음을 극복하게 될까?”와 같이 포스트휴먼 시대에 제기될 수 있는 실질적인 문제들을 짚어보고 우리는 어떻게 대비할 것인지 그 대안을 제시한다.

この作品が含まれたまとめ

3
  • 出典
  • サービス利用規約
  • プライバシーポリシー
  • 会社案内
  • © 2024 by WATCHA,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