目次

프롤로그 08 PART. 1 프레임 프레임이란 무엇인가? 1_ 이미지의 모태이자 기호적 절단 14 2_ 분리이자 통합, 한정이자 위반의 경계 18 회화에서의 프레임 1_ 이미지의 경계에서 조형적 또는 물리적 틀로 23 2_ 파레르곤으로서의 프레임 30 3_ 불확정성의 기호로서의 프레임 40 사진과 영화에서의 프레임 1_ 사진의 프레임: 순간의 한정과 공간의 해체 47 2_ 영화의 프레임: 가변적이고 유동적인 주형 54 PART. 2 이차프레임 혹은 프레임 안의 프레임 조형적 형식: 유혹과 강조 1_ 깊이감과 실재감의 강화: 회화의 경우 70 2_ 시선의 유혹: 시각적 강조에서 서사적 강조로 76 3_ 행동의 틀 그리고 조형적 구성요소: 영화의 경우 86 이중적 공간 혹은 비가시 세계의 문턱 1_ 문턱 혹은 매개공간으로서의 이차프레임 92 2_ 의미의 이중화 혹은 디제시스의 공간적 확장 : 반에이크의 <아르놀피니 부부의 초상화> 107 3_ 비가시 세계의 가시화 혹은 디제시스의 심층적 확장 : 다메시나의 <서재의 성히에로니무스> 115 시각적 미장아빔과 서사적 미장아빔의 조우 1_ 서사의 주제 표상 130 2_ 서사구조 또는 형식 암시 136 3_ 시각적 갈등 혹은 서사적 확장 기호로서의 이차프레임 141 자아의 공간 혹은 자기반영의 기호 1_ 자아의 공간으로서의 이차프레임 149 2_ 회화의 자기반영적 공간 165 3_ 영화의 자기반영적 기호 180 PART. 3 탈프레임화 탈중심화에서 탈프레임화로 1_ 회화에서의 중심화와 탈중심화 196 2_ 영화: 탈중심화에서 탈프레임화로 205 프레임과 외화면 혹은 프레임과 바깥 1_ 영화 외화면의 유형과 특징 212 2_ 상상적 공간으로서의 외화면 225 3_ 시간의 영역으로서의 외화면 혹은 바깥 231 회화와 영화에서의 탈프레임화 1_ 회화에서의 탈프레임화 235 2_ 영화에서의 탈프레임화 249 참고문헌 265 찾아보기 2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