出版社による書籍紹介

出版社による書籍紹介

당대 한국 문학의 가장 현대적이면서도 첨예한 작가들과 함께하는 <현대문학 핀 시리즈> 소설선 마흔두 번째 책 출간! 이 책에 대하여 당대 한국 문학의 가장 현대적이면서도 첨예한 작가들을 선정, 신작 시와 소설을 수록하는 월간 『현대문학』의 특집 지면 <현대문학 핀 시리즈>의 마흔두 번째 소설선, 이주란의 『어느 날의 나』가 출간되었다. 주인공 ‘유리’가 3개월에 걸쳐 써내려가는 기록의 형식을 취하고 있는 이 소설은 적당한 거리를 지키며 서로를 아끼고 살아가는 이들의 연대하는 삶을 덤덤하게 그린 소설이다. 2021년 『현대문학』 11월호에 발표한 소설을 퇴고해 내놓은 작품이다. “하나의 이야기로 묘하게 궁굴려지는 한결같은 작품세계” 2012년에 등단한, 11년차 소설가 이주란은 그동안 두 권의 소설집과 한 권의 장편소설을 상자했다. <김준성문학상>과 <젊은작가상>을 수상하는 등, 꾸준히 작품활동을 하며 그 성과를 인정받은 이주란은 삶의 구석구석에서 나오는 이야기들을 뻔뻔스러운 농담으로 승화시킬 줄 아는 능청스러움이 믿음직스럽다는 극찬을 받은 첫 소설집 『모두 다른 아버지』, “상실과 외로움 속에서도 회의에 빠지지 않고 어떤 희망을 발견해내는 인물들을 통해 위로받는” 두 번째 소설집 『한 사람을 위한 마음』, “시 없이 시로 가득하고, 청승 없이 슬픔의 끝점을 보여준다”(박연준)는 평을 받은 첫 장편소설 『수면 아래』에 이르기까지 한결같은 작품세계로 독자들에게 강한 인상을 심어주는 작가가 되었다. 그의 소설들은 그렇게 자극적이지 않고, 결정적인 사건도 없으며, 심지어 연계된 줄기조차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주란 소설이 보여주는 묘한 끌림의 배후에는 각각의 이야기들 안에 내재된 풍성한 서사와 그것들을 그러모으면 신기하게 하나의 이야기로 만나 이루는 조화가 자리하고 있다. 이번 소설 『어느 날의 나』에서도 그런 이주란 소설의 특징을 만나볼 수 있다. “오늘의 나는, 그 어느 날의 나보다 괜찮다 유일한 혈육인 할머니가 돌아가시고 빚더미에 앉은 유리에게 선배 언니는 3등에 당첨된 복권을 내밀며 방을 얻으라고 했다. 출구 없어 보이던 유리의 삶은 그렇게 다시 시작되고, 지금은 그 선배 언니와 함께 살며 가족의 삶을 영위하고 있다. 유리와 언니는 동거하지만 서로의 삶에 깊이 개입하지는 않는다. 영화관에 같이 가기는 하지만 서로 다른 영화를 보고, 같이 산책에 나서지만 늘 적당한 거리를 유지한다. 그런 그들의 삶에 유리가 일하는 카페의 단골인 싱글 대디 재한 씨가 등장한다. 재한 씨는 금세 그들 사이에 스며들어 함께 식사를 하고 캠핑도 같이 가지만 아버지의 건강이 악화되어 고향으로 내려가는 것으로 재한 씨는 퇴장한다. 생일도 아닌 유리에게 생일 선물을 마지막으로 건네며. “밥을 잘 먹고 잠을 잘 자고, 그게 사는 것이 아닌가, 그런 생각을 했다. 희망이라는 단어를 자주 쓰거나 대단한 미래를 꿈꾸며 살지는 않지만 내가 바꿀 수 없는 것들은 어차피 바꿀 수 없고 오늘 나는 그 어느 날의 나보다 괜찮으니까. 가진 것을 생각하면.”(113-114쪽) 삶을 계속 살게 하는 힘은 완벽한 이해나 뜨거운 사랑이 아닌, 어떤 존재를 염려하는 애틋한 마음에서 비롯된다는 메시지를 전하는 이 작품이다. “불행은 동행을 좋아한다. 유리의 곁에도 자신의 불행을 고백하며 동행하는 사람들이 있다. 무엇보다 이 이야기가 다른 누구도 아닌 유리 자신의 고백이라는 것, 괜찮을 게 하나도 없지만 그럼에도 “나는 지금 어느 정도 괜찮”다는 이 무심한 고백이야말로 이주란이 그려내는 사소하지만 지속적인 연대라는 것. 아무도 유리에게 괜찮다고 말해주는 사람은 없지만, 어쩌면 누군가에게 무심하게 괜찮다고 말해주는 사람이 유리가 될 수 있지 않을까. 아직은 아니지만 그런 기적을 기대해도 좋지 않을까.” ―임현(소설가) 월간 『현대문학』이 펴내는 월간 <핀 소설>, 그 마흔두 번째 책! <현대문학 핀 시리즈>는 당대 한국 문학의 가장 현대적이면서도 첨예한 작가들을 선정, 월간 『현대문학』 지면에 선보이고 이것을 다시 단행본 발간으로 이어가는 프로젝트이다. 여기에 선보이는 단행본들은 개별 작품임과 동시에 여섯 명이 ‘한 시리즈’로 큐레이션된 것이다. 현대문학은 이 시리즈의 진지함이 ‘핀’이라는 단어의 섬세한 경쾌함과 아이러니하게 결합되기를 바란다. <현대문학 핀 시리즈> 소설선은 월간 『현대문학』이 매월 내놓는 월간 핀이기도 하다. 매월 25일 발간할 예정인 후속 편들은 내로라하는 국내 최고 작가들의 신작을 정해진 날짜에 만나볼 수 있게 기획되어 있다. 한국 출판 사상 최초로 도입되는 일종의 ‘샐러리북’ 개념이다. 001부터 006은 1971년에서 1973년 사이 출생하고, 1990년 후반부터 2000년 사이 등단한, 현재 한국 소설의 든든한 허리를 담당하고 있는 작가들의 작품으로 꾸렸고, 007부터 012는 1970년대 후반에서 1980년대 초반 출생하고, 2000년대 중후반 등단한, 현재 한국 소설에서 가장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는 작가들의 작품으로 만들어졌다. 013부터 018은 지금의 한국 문학의 발전을 이끈 중추적인 역할을 한 1950년대 중후반부터 1960년대 사이 출생 작가, 1980년대에서 1990년대 중반까지 등단한 작가들의 작품으로 꾸려졌으며, 019부터 024까지는 새로운 한국 문학의 역사를 써내려가고 있는 패기 있는 젊은 작가들의 작품으로 진행되었다. 세대별로 진행되던 핀 소설은 025~030에 들어서서는 장르소설이라는 특징 아래 묶여 출간되었고, 031~036은 절정의 문학을 꽃피우고 있는 1970년대 중후반 출생 작가들의 작품으로 꾸려졌다. 현대문학 × 아티스트 이동기 <현대문학 핀 시리즈>는 아티스트의 영혼이 깃든 표지 작업과 함께 하나의 특별한 예술작품으로 재구성된 독창적인 소설선, 즉 예술 선집이 되었다. 각 소설이 그 작품마다의 독특한 향기와 그윽한 예술적 매혹을 갖게 된 것은 바로 소설과 예술, 이 두 세계의 만남이 이루어낸 영혼의 조화로움 때문일 것이다. 이동기 한국 현대 미술에 만화 이미지를 본격적으로 도입했으며, 1993년에 창조한 캐릭터 ‘아토마우스’가 등장하는 일련의 현대 미술 작품들로 알려진 작가이다. 2000년대 세계 미술의 ‘네오 팝neo-pop’적 흐름을 예견한 그의 작품들은 현대 사회의 다양한 요소들을 다루고 있는데, 만화, 광고, 인터넷부터 고전 회화와 추상 미술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시각적, 문화적 요소 들을 통해 실재와 허구, 무거움과 가벼움, 물질과 정신, 동양과 서양 등 이질적 영역 사이의 복잡한 관계를 암시하고 있다. 베를린의 마이클슐츠갤러리, 암스테르담의 윌렘커스 붐갤러리, 서울의 일민미술관 등에서 30여 회의 개인전을 가졌으며, 2011년 베니스비엔날레 부대전시 ‘퓨처 패스Future Pass’, 2005년 후쿠오카아시아미술관의 ‘애니메이트Animate’등의 전시에 참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