目次
目次
part 1 chapter 1 시스템의 천재성 스튜디오 시스템 장르 영화와 장르 감독 작가 정책 │장르와 내러티브 관습 │사회적 힘으로서의 장르 chapter 2 영화 장르와 장르 영화 시스템으로서의 장르 언어와의 유사성 장르 영화의 문법을 향하여 도상: 이미지와 의미 │캐릭터와 배경: 갈등 빚는 공동체 │플롯 구성: 갈등에서부터 해결까지 │내러티브 전략과 사회적 기능: 모순, 해피 엔딩, 현상 유지 │장르의 진화: 커 가는 자의식의 유형 part 2 chapter 3 웨스턴 장르로서의 웨스턴 초기 영화 │서부의 풍경 │존 포드의 〈역마차〉 │서부에 대한 변화하는 시각│〈역마차〉와 〈최후의 총잡이〉 │〈셰인〉: 후계자│영웅과 적대 요소의 통합 │변화하는 영웅: ‘심리적’ 웨스턴과 ‘전문가’ 웨스턴 │이상화된 과거: 웨스턴 존 포드와 웨스턴의 진화 포드와 웨스턴의 세련화 │웨스턴 장르의 선구 〈역마차〉 │〈황야의 결투〉: 유토피아 웨스턴 │2차 세계 대전 이후의 포드의 웨스턴 │포드의 걸작: 〈수색자〉│서부 사나이에 대한 포드의 고별 chapter 4 갱스터 영화 고전 갱스터 영화 갱스터-영웅과 도시 환경 │갱스터의 원형: 〈리틀 시저〉와 〈인민의 적〉 │완벽한 갱스터 전설: 하워드 혹스의 〈스카페이스〉 │갱스터와 관객 제작 규정과 고전적 갱스터의 종말 영화 산업 검열의 패턴 │갱스터 배역의 변경 │1930년대 후반의 장르 변주 │1940년대 초기의 산적 영화 │〈키 라르고〉와 〈화이트 히트〉: 갱스터의 묘비명 chapter 5 하드보일드 탐정 영화 필름 느와르, 〈시민 케인〉, 미국 표현주의의 발흥 필름 느와르의 등장 │필름 느와르와 아메리칸 드림 │〈시민 케인〉의 느와르 테크닉 │탐정 영화로서의 〈시민 케인〉 │표현주의의 탄생과 할리우드의 죽음 하드보일드 탐정 장르 하드보일드의 원형: 휴스턴의 〈말타의 매〉│느와르의 영향: 〈살인, 내 사랑〉과 〈이중 배상〉 │전후의 장르 발전 │경찰-수사관 변주 │뉴 할리우드 시대의 재생 chapter 6 스크루볼 코미디 스크루볼 코미디의 원형: 〈어느 날 밤에 생긴 일〉 │스크루볼 장르의 딜레마: 계급적 차이의 극복 │갓프리, 디즈 씨, 그리고 그 외의 소박한 귀족들 │대립과 화해: 내러티브 논리와 내러티브 균열 │결혼│재혼으로의 변주 │스크루볼 코미디의 어두운 그늘: 〈여비서〉와 〈존 도우를 만나요〉 │장르에 대한 성찰: 프레스톤 스터지스의영화 │전후의 스크루볼: 쇠퇴의 길 프랭크 카프라와 로버트 리스킨: ‘카프리스킨 터치’ 협력자들 │1934∼1941년의 영화 │디즈│스미스│도우 3부작 chapter 7 뮤지컬 뮤지컬의 성숙: 〈42번가〉와 〈1933년의 황금광들〉 │프레드 아스테어와 통합 뮤지컬의 부상 │내적 논리와 환상적 분위기│구애 의식으로서의 뮤지컬 MGM의 프리드 사단: 작가로서의 스튜디오 통합 로맨스와 유토피아로의 약속 │뮤직맨의 진화: 프레드 아스테어와 진 켈리 │1950년대 초반의 켈리의 페르소나 │〈사랑은 비를 타고〉와 〈밴드 웨건〉: 직업적인 것에서 자연스러움으로 │캐릭터, 연기자, 그리고 정체성의 위기 │통합의 의식 / 엔터테인먼트의 의식 chapter 8 가족 멜로드라마 스타일로서의 멜로드라마, 장르로서의 멜로드라마│1950년대 멜로드라마: 장르의 성숙 │내러티브 초점으로서의 가족 │〈언제나 마음은 청춘〉과 〈피크닉〉: 여성 세계의 남성 침입자-구원자 │미망인-연인 변주 │명문가 변주 │니콜라스 레이, 빈센트 미넬리, 그리고 남성용 최루 영화 │스타일화, 사회 현실, 그리고 비평적 가치 더글러스 서크와 가족 멜로드라마: 할리우드 바로크 스타일리스트 서크 │〈하늘이 허락한 모든 것〉 │〈바람에 사라지다〉 │〈슬픔은 그대 가슴에〉 epilogue 할리우드 영화 만들기와 미국 신화 만들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