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호프 희곡 전집

アントン・チェーホフ · 戯曲/小説
776p
購入可能なサービス
評価分布グラフ
平均4.0(475人)
評価する
4.0
平均評価
(475人)
2010년, 안톤 체호프 탄생 150주년을 기념하여 출간된 체호프 희곡 전집. '희곡은 어렵다'는 기존의 편견을 깨고 더 나아가 일반 독자들에게 희곡의 참 재미를 알려주고자 기획된 책이다. 번역을 맡은 경북대학교 노어노문학과 김규종 교수는 체호프 희곡에 등장하는 인물들의 삶과 죽음, 고통과 기쁨에 스며들어 있는 인간 보편적인 것들을 포착하여 사람 냄새 물씬 풍기는 번역으로 완성했다. 체호프의 희곡에 등장하는 인물들은 러시아의 소시민들로 어디 하나 특별할 것 없는 평범한 사람들이다. 이들이 엮어 내는 이야기 역시 평범하기 이를 데 없는 일상의 모습이다. 그러나 우리의 삶이 모든 희극과 비극의 기원인 것처럼, 체호프는 평범한 소시민의 일상을 객관적으로 관찰하여 그 속에서의 특별함을 찾아냈다.
評価分布グラフ
平均4.0(475人)

著者/訳者

レビュー

10+

目次

큰길에서 고니의 노래 담배의 해독에 관하여 곰 청혼 싫든 좋든 비극배우 결혼 피로연 기념식 이바노프 숲의 수호신 갈매기 바냐 외삼촌 세 자매 벚나무 동산

出版社による書籍紹介

러시아가 낳은 세계적인 작가 안톤 체호프 현대 사실주의 연극은 체호프에서 시작됐다! 평범한 일상 속에서 벌어지는 사소한 해프닝, 소소한 인물 군상이 빚어내는 이야기를 통해 삶의 아이러니를 객관적으로 포착해낸 사실주의 문학의 진수! 체호프는 세계 최고의 이야기꾼이다. _레오 톨스토이 버지니아 울프, 헤밍웨이, 막심 고리키, 레이먼드 카버 등 수많은 현대 작가들에게 영향을 준 안톤 체호프 탄생 150주년 기념 전집! 작품 소개 “<바냐 외삼촌>을 보았습니다. 공연을 보고 여편네처럼 울었답니다. 신경이 예민한 인간도 아닌데 말입니다. 당신의 재능 앞에 황홀해져서 인간에 대한 두려움 때문에, 우리의 평범하고 보잘것없는 삶 때문에 전 울었습니다.“ -막심 고리키 2010년은 러시아의 극작가이자 소설가인 안톤 파블로비치 체호프(1860~1904)가 태어난 지 150주년 되는 해다. 오 헨리, 모파상과 더불어 세계 3대 단편소설 작가로 손꼽히는 체호프는 400편이 넘는 중 · 단편소설을 탈고했다. 뿐만 아니라 변방에 머물던 러시아 희곡을 세계적인 반열에 올린 장본인이기도 하다. 특히 말년에 발표한 희곡 작품들 이른바 ‘4대 장막극’은 지금까지 세계적으로 널리 공연되고 있다. 예컨대 유럽의 공연 강국 독일에서 가장 많이 상연되는 대표적인 세 사람을 꼽으라면 영국 엘리자베스 시대의 시인이자 극작가인 윌리엄 셰익스피어(1564~1616), 독일의 극작가이자 연출가인 베르톨트 브레히트(1898~1956), 그리고 러시아의 안톤 체호프를 들 수 있다. 그러나 셰익스피어가 37편의 장막극을, 브레히트가 35편의 장막극과 7편의 단막극을 남긴데 반해, 체호프는 7편의 장막극을 남겼을 뿐이다. 그럼에도 체호프의 희곡들은 셰익스피어와 브레히트에 못지않은 공연 빈도를 자랑하면서 100년 이상 관객들의 꾸준한 사랑을 받고 있다. 사람 냄새 풍기는 번역으로 읽는 맛까지 살려낸 기념 전집 국내에도 많은 체호프 단편선집이 소개되어 독자들의 사랑을 받고 있으나, 정작 극작가로서의 면모를 볼 수 있는 작품은 드물었다. 잘 알려진 4대 장막극 위주로 소개되는 실정이다 보니 체호프 희곡의 참맛을 느끼기에는 여러모로 부족한 점이 많았다. 몇 년 전, 체호프 희곡 전집이 번역되어 출간된 적이 있었지만, 희곡이라는 장르의 특성상 일반 독자들에게 널리 알려지지는 못했다. 시공사 《체호프 희곡 전집》은 위대한 극작가 안톤 체호프의 탄생 150주년을 기념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희곡은 어렵다’는 기존의 편견을 깨고 더 나아가 일반 독자들에게 희곡의 참 재미를 알려주고자 기획됐다. 안톤 체호프의 희곡을 제대로, 재미있게 전달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바른’ 번역이 절실했다. 이번 희곡 전집은 경북대학교 노어노문학과 김규종 교수의 번역으로 체호프 희곡의 특징을 그대로 살리면서, 읽는 재미까지 더했다. 김규종 교수는 체호프 희곡에 등장하는 인물들의 삶과 죽음, 고통과 기쁨에 스며들어 있는 인간 보편적인 것들을 포착하여 사람 냄새 물씬 풍기는 번역으로 완성했다. 그동안 체호프 연구자로, 또한 체호프의 열렬한 팬으로 다양한 저작활동을 펼쳐온 김규종 교수의 참신한 번역을 통해 체호프와 더욱 친숙해지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삶의 아이러니를 객관적으로 그려낸 작가, 안톤 체호프 문학성과 독자를 울리는 감동을 겸비한 글은 작가의 남다른 경험이 선행되지 않고는 써지지 않는다. 안톤 체호프의 글 역시 작가 자신의 다난했던 경험이 선행되었기에 탄생할 수 있었다. 1860년 러시아 남부의 소도시 타간로크에서 태어난 체호프는 교육열이 남달랐던 아버지의 영향으로 의과대학에까지 진학했다. 그러나 어려운 집안 여건 때문에 그의 학업은 고학의 연속이었다. 대학에 입학해서부터는 자신의 학비뿐만 아니라 가족의 생계를 위해 글쓰기에 돌입했다. 이것은 자신의 문재(文才)를 주체할 수 없었던 체호프가 선택하기에 가장 최적의 돈벌이였던 것이다. 체호프는 의과대학을 졸업하고 의사로 개업한 후에도 글쓰기를 계속했다. 그러는 동안 차츰 신진작가로서의 명성을 얻었다. 톨스토이의 영향을 강하게 받았던 체호프는 1890년 치밀한 준비 끝에 7개월간 시베리아와 사할린을 여행했다. 이때 본 유배된 수인(囚人)들의 비참한 생활상은 마음에 강렬한 인상을 남겼고 그 결과, 일상생활의 무질서를 그대로 무대에 옮긴 새로운 형태의 회화극을 확립하게 됐다. 체호프의 희곡에 등장하는 인물들은 러시아의 소시민들로 어디 하나 특별할 것 없는 평범한 사람들이다. 이들이 엮어 내는 이야기 역시 평범하기 이를 데 없는 일상의 모습이다. 그러나 우리의 삶이 모든 희극과 비극의 기원인 것처럼, 체호프는 평범한 소시민의 일상을 객관적으로 관찰하여 그 속에서의 특별함을 찾아냈다. 체호프 희곡에는 특별한 ‘사건’은 벌어지지 않는다. 그러나 우리의 삶이 가진 아이러니를 통해 갈등을 엮어내고 이야기를 자아낸다. 이것이 체호프 희곡만의 특징이자 힘이다. 안톤 체호프 탄생 150주년을 기념하여 출간된 시공사 《체호프 희곡 전집》을 통해 독자는 100여 년의 시간 속에서도 퇴색하지 않은 대문호의 숨결과 대면하게 될 것이다. 수록 작품 큰길에서 1885년에 발표된 단막극. 사랑하는 여인의 배신으로 모든 것을 잃어버린 사내 보르쏘프의 비극적인 이야기가 천둥과 번개를 동반한 굵은 빗줄기를 배경으로 큰길가의 선술집에서 펼쳐진다. 고니의 노래 1887년에 발표된 단막극. 배우라는 직업을 천직으로 여기며 45년을 살아온 지방 극단의 무명배우가 생의 끝자락에서 절절하게 풀어내는 고단한 인생의 슬픔과 비애가 캄캄한 한밤중의 연극 무대에서 꿈결처럼 이어진다. 담배의 해독에 관하여 1886년에 발표된 단막 모놀로그. 이 작품은 세상의 숱한 공처가들과 영락해버린 남성들을 위한 우울하고 구슬픈 조곡이다. 곰 1888년에 발표된 단막극. 고집불통의 근육질 지주 스미르노프와 활화산처럼 뜨거운 여인 포포바의 불꽃 튀기는 한판 대결. 끝내는 기나긴 키스로 막을 내리는 전형적인 오락 희극이다. 청혼 1889년에 발표된 단막극. 젊은 지주 이반 로모프가 이웃한 지주 스테판 추부코프의 딸 나탈리야 스테파노브나에게 청혼하러 왔다가 벌어지는 사건을 희극적으로 그려낸 작품이다. 싫든 좋든 비극배우 1889년에 발표된 단막극. 날마다 되풀이되는 허접한 삶에 함몰된 19세기 말 러시아 소시민을 희극적으로 그려낸 작품이다. 결혼 피로연 1889년에 발표된 단막극. 시대에 뒤진 어리석은 소시민들의 고립무원과 시대착오 및 사회·윤리적 파산상태를 적나라하게 보여주는 작품이다. 기념식 1892년에 발표된 단막극. 우리보다 못한 사람들의 저급한 욕망과 어리석은 행동에서 대리만족을 느끼면서 감정의 정화를 경험할 수 있는 작품이다. 이바노프 1887년에 발표된 장막극. 주인공 이바노프를 통해 19세기 제정 러시아 인텔리겐차의 비참한 상황과 완전히 무기력한 지식인의 가련한 최후를 보여주는 작품이다. 숲의 수호신 1889년에 발표된 장막극. 화장기 없는 초창기 체호프를 볼 수 있는 희곡이다. 이상과 현실, 소설과 드라마의 요소가 상호 충돌하면서 불협화음을 내는 희곡으로, 훗날 <바냐 외삼촌>의 모태가 되는 작품이다. 갈매기 1896년에 발표된 장막극. 상대방의 등만 바라보고 살아가야 하는 인물들의 엇갈린 사랑 이야기가 애처롭게 펼쳐진다. 삶에 내재한 비의와 본래적인 함의를 숙

この作品が含まれたまとめ

17
  • 出典
  • サービス利用規約
  • プライバシーポリシー
  • 会社案内
  • © 2024 by WATCHA,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