出版社による書籍紹介
장강명 작가 추천
“진짜 문학이 주는 뜨겁고 무서운 치유와 부활의 힘”
이 기록과 고백은 내 영혼을 정화해주었다.
이 투사이자 구원자에게 ‘읽기’가 무기가 되었다는 사실이 특히 무겁게 다가왔다.
예쁜 단어 얼기설기 모은 아편의 대용물을 놓고 공감과 위로를 말하는 시대에,
진짜 문학이 주는 뜨겁고 무서운 치유와 부활의 힘을 확인하게 해줬다.
1. ‘아버지폭력’에 맞선 스물넷 여성의 용기와 희망
― ‘뭘 해야 이 폭력의 문제가 해결될까?’
‘어떻게 해야 이 고통의 근원에 다가설 수 있을까?’
스물셋 되던 해 아빠의 폭력을 못 이겨 가해자를 경찰에 신고할 때까지 피해자가 품고 있던 질문이었습니다. 김가을 씨의 논픽션 『부스러졌지만 파괴되진 않았어』는 이 절박한 물음에서 시작되었지만 종국에는 묵직한 어젠다를 사회에 던집니다. 우리 모두가 알지만 어떻게 분류하고 명명해야 할지 몰랐던 폭력 범죄. 훈육, 엄부(嚴父) 같은 단어 뒤에 숨기도 했던, 물리적으로 끔찍하며 여러 사람의 인생을 밑바닥부터 파괴하는 ‘아버지폭력’입니다.
작가 김가을 씨의 주제의식에 따라, 시간의 흐름으로 쓰인 『부스러졌지만 파괴되진 않았어』는 총 3부로 구성되었습니다. 1부에서는 폭력이 시작된 시점부터 피해를 인식하는 ‘자각기’라고 할 수 있고, 2부에서는 계속 진행되는 폭력의 실상을 관찰하면서 그것을 보고하고 회복을 모색하는 ‘관찰기 및 회복기’입니다. 마지막 3부에서는 쉼터에서 나온 이후의 독립된 주체로서 새로운 삶을 궁구하는 ‘진정기’라고 부를 수 있는 시간입니다.
장강명 작가가 책으로 나오기 전에, 김가을 작가의 글을 읽었습니다. 원고를 보낸 지 3주 뒤 다음의 글을 보내왔습니다. 다소 길게 인용해봅니다.
“영혼이 정화되는 기분으로 읽었다. … 이 책은 먼저 지금 우리에게 필요한 생생한 고발이다. ‘아버지 폭력’이라고 불러야 하는 범죄가 있다는 저자의 주장에 동의한다. 우리가 모두 알지만 어떻게 분류하고 명명해야 할지 몰랐던 폭력 범죄. 훈육, 엄부嚴父 같은 단어 뒤에 숨기도 했던. 물리적으로 끔찍하며 여러 사람의 인생을 밑바닥에서부터 파괴하는.
이 책은 훌륭한 인류학 보고서이기도 하다. 아버지 폭력이 어떻게 대를 이어져 내려오는가. 입시 위주의 교육이 어떻게 그 도화선이자 연료가 되는가. 맞으며 자란 맏이가 어떻게 막내를 때리게 되는가. 저자는 자기 가족 이야기를 쓰되 자기연민에 빠지지 않고 꼼꼼하고 냉철하게 분석해낸다.
이 기록과 고백은 투쟁 서사이며, 성장 서사이며, 영웅 서사인 동시에 구원 서사다. 저자는 희생자와 생존자의 자리에 머물지 않는다. 자신의 현실을 깨닫고 거기에 맞선다. 다른 희생자를 설득하고 돕는다. 김가을 작가는 마침내 적을 쓰러뜨린다. 그리고 놀랍게도 그는 적을 이해하고 구하려 나선다. 그 과정에서 이 투사이자 구원자에게 독서가 무기가 되었다는 사실이 특히 무겁게 다가왔다. 예쁜 단어를 얼기설기 모은 아편의 대용물을 놓고 공감과 위로를 말하는 시대에 진짜 문학이 주는 뜨겁고 무서운 치유와 부활의 힘을 확인하게 해줬다. 그 힘은 사람을 행동하게 만든다. 이 책도 그 힘을 품고 있다.”
2. 왜 이런 집의 첫째 딸일까…부정하고 싶은 정체성, 정면으로 마주하다 ― ‘아버지폭력,’ 그 이후의 내밀하고 치밀한 지적 통찰
『부스러졌지만 파괴되진 않았어』의 김가을 작가는 아빠, 엄마, 여동생과 막내 남동생 이렇게 다섯 식구입니다. 전문대를 졸업한 뒤 직장생활과 자영업을 한 아빠, 일본 섬마을 출신의 엄마, 그리고 여동생 여름이, 남동생 진형이. 김가을 작가는 첫째 딸입니다.
이 식구의 가부장인 아빠의 폭력은 김가을 씨가 대여섯 살 때부터 시작되었습니다. 끔찍한 폭력과 슬픔 가득한 장면이 등장할 것 같지만, 작가는 의외로 차분하게 글을 써 내려 갑니다. 이 차분함 밑에 어떤 말들이 적혔다 지워졌을지, 우리는 다 알지 못합니다. 다만 살아서 끝끝내 어둠 속에 엉킨 경험을 하나씩 풀어내고 있기에 편집자들은 ‘고맙다’는 이야기만을 전할 수밖에 없었습니다.『부스러졌지만 파괴되진 않았어』는 결국 폭력 이후를 상상하지 못하는 우리들에게 새로운 나침반이 될 것 같아서였습니다.
‘아버지 폭력’에서 살아남은 생존자들의 이야기는 거의 없습니다. 왜냐하면 그들이 겪은 가장 위험하고 치명적인 고통이 사회적으로 인정되는 현실 바깥에 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이 고통은 말하기가 ‘금지’됩니다. 대부분 사람들은 ‘가족’이 어떤 사람들에게는 감옥일 수도 있다는 사실을 잘 이해하지 못합니다. 가정 안에는 날카로운 창살이나 전기가 통하는 철조망이 없지만, 보이지 않는 그 벽은 상당히 높고 결코 쉽게 무너지지 않습니다. 『부스러졌지만 파괴되진 않았어』에서 말하듯 아이들은 아버지에게 의존하고, 엄마는 심리적인 종속뿐만 아니라 법적(결혼제도)으로도 경제적으로 매여 있기에 쉽게 탈출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이 드높은 벽을 넘어 ‘말하기’ 시작했다고 모든 것이 해결되지 않음도 『부스러졌지만 파괴되진 않았어』 후반부에서 잘 보여주고 있습니다. 무너진 마음을 다시 돌봐야 하는 지난한 과정, 아무리 치료를 받는다 해도 결코 사라질 수 없는 경험들. 김가을 씨는 『부스러졌지만 파괴되진 않았어』에서 앞으로 가는 것 같다가 갑자기 뒤로 후퇴하는 일상까지 솔직하게 서술하고 있기에, 비슷한 경험을 가진 많은 사람에게 큰 공감을 불러일으킵니다.
사람들은 ‘아버지 폭력’을 유지하기 위해 피해자, 가해자, 방관자, 이렇게 세 가지 역할이 필요하다고 말합니다. 그러나 폭력의 체계 안에서 한 사람이 피해자이며 가해자이고, 결국 방관자 역할까지 할 수밖에 없음을 이 책이 잘 보여줍니다. 이제 우리 사회도 ‘아버지’가 문제라고 말할 때가 됐습니다. 구체적인 가해자가 누구인지 적시할 때도 됐습니다. 『부스러졌지만 파괴되진 않았어』그 흐름을 만들어줄 첫 번째 책이 될 것입니다.
나는 폭력의 반대편으로 가려고 애썼다
거기서 우리만의 세상을 만들고 싶었다
“나는 스물셋이 되어 여섯 살 이후로 처음 맞지 않은 해를 보냈다. 나는 무엇보다 나보다 어린 동생들을 살려내고 싶었다. 아빠가 나와 동생들의 목을 죄어올 때마다 이런 생각이 들었다. 동생이 다시 삶과 죽음의 갈림길에, 육교 난간에 서지 않게 하려면 내가 뭘 할 수 있을까. 당장 바뀌는 것이 없더라도 그날그날 내가 할 수 있는 것들을 잊지 않고 꼭 하려고 노력했다. 실어증 걸린 것마냥 말을 잃어버렸는데 던져진 질문들을 천천히 고민하고 그것에 대답해가며 아주 천천히 내 언어를 찾아갔다.”_ 본문 중에서
3. 고통을 해석하기 위해 ‘김가을’에게 힘이 되어준 작가들
― 살아남기 위한 독서
2020년 4월 23일 오후 5시경. 편집자에게 메일 한 통이 도착합니다. “이런 글이 출판 가능성이 있는지 궁금해서 메일 드립니다. 『안네의 일기』식으로 피해자 쉼터에서 있었던 일과 과거의 특징적인 기억들을 적고, 이를 연결한 글을 이어가려고 생각했습니다. 읽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잘 기억이 나지 않는 어린 시절부터 맞으면서 자랐고, 스물세 살이 되던 해에는 폭력을 못 이겨 아빠를 경찰에 신고했습니다.” 4월 27일 답신을 보냈다. “안녕하세요. 선생님~ ‘선생님의 글을 읽었어요. 글을 잘 쓰시네요. 공부도 많이 하신 것 같아요. 인문학 공부요. 어떤 공부를 하든 공부할 때 제일 좋은 주제는 자기를 고통스럽게 하는 것, 힘들게 하는 것, 뭔가 맺혀 있는 것에서 출발하는 것이라고 해요. 그렇게 공부하면 치유되는 게 있다고 해요. 저를 비롯해 사람들은 모두 마음의 병이 있어요. 흥분하면 핏대가 오르고 말이 꼬이고 하는 것들은 마음속 일이 몸으로 표현되는 것이라 생각합니다. 인간을 하나의 범주로 묶을 때 그 공통성의 핵심을 이루는 것이 ‘고통’이라고 생각합니다. 더 쓰신 글이 있으면 보고 싶습니다. 보여주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