目次

성좌로서의 『독일 비애극의 원천』읽기 | 김유동 인식비판적 서론 트락타트의 개념 인식과 진리 철학적 미 개념 속에서의 분할과 분산 성좌(星座)로서의 이념 이념으로서의 말 분류적 사고와 배치되는 이념 콘라트 부르다흐의 명목론 사실주의, 혼합주의, 귀납법 크로체가 본 예술 장르 원천 단자론 바로크 비애극에 대한 경시와 오해 '가치인정' 바로크와 표현주의 자신을 위하여 비애극과 비극 바로크 시대의 비애극 이론 사소한 아리스토텔레스의 영향 비애극의 내용으로서의 역사 주권론 비잔티움의 문헌 헤롯 드라마 우유부단 순교자로서의 폭군, 폭군으로서의 순교자 순교자 드라마의 평가절하 기독교 연대기와 비애극 바로크 드라마의 내재성 유희와 성찰 피조물로서의 군주 명예 역사적 에토스의 파괴 무대 성자이자 음모꾼의 궁신 비애극의 교육적 의도 폴켈트의 『비극적인 것의 미학』 니체의 『비극의 탄생』 독일 이상주의의 비극이론 비극과 전설 왕과 비극 옛 '비극'과 새로운 '비극' 틀로서의 비극적인 죽음 비극의 대화, 소송의 대화, 플라톤적인 대화 비애와 비극성 질풍노도·고전주의 궁정정치극·인형극 희극적 인물인 음모꾼 운명극에서의 운명개념 자연적 죄와 비극적 죄 소도구 유령의 시간과 유령의 세계 의인론, 아파테이아, 멜랑콜리 군주의 우울 육체와 영혼에 작용하는 멜랑콜리 사투르누스론 의미상징: 개, 구체, 돌덩이 나태와 불충 햄릿 알레고리와 비애극 의고전주의에서 상징과 알레고리 낭만주의에서의 상징과 알레고리 근대 알레고리의 원천 예와 전거들 알레고리적 해석의 이율배반 폐허 알레고리적 탈영혼화 알레고리적 파편화 알레고리적 인물 알레고리적 막간극 제목과 경구들 은유 바로크 시대의 언어이론적 측면 알렉산더 시행 언어의 파편화 오페라 문자에 대한 리터의 성찰 엠블럼으로서의 시체 기독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