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덕경

노자さん他1人 · 人文学
276p
購入可能なサービス
content
評価分布グラフ
平均 4.2(119人)
0.5
5
評価する
4.2
平均評価
(119人)
レビュー
もっと見る

무위無爲와 자연自然을 주창한 동양 철학의 정수. 『도덕경』은 『주역』 그리고 『논어』와 함께 중국을 비롯한 동아시아의 사상 및 철학 체계에 가장 심대한 영향을 끼친 책 중 한 권이다. 도가의 시조인 노자의 어록으로 알려진 『도덕경』은 비교적 짧은 5,000여 자의 글로 구성되어 있지만 그 안에는 정치, 철학, 병법, 과학, 그리고 양생지도養生之道에 대한 논술까지 포함되어 있어 예로부터 수많은 지식인들의 애독서이자 영감의 원천이 되어 왔다. 중국 전문가 소준섭 박사가 새롭게 해석한 『도덕경』은 노자 사상을 문자와 자구의 해석이라는 ‘나무’에만 머물지 않고 전체 맥락이라는 ‘숲’의 시각으로 해석하고자 최대한 노력했다. 또한 지나치게 추상과 현학으로 흐르는 것을 경계하면서 노자가 그토록 멀리 하고자했던 ‘인위’이자 ‘수식’의 어리석음을 범하지 않도록 했다. 갈수록 ‘부자연不自然’과 ‘반자연反自然’이 만연하고 탐욕과 인위, 기교, 과시, 기만이 팽배해지고 있는 오늘의 현실이야말로 진정 ‘노자의 생각’을 절실히 요청하고 있는 시대임에 틀림없다. 고단한 오늘의 현실을 사는 우리에게 노자가 인도하고 권하는 그 세계는 진정한 지혜의 보고이자 마음의 든든한 양식이 될 것이다.

評価分布グラフ
平均 4.2(119人)
0.5
5

著者/訳者

レビュー

10+

目次

머리말 ○ 진정한 지혜로의 여행 | 5 상편 ? 도경 1 ‘도’는 말해질 수 있지만, 그것은 세상에서 흔히 말하는 ‘도’가 아니다 | 21 2 성인聖人은 무위無爲로써 처리하고, 불언不言의 가르침을 행한다 | 25 3 현명한 사람의 허명을 존중하지 않으면, 백성들은 서로 다투지 않게 된다 | 28 4 도는 비어 있는 듯 보이지만 그 쓰임은 무궁무진하다 | 31 5 천지는 본래 인仁, 불인不仁이 없다 | 34 6 곡신谷神은 영원히 죽지 않는다 | 37 7 천지는 장구하게 존재한다 | 40 8 최고의 선善은 마치 물과 같다 | 43 9 공을 이룬 뒤 스스로 물러간다 | 46 10 행하고도 자랑하지 않는다 | 49 11 ‘유有’는 사람에게 이익을 주고, ‘무無’는 쓰임새가 있게 한다 | 52 12 다섯 가지 색깔은 사람의 눈을 멀게 한다 | 55 13 총애를 받는 것과 모욕을 당하는 것 모두 놀라움을 주는 것이다 | 58 14 맞아들이려 해도 그 머리를 볼 수 없고, 따라 가려 해도 그 꼬리를 볼 수 없다 | 61 15 자만하지 않기 때문에 능히 새롭게 갱신한다 | 64 16 근본으로 돌아가는 것을 정靜이라 한다 | 67 17 가장 좋은 통치자는 백성들이 그가 있는지도 모르고 있는 상태이다 | 70 18 대도大道가 없어지니 인의가 생겨난다 | 73 19 권위와 지혜를 버리면 백성들의 이익은 백배로 늘어난다 | 76 20 사람들은 모든 일에 밝은데 나만 홀로 어둡기만 하다 | 79 21 큰 덕의 형태는 도에 의하여 결정된다 | 82 22 능히 굽어질 수 있어야 온전하다 | 85 23 회오리바람은 아침 내내 계속 불지 않고 소나기는 종일토록 내리지 않는다 | 88 24 돋움발로 서 있는 자는 오래 서 있을 수 없다 | 91 25 도는 자연을 본받는다 | 94 26 경솔하면 곧 근본을 잃게 된다 | 98 27 행동에 능한 자는 흔적을 남기지 않는다 | 100 28 흰 것을 알고 검은 것을 지켜 세상의 법도가 된다 | 103 29 군림하면 패망하고, 농단하면 잃게 된다 | 106 30 도로써 왕을 보좌하는 자는 천하에 무력을 드러내지 않는다 | 109 31 병기兵器란 상서롭지 못한 것이다 | 112 32 도는 영원히 이름이 없다 | 115 33 자기 자신을 아는 사람이야말로 진정으로 총명한 자다 | 118 34 스스로 위대하다고 하지 않으므로 능히 위대할 수 있다 | 121 35 천하가 모두 도를 지향하니 세상이 평화롭다 | 124 36 유약함이 강함을 이긴다 | 126 37 도는 언제나 자연스럽게 무위이지만 행하지 아니함이 없다 | 129 하편 ? 덕경 38 상덕上德을 지닌 사람은 덕을 드러내지 않는다 | 136 39 가장 커다란 명예는 명예가 없는 것이다 | 141 40 세상의 만물은 유에서 나오고 유는 무에서 나온다 | 145 41 도는 숨어 있고 이름도 없다 | 147 42 도道는 유일무이한 것이다 | 150 43 ‘불언不言’의 가르침과 ‘무위’의 유익함을 알 수 있는 사람은 드물다 | 153 44 만족할 줄 알면 욕됨을 면하게 되고, 그칠 줄 알면 위험하지 않다 | 155 45 가장 뛰어난 웅변은 어눌한 것처럼 보인다 | 157 46 욕심을 부리는 것보다 큰 불행은 없고, 탐욕을 부리는 것보다 큰 과실은 없다 | 159 47 집 밖에 나가지 않고도 세상의 모든 것을 안다 | 162 48 학문을 하는 자는 갈수록 꾸미려는 욕심이 늘어난다 | 164 49 성인은 영원히 사심이 없고, 백성의 마음을 자신의 마음으로 삼는다 | 166 50 사람들은 스스로 사지死地에 뛰어든다 | 169 51 만물을 이끌지만 군림하지 않는다 | 173 52 미세한 것으로부터 사물의 도리를 아는 것

出版社による書籍紹介

무위無爲와 자연自然을 주창한 동양 철학의 정수 노자의 『도덕경』은 『주역』 그리고 『논어』와 함께 중국을 비롯한 동아시아의 사상 및 철학 체계에 가장 심대한 영향을 끼친 책 중 한 권이다. 정치를 주지主旨로 삼고 전통적인 동양 철학과 병법, 과학 그리고 양생지도養生之道를 논술하고 있는 『도덕경』은 상편 『도경道經』 37편, 하편 『덕경德經』 44편, 총 81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노자는 『도덕경』을 통해 ‘도道’가 철학적 측면에서는 천지만물의 시초이자 모태임을, 윤리적 측면에서는 소박함과 청정 그리고 겸양, 무사無私, 유약柔弱, 담박淡泊 등 자연에 순응하는 덕성임을 천명하였다. 아울러 정치적 측면에서는 대내적으로 무위정치를, 대외적으로 평화공존과 전쟁 및 폭력 반대를 지향하였다. 이렇게 『도덕경』은 자연의 ‘도’로부터 출발하여 윤리적인 덕은 물론, 이상정치의 길까지 제시하고 있다. 만물을 소유하게 하는 비움의 철학 나를 나로 살아가게 하는 인생의 길라잡이 경쟁으로 얻는 소유, 그리고 그 소유를 성공의 척도로 삼는 사회 속에서 우리는 매일을 허덕이며 견뎌내고 있다. 사회는 점점 더 우리를 압박하고 있다. 가만히 있는 것보다 무엇인가를 꼭 해야 하고, 그렇게 함으로써 물질을 더 쌓아가고, 더 나아가 우리 본래의 모습조차도 물질로 치장하는 것을 미덕으로 여기는 것이 우리의 현재 주소이다. 그래서 우리는 점점 더 지쳐간다. 『도덕경』은 그런 우리에게 애써서 채우거나 꾸미지 않고, 더도 덜도 말고 있는 그 모습 그대로 살아가는 것이 무엇인지를 말해주고 있다. 비운다고 없어지는 것은 아니다. 우리가 우리 자신을 잘 보지 못하는 것은 우리에게 욕심이 너무 많은 탓이다. 비워졌기 때문에 우리는 더 잘 볼 수 있다. 노자는 물질에 눈이 가려 앞을 보지 못하는 우리에게 비움의 철학을 선사한다. 『도덕경』은 삶의 무게에 짓눌린 채 하루하루 고단하게 살아가야 하는 사람들의 마음을 위로하고 과연 어떤 삶을 지향해야 하는가라는 질문에 답하는 지혜의 길라잡이다. 갈수록 ‘부자연不自然’과 ‘반자연反自然’이 만연하고 탐욕과 인위, 기교, 과시, 기만이 팽배해지고 있는 오늘의 현실이야말로 진정 ‘노자의 생각’을 절실히 요청하고 있는 시대임에 틀림없다. 고단한 오늘의 현실을 사는 우리에게 노자가 인도하고 권하는 그 세계는 진정한 지혜의 보고이자 마음의 든든한 양식이 될 것이다. 왜 소준섭 박사의 도덕경인가? 중국 전문가 소준섭 박사가 새롭게 해석한 『도덕경』은 노자 사상을 문자와 자구의 해석이라는 ‘나무’에만 머물지 않고 전체 맥락이라는 ‘숲’의 시각으로 해석하고자 최대한 노력했다. 또한 지나치게 추상과 현학으로 흐르는 것을 경계하면서 노자가 그토록 멀리 하고자했던 ‘인위’이자 ‘수식’의 어리석음을 범하지 않도록 했다. 아울러, 본문의 모든 한자에 독음을 달아, 본문에 대한 독자들의 이해도를 높여주는 건 물론, 한자 공부에도 도움이 되게 하였다. 내용 이해를 돕는 이미지들과 역자의 상세한 해제 또한 도덕경을 읽는 독자들에게 많은 즐거움을 선사할 것이다.

この作品が含まれたまとめ

18
  • 出典
  • サービス利用規約
  • プライバシーポリシー
  • 会社案内
  • © 2025 by WATCHA,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