出版社による書籍紹介
出版社による書籍紹介
밀레니얼 세대를 위한 원 앤 온리 매거진 AN USUAL 취향의 바다를 항해하는 밀레니얼의 눈과 마음을 만족시키는 단 하나의 매거진, AN USUAL. 언유주얼에 수록된 시와 소설과 에세이는 한 펼침면에 담겨 페이지를 넘길 필요가 없다. 지금 가장 주목해야 할 작가들이 우리의 일상을 관찰하고 상상하며 대변한다. 동세대 핫한 아티스트들의 최신 작품들을 모아 놓았다. 누구든 잡지를 펼치는 순간 'AN USUAL' 기획전의 관람객이다. ‘끝날 때까지 끝난 게 아니다’라는 말은 야구에서만 적용되지 않는다. 누구나 한 번쯤 파일명 뒤에 ‘최종’을 붙여 저장했지만 그 뒤에 언더바를 붙여 ‘_최최종’ ‘이게_진짜_최종’ ‘_최종_fin’ 등등을 덧붙여 본 경험이 있을 것이다. 결재권자의 변심이든 예기치 못한 상황의 변화든 끝없이 수정할 것들이 생기는 일에 치이다 보면 퇴짜를 맞기란 부지기수다. 그런 퇴짜를 견디고 견뎌 퇴근을 하고 나면 정신적으로도 육체적으로도 한계까지 몰린 피로함을 느낀다. 간신히 쟁취해 낸 퇴근으로 오직 나를 위해서 남은 하루를 쓰고 싶지만, 무엇을 할 틈도 없이 하루가 끝나 버리고 난다. 결국 이렇게 살고 싶지 않고, 이렇게 살다가는 죽을 것 같을 때 우리는 퇴사를 결심하며 새로운 직장을 찾아 떠나기도 한다. 언유주얼 8호는 이처럼 우리 일상과 함께하면서 ‘퇴’로 시작하는 세 가지 키워드를 모아 매거진을 꾸렸다. 페이크 인터뷰는 ‘퇴사’의 아이콘이라고 불릴 수 있는 감자 작가의 만화로 시작한다. 끝없이 동일한 시간대를 반복해야 하는 타임루프에 갇힌 만화가는 하루에 퇴근과 퇴짜와 퇴사를 반복하는 우리의 모습을 그렸다. 한국 문학의 유일무이한 아이콘 김사과는 완벽한 은퇴를 위해 7200만 달러를 어떻게 벌 것인지 고민하는 여성의 모습을 그린다. 매주 금요일 로또를 사는 우리의 모습이 겹쳐질 수밖에 없다. 퇴근했지만 회사를 떠나지 못하는 회사원의 비애를 그로테스크하면서도 섬뜩하게 그려 낸 박화영과 아침에 씻을 것인지 저녁에 씻을 것인지를 고민하며 오늘 하루도 생존을 위해 버티는 우리의 모습을 담은 이유리의 소설은 지금도 어딘가에서 출근을 괴로워하고 있는 누군가의 목소리를 듣는 것만 같다. 에세이에서는 일반적인 직장과는 다르게 셀프 고용의 세계에서 활약하는 필진들의 글을 모았다. 작가 은유는 출근이 없기에 퇴근도 없는, 프리하다 생각되지만 사실은 언프리한 일상의 모습을 그린다. 뮤지션이자 이야기꾼인 이랑은 ‘퇴짜’를 잘 놓는 방법에 대해서 이야기한다. 인스타그램에서 러브 레터를 띄우는 달밑 작가의 에세이에서는 퇴근을 기억의 매개로 한 달콤하면서도 씁쓸한 연애담을 엿볼 수 있다. 언유주얼 8호의 시 지면은 성기완, 류휘석, 박지일 세 명의 시인이 함께했다. 나의 괴로움을 어루만지고 이해해 주는 듯한 세 편의 시를 찬찬히 읽다 보면, 저절로 밑줄을 치고 싶어질 것이다. 8호부터 새단장을 시작한 an usual Love는 배우이자 작가 윤진서로 스타트를 끊었다. ‘OO와 사랑’이라는 주제에서 윤진서 작가는 ‘일상’을 집어 넣었다. 그 일상을 따라 읽다 보면 누구든 지금 당장 떠나지 않고는 못 배길 것이다. 언유주얼 8호를 만든 단어 모두 물러날 퇴(退)를 쓰고 있다. 하지만 우리는 안다. 퇴근과 퇴사와 퇴짜를 통해 우리는 조금씩 앞으로 나아가고 있음을. 끝날 때까지 끝난 게 아님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