目次

머리말 - ‘이상한 재판’의 나라 1장 변호사가 된 판사 판결이라는 글쓰기 나는 왜 판사를 그만뒀나 명상표 이야기 판사는 훈계할 수 있다? 변호사의 딜레마 보수냐 진보냐 묻는 이들에게 프로페셔널과 빌어먹기 2장 법을 채우는 상상력 법과 상상력 법관은 재판을 할 때 재판을 받는다 법 형식주의를 넘어서 사법 철학으로서 민주주의 법대 아래 타자들 실체적 진실과 절차적 정의 편견과 예단의 위험성 이런 판사에게 재판받고 싶다 판결은 소통이다 판사의 막말 3장 누구를 위한 법인가? 양형의 이유 _성폭력범죄 위안부 손해배상 판결을 보는 시각 _주권 면제 낙태는 전면적 비범죄화가 옳다 _낙태권 차별금지법은 통과되어야 한다 _차별금지법 ‘숨 쉴 공간’과 메마른 세계관 _표현의 자유 다수 의견과 소수 의견 _직권남용죄 고무줄 배임죄 _배임 행위 전쟁과 평화 _만국공법 연예인은 공인일까? _명예훼손죄 공직자의 ‘온당치 못한 외관’ _공직 윤리 최소한의 법적 안정성 _조세법 4장 사법 과잉과 사법 불신 ‘너! 고소’와 ‘너! 기소’ 법치주의란 무엇인가 _당앙의 길, 상앙의 길 사법 불신의 원인 진정한 사법 개혁을 위하여 사법 행정권은 재판의 독립을 침해하는가 사법권 독립, 양날의 칼 전관예우, 어찌 볼 것인가 법관들에게 바란다 5장 우리 사법의 풍경 검찰 개혁은 왜 어려운가1 검찰 개혁은 왜 어려운가2 “검사님, 앉으세요.” 사법 개혁, 어디까지 왔나 대법원장의 거짓말 광화문 태극기 집회는 허용되어야 했나 우리에겐 왜 긴즈버그가 없냐고? 헌법재판관의 자질 당신의 피눈물을 무겁게 아는 _변호사 고르기 소송 의뢰에서 보수 지급까지 _변호사 사용법 웃기는 사람, 웃는 사람 틀린 말, 이상한 말, 막말 내가 아는 노무현 정귀호 선생을 그리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