出版社による書籍紹介
出版社による書籍紹介
칸트철학의 전 체계를 지탱해주는 윤리적 모티브, 『실천이성비판』 『실천이성비판』(1판 2002/ 개정판 2009)을 새롭게 다듬어 편집한 개정2판이 출간되었다. 『실천이성비판』과 더불어 칸트 도덕철학 3부작이라 할 수 있는 『윤리형이상학 정초』(한국어 칸트전집 06)와 『윤리형이상학』(한국어 칸트전집 12)이 출간됨에 따라 『실천이성비판』의 부록에 담았던 칸트 철학 개요 및 도덕철학의 개괄적 소개가 불필요한 것으로 보여 삭제하고 전체 분량을 줄이고 내용의 일부분을 수정했다. 일생에 단 한 권의 책을 읽어야 한다면? 그것은 바로 칸트의 『실천이성비판』 옮긴이는 「책을 내면서」에서 “인간의 삶과 종교의 특별한 관계로 인해 사람들이 경전을 가까이 하게 되는 경우는 별도로 하고, 일반 교양인이 만약 일생에 단 한 권의 책만을 읽어야 하는 상황에 놓일 경우, 읽어야 할 책은 무엇일까? 자문할 때 그것은 바로 칸트의 『실천이성비판』”이라고 말한다. 그만큼 칸트의 『실천이성비판』은 이상(理想)에 비추어보면 미천하기 그지없는 인간이 그럼에도 “왜 존엄한가?”, “어떻게 하면 그 존엄성을 지켜갈 수 있는가?”를 일러주고 있기 때문이다. 우리는 『실천이성비판』에서 저 유명한 경구, 즉 “그에 대해서 자주 그리고 계속해서 숙고하면 할수록, 점점 더 새롭고 점점 더 큰 경탄과 외경으로 마음을 채우는 두 가지 것이 있다. 그것은 내 위의 별이 빛나는 하늘과 내 안의 도덕법칙이다”라는, 후세 사람들이 칸트를 기념하는 동판에 새겨 넣기도 한 『실천이성비판』의 맺음말 첫 대목을 만날 수 있다. 이 절제된 말은 칸트가 우리에게 진심으로 일깨우고자 한 내용을 압축적으로 표현한다. 칸트 실천이성비판 주요내용 칸트철학을 통해 서양근대철학이 극적인 변화를 맞게 되었다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이것은 『순수이성비판』의 출간과 더불어 생긴 이론철학 영역 내에서의 변화에만 국한된 것은 아니다. 이 변화는 실천철학의 영역인 윤리학에서도 일어났다. 과학적 지식이 엄청난 발전을 이루고 있었던 당시에, 그 추진력의 모체인 인간의 이론이성에 비판과 한계를 설정하고, 그것이 실천이성의 체계에 포함되지 않으면 안 된다는 칸트의 윤리사상은 아리스토텔레스의 윤리학과 함께 서양 윤리학 논의에서 가장 중요한 축으로 자리 잡는다. 또한 서양윤리학사에서 차지하는 비중만큼이나 칸트 윤리학을 지칭하는 표현들 또한 적지 않다. 형이상학 윤리, 규범 윤리, 법칙주의 윤리, 의무론적 윤리, 엄숙주의 윤리, 동기주의 윤리, 준칙 윤리, 형식주의 윤리 등 칸트 윤리학의 성격을 표현하는 다양한 표현들은 칸트 윤리학이 이제까지 얼마나 다양하게 해석되고 이해되어 왔는가를 짐작할 수 있게 한다. 바로 이러한 사상적 핵심을 담고 있는 책이 그 유명한 『실천이성비판』이다. 『실천이성비판』에서 칸트는 윤리적 실천의 문제를 독특한 방법론으로 다룬다. 그는 단순히 이론을 설득력 있게 제시하여 사람들로 하여금 그 이론에 따라서 행동하도록 하는 일반적인 윤리학적 전략을 버리고, 인간 이성이 궁극적으로 요구하는 근본적 체계(건축술)가 단순히 이론만으로는 완성될 수 없으며, 반드시 실천이 전제되어야 한다는 것을 증명하려 노력하였다. 인간의 행위를 윤리적으로 만드는 자유도 이론적으로 증명될 수 없고 구체적으로 실행에 옮겨야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그래서 칸트는 윤리적 실천을 그의 초이론적 이성 체계의 불가결한 요소로 요구한다. 결국 실천이 동반되지 않는 윤리, 즉 단순히 하나의 이론적 유희로만 이루어지는 윤리학은 이론적으로도 성립될 수 없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의미에서 칸트의 윤리학적 모티브는 형이상학, 인식론, 미학, 인간학 뒤에 가려진 부차적인 부분이 아니라 칸트 사상 전 체계를 지탱해주는 필수불가결한 전제 조건이라 할 수 있다.